번역 : 김경희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상담심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긍정 정서 조절 문제와 우울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사)한국상담심리 학회 총무이사, (사)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학술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가톨릭 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상담심리전문가로서 활동하며 상담자 양성에 힘쓰고 있다.
번역 : 이희경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상담심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가톨릭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장, 상담심리 대학원장, 학생처장과 한국상담심리학회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상담 전공생들을 지도하면서 긍정심리특성이 심리적 고통 극복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을 갖고, 긍정심리학적 상담모형 및 한국적 긍정심리 평가도구 개발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저자 : Michelle G. Craske, PhD
UCLA 심리학, 정신의학 및 생명행동과학과 교수이자 Miller 석좌교수이다. UCLA 불안 및 우울증 연구 센터의 소장, Staglin 가족 음악 센터 부소장을 맡고 있으며, UCLA Depression Grand Challenge의 공동 책임자이다.
저자 : Halina J. Dour, PhD
Center for Genuine Growth의 대표이다. Orlando VA Healthcare System의 섭식장애팀 코디네이터로 근무했고 PTSD 임상팀에서 활동했다. 여러 치료 개발 프로젝트에서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저자 : Michael Treanor, Ph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불안 관련 장애에 대한 노출 요법 개선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마음챙김 수행, PTSD, 불안장애 및 기분장애 대상 근거 기반치료에 대한 풍부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저자 : Alicia E. Meuret, PhD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SMU) 심리학과 교수이자 SMU 불안 및 우울증 연구 센터 소장이고 공인 임상심리학자이다. 20년 이상 정서장애 환자를 치료한 임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