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추천사
제1부 전통시기(고조선~조선시대) 교육과정
제1장 고대사회의 교육과정
단군신화에 나타난 고조선의 교육과
입사식에 나타난 삼한의 교육과정
고구려의 교육과정
백제의 교육과정
신라의 교육과정
고대사회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의
제2장 고려시대 유학 교육과정
유학의 교육과정
고려 전반기의 유학 교육과정
고려 후반기의 유학 교육과정
제3장 조선시대 유학 교육과정
학령: 신유학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과 원칙 제시
학례: 유교식 학교교육의 한 축으로서의 의례
학교모범: 본격적인 성리학 교육과정의 표준화
복천향교 학령: 향교의 유학 교육과정
배타적인 주자학 중심 유학 교육과정
자찬 교재: 우리나라 학자들이 편찬한 교재의 유학 교육과정 편입
제4장 조선시대 아동 교육과정
조선시대의 유교와 아동교육
유교의 아동 교육과정
『동몽선습』의 아동 교육과정: 교육과정 구성
『동몽선습』의 아동 교육과정: ‘서문’의 교육과정적 의미
『동몽선습』의 아동 교육과정: 윤리교육의 강조
『동몽선습』의 아동 교육과정 분석: 총론의 효도 근원성과 학문의 의미 제시
『동몽선습』의 아동 교육과정: 역사교육의 중요성
제5장 조선시대 전문교육 교육과정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무학(武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역학(譯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의학(醫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음양학(陰陽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산학(算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율학(律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화학(畵學: 회화)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도학(道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악학(樂學)
결론
제6장 조선시대 여성 교육과정
조선 사회의 유교화와 여성교육의 필요성
조선시대 여성교육의 메커니즘
조선시대 여성교육서와 주요 내용
제2부 개화기(1881~1910) 교육과정
제7장 개화기 관학 교육과정
개화기 각 시기별 교육과정
개화기 학교별 교육과정 편제
제8장 개화기 사학(미션계) 교육과정
서양 선교사들의 입국과 교육활동의 전개
미션계 사립 학교에서의 일반교육
선교계 학교교육의 성격
제9장 개화기 사학(민간계) 교육과정
갑오개혁 전후의 사학
1900년대 전후의 사학
을사늑약 전후의 사학
제3부 일제강점기(1910~1945) 교육과정
제10장 일제강점기 조선교육령과 교육과정
제11장 일제강점기 보통학교(소학교, 국민학교) 교육과정
일제강점기 보통학교 교육과정 편제의 변화
제12장 일제강점기 중등학교 교육과정
일제강점기 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제의 변화
일제강점기 중등학교의 입시위주교육
제13장 일제강점기 실업학교 교육과정
1910년 이전의 실업교육과 실업학교
일제강점기 실업학교의 설치와 운영
제14장 일제강점기 국외 민족학교 교육과정
국권 상실과 민족교육
만주 지역의 민족학교
상하이의 민족학교
미주 지역의 민족학교
제4부 1945년 해방 이후 교육과정
제15장 남한의 학제와 교육과정
학제의 변화
1945년부터 1987년 제5차 교육과정까지: 중앙집권적인 국가 교육과정의 전개
제6차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기: 학교에 자율과 책임을 묻는 교육과정기-교육과정, 학교교육 혁신의 중심에 서다
제6차 교육과정: 국가 주도에서 교육의 지역화가 시작된 시기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 중심 → 교육과정 중심, 학생 중심 교육의 표방
2007 개정 교육과정: 주5일 수업제의 도입과 부분 수시 개정 체제 도입
2009 개정 교육과정: 단위학교에 자율권 주고 책임을 요구
2015 개정 교육과정: 행복교육, 자유학기제, 문이과통합형, 창의인성교육
2019 개정 교육과정: 누리과정 개정
2022 개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정책을 반영한 초ㆍ중등학교 전면 개정
제16장 유치원 교육과정
유치원과 유아의 정의
유치원 학제의 변화
1897년부터 1945년까지: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 유치원의 도입 시기
1945년부터 1968년까지: 해방 이후 국가 교육과정 이전 시기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1969. 2. 19.~1979.): 최초의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제2차 유치원 교육과정(1979. 3. 1.~1981.):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반영
제3차 유치원 교육과정(1981. 12. 31.~1987.): 초ㆍ중등학교와의 동시 개정
제4차 유치원 교육과정(1987. 6. 30.~1992.): 영역별 내용이 생략된 간략화된 교육과정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1992. 9. 30.~1998.): 만 3세로 대상 확대, 수준별 교육과정 및 종일반의 도입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1998. 6. 30.~2007.): 2000년대의 미래사회 대비 유아 중심 교육과정 표방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2007. 12.~2011.): 유ㆍ초 연계를 강화한 교육과정
2011년 누리과정(2011. 2. 19.~ 2019): 유ㆍ보 통합을 통한 유아교육의 외연 확대 시기
2019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2019. 7. 24.~ ): 놀이 중심, 유아 중심의 강조
제1차부터 2019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까지 유치원 교육과정 항목별 내용의 변화
제17장 초등학교 교육과정
학제와 초등학교 명칭의 변화
미군정기 교육과정(1945. 9.~1953.): 긴급조치, 교수요목으로서의 교육과정
제1차 교육과정(1954. 4. 20.~1963.): 「교육법」에 따른 최초의 교육과정, 경험을 중시한 진보주의 교육과정
제2차 교육과정(1963. 2. 15.~1973.): 경험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개념화 시기
제3차 국민학교 교육과정(1973. 2. 14.~1981.): 정치적인 배경이 계기가 된 가장 학문적인 교육과정 개정
제4차 국민학교 교육과정(1981. 12. 31.~1988.): ‘인간중심’을 표방한 연구ㆍ개발형 교육과정
제5차 국민학교 교육과정(1988. 3. 31.~1992.): 제6차 교육과정으로의 연결 역할을 한, 큰 특징 없는 교육과정
제6차 국민학교 교육과정(1992. 10. 30.~1998.): 지역화, 자율화 교육과정의 시작
제6차 교육과정의 국민학교 교육과정 부분 개정(1995. 11. 1.): 초등학교 영어과 도입과 ‘초등학교’로 명칭 변경
제7차 교육과정(1997. 12.~2007.): 21세기 대비 교육과정 개선, 수준별 교육과정, 재량활동
2007 개정 교육과정(2007. 2.~2009.): 주5일 수업제 적용, ‘차수’ 없는 교육과정 시기의 시작
2009 개정 교육과정(2009. 12.~2015.): 창의인성교육, 학습의 효율성 강조
2015 개정 교육과정(2015. 9.~2022.): 핵심역량, 안전, 행복교육, 진로교육
2022 개정 교육과정기(2022. 12.~ ): 고교학점제 적용, 현행 교육과정의 개선
제18장 중ㆍ고등학교 교육과정
중등학교 학제의 변화
1945년부터 1953년까지: 미군정기 교육과정, 교수요목 교육과정, 중등학교 학제 및 교육과정의 급변시기
제1차 교육과정(1954. 4. 20.~1963.): 교육법에 따른 최초의 교육과정,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
제2차 교육과정(1963. 2. 15.~1974.): 교육과정을 정의하고 틀을 갖춘 경험중심 교육과정 시기
제3차 교육과정(1974. 12. 31.~1981.): 정치적인 배경에 따른 가장 학문적인 교육과정 개정
제4차 교육과정(1981. 12. 31.~1988.): ‘인간중심’을 표방한, 연구ㆍ개발형 교육과정의 시작기
제5차 교육과정(1987, 1988 ~1992.): 제6차 교육과정으로의 마중물 역할
제6차 교육과정(1992. 10.~1997. 12.): 지역화, 자율화가 시작된 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1997. 12.~2007. 2.): 학생 중심 교육과정, 수준별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2007. 2.~2009. 12.): 주5일 수업제를 계기로 개정한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2009. 12.~2015. 8.): 학년군과 교과군, 8교과 이내,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창의적 체험활동 도입
2015 개정 교육과정(2015. 8.~2022.): 문이과융합형 표방, 핵심 역량과 자유학기제
2022 개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제19장 북한의 학제와 교육과정
북한 학제의 변화
북한의 학교 현황과 2012년 개편 신학제의 특징
북한의 2013년 개정 교육과정-교육강령
북한의 2013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제20장 북한의 교과 교육과정
북한의 2012년 학제 개편과 후속 교육과정 개정
북한 2013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편제
북한 교과 교육내용의 동향
북한 2013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및 전망
부록
부록 1.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학제의 변화
부록 2. 개화기 교육 관련 주요 법령
부록 3. 일제강점기 교육 관련 주요 법령
부록 4. 개화기 국가 수준 교육과정 원문 체계표
부록 5. 일제강점기 초등학교(보통학교, 소학교, 국민학교)의 교육과정 편제표
부록 6. 일제강점기 중등학교(고등보통학교, 중학교)의 교육과정 편제표
부록 7. 북한의 2013년 개정 교육과정(교육강령)의 소학교, 초급중학교, 고급중학교 총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