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한국 교육과정 변천사

고대부터 남북한 교육과정까지


  • ISBN-13
    978-89-997-3232-4 (93370)
  • 출판사 / 임프린트
    ㈜학지사 / ㈜학지사
  • 정가
    24,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9-3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김진숙 , 강명숙 , 김경미 , 김대식 , 김언순 , 박종배 , 박철희 , 신창호 , 안경식 , 오성철 , 이명실 , 이윤미 , 정미량 , 최광만 , 한용진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육
  • 추가주제어
    교육사 , 교육체계 및 구조 , 교육과정 계획 및 개발
  • 키워드
    #교육학 #교육과정 #교육 #교육사 #교육체계 및 구조 #교육과정 계획 및 개발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88 * 255 mm, 464 Page

책소개

이 책에 대한 일러두기로 시기 구분, 집필 대상 교육과정, 집필 방식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기 구분은 한국교육사학회 교수님들과 협의하여 제1부 전통시기를 고조선에서 조선시대로, 제2부 개화기를 1881년부터 1910년까지로, 제3부 일제강점기를 1910년부터 1945년까지로, 마지막 제4부를 1945년 해방 이후 교육과정 시기로 하였다. 이 책의 기초가 된 1945년 이전 교육과정 연구에서 개화기와 일제강점기가 주가 되다 보니 개화기 이전을 모두 ‘전통시기’로 하였다. 또한 역사적으로 개화기를 규정하는 시점과 교육과정에서의 시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이 책의 각 장이나 부록의 표에서도 그 관점이 소개된다. 예컨대, 개화기의 시작을 1876년 강화도조약으로, 교육학 분야에서는 1894년의 갑오개혁부터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제7장에 서술된 바와 같이 1881년 조선 정부가 처음으로 신식 기술 습득을 위해 중국(청, 靑)에 영선사(領選使)를, 일본에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을 파견하고 이후 외국어 통역과 신식군대 양성에 필요한 최초의 근대적 관립 학교를 세웠기에 1881년을 시작점으로 하였다. 그리고 일제의 조선총독부에 의해 국가적 교육권이 완전히 장악되어 제1차 조선교육령이 반포되기 직전인 1910년까지를 개화기로 설정하였다.

 

 

1945년 이후는 교육과정 개정이 시기 구분의 기준이 되나 시기별로 다루기보다 학교를 구분한 후 해당 교육과정의 변화를 다루는 방식을 취하였다. 남한의 경우 학제 및 학교급 교육과정 변화의 개요를 먼저 소개한 후 2019 개정 및 2022년 개정까지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각 시기별 특징을 다루었다. 유치원은 개화기부터 존재했으나 제2, 3부에서 다루지 않았기에 제16장에서 함께 다루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1945년 해방 직후에 일제강점기에서와 같이 한 개의 중등학교 체제를 갖추고 있다가 분화되었기에 제18장에서 함께 다루었다. 북한은 학제의 변화와 학교급별 교육과정의 개요를 소개하고, 총론 편제표나 일부 교과서 사례를 통해 교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소개하였다.

목차

머리말
추천사

제1부 전통시기(고조선~조선시대) 교육과정

제1장 고대사회의 교육과정
단군신화에 나타난 고조선의 교육과
입사식에 나타난 삼한의 교육과정
고구려의 교육과정
백제의 교육과정
신라의 교육과정
고대사회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의

제2장 고려시대 유학 교육과정
유학의 교육과정
고려 전반기의 유학 교육과정
고려 후반기의 유학 교육과정

제3장 조선시대 유학 교육과정
학령: 신유학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과 원칙 제시
학례: 유교식 학교교육의 한 축으로서의 의례
학교모범: 본격적인 성리학 교육과정의 표준화
복천향교 학령: 향교의 유학 교육과정
배타적인 주자학 중심 유학 교육과정
자찬 교재: 우리나라 학자들이 편찬한 교재의 유학 교육과정 편입

제4장 조선시대 아동 교육과정
조선시대의 유교와 아동교육
유교의 아동 교육과정
『동몽선습』의 아동 교육과정: 교육과정 구성
『동몽선습』의 아동 교육과정: ‘서문’의 교육과정적 의미
『동몽선습』의 아동 교육과정: 윤리교육의 강조
『동몽선습』의 아동 교육과정 분석: 총론의 효도 근원성과 학문의 의미 제시
『동몽선습』의 아동 교육과정: 역사교육의 중요성

제5장 조선시대 전문교육 교육과정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무학(武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역학(譯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의학(醫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음양학(陰陽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산학(算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율학(律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화학(畵學: 회화)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도학(道學)
전문교육 세부 교육과정 및 변천: 악학(樂學)
결론

제6장 조선시대 여성 교육과정
조선 사회의 유교화와 여성교육의 필요성
조선시대 여성교육의 메커니즘
조선시대 여성교육서와 주요 내용


제2부 개화기(1881~1910) 교육과정

제7장 개화기 관학 교육과정
개화기 각 시기별 교육과정
개화기 학교별 교육과정 편제

제8장 개화기 사학(미션계) 교육과정
서양 선교사들의 입국과 교육활동의 전개
미션계 사립 학교에서의 일반교육
선교계 학교교육의 성격

제9장 개화기 사학(민간계) 교육과정
갑오개혁 전후의 사학
1900년대 전후의 사학
을사늑약 전후의 사학


제3부 일제강점기(1910~1945) 교육과정

제10장 일제강점기 조선교육령과 교육과정

제11장 일제강점기 보통학교(소학교, 국민학교) 교육과정
일제강점기 보통학교 교육과정 편제의 변화

제12장 일제강점기 중등학교 교육과정
일제강점기 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제의 변화
일제강점기 중등학교의 입시위주교육

제13장 일제강점기 실업학교 교육과정
1910년 이전의 실업교육과 실업학교
일제강점기 실업학교의 설치와 운영

제14장 일제강점기 국외 민족학교 교육과정
국권 상실과 민족교육
만주 지역의 민족학교
상하이의 민족학교
미주 지역의 민족학교


제4부 1945년 해방 이후 교육과정

제15장 남한의 학제와 교육과정
학제의 변화
1945년부터 1987년 제5차 교육과정까지: 중앙집권적인 국가 교육과정의 전개
제6차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기: 학교에 자율과 책임을 묻는 교육과정기-교육과정, 학교교육 혁신의 중심에 서다
제6차 교육과정: 국가 주도에서 교육의 지역화가 시작된 시기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 중심 → 교육과정 중심, 학생 중심 교육의 표방
2007 개정 교육과정: 주5일 수업제의 도입과 부분 수시 개정 체제 도입
2009 개정 교육과정: 단위학교에 자율권 주고 책임을 요구
2015 개정 교육과정: 행복교육, 자유학기제, 문이과통합형, 창의인성교육
2019 개정 교육과정: 누리과정 개정
2022 개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정책을 반영한 초ㆍ중등학교 전면 개정

제16장 유치원 교육과정
유치원과 유아의 정의
유치원 학제의 변화
1897년부터 1945년까지: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 유치원의 도입 시기
1945년부터 1968년까지: 해방 이후 국가 교육과정 이전 시기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1969. 2. 19.~1979.): 최초의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제2차 유치원 교육과정(1979. 3. 1.~1981.):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반영
제3차 유치원 교육과정(1981. 12. 31.~1987.): 초ㆍ중등학교와의 동시 개정
제4차 유치원 교육과정(1987. 6. 30.~1992.): 영역별 내용이 생략된 간략화된 교육과정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1992. 9. 30.~1998.): 만 3세로 대상 확대, 수준별 교육과정 및 종일반의 도입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1998. 6. 30.~2007.): 2000년대의 미래사회 대비 유아 중심 교육과정 표방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2007. 12.~2011.): 유ㆍ초 연계를 강화한 교육과정
2011년 누리과정(2011. 2. 19.~ 2019): 유ㆍ보 통합을 통한 유아교육의 외연 확대 시기
2019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2019. 7. 24.~ ): 놀이 중심, 유아 중심의 강조
제1차부터 2019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까지 유치원 교육과정 항목별 내용의 변화

제17장 초등학교 교육과정
학제와 초등학교 명칭의 변화
미군정기 교육과정(1945. 9.~1953.): 긴급조치, 교수요목으로서의 교육과정
제1차 교육과정(1954. 4. 20.~1963.): 「교육법」에 따른 최초의 교육과정, 경험을 중시한 진보주의 교육과정
제2차 교육과정(1963. 2. 15.~1973.): 경험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개념화 시기
제3차 국민학교 교육과정(1973. 2. 14.~1981.): 정치적인 배경이 계기가 된 가장 학문적인 교육과정 개정
제4차 국민학교 교육과정(1981. 12. 31.~1988.): ‘인간중심’을 표방한 연구ㆍ개발형 교육과정
제5차 국민학교 교육과정(1988. 3. 31.~1992.): 제6차 교육과정으로의 연결 역할을 한, 큰 특징 없는 교육과정
제6차 국민학교 교육과정(1992. 10. 30.~1998.): 지역화, 자율화 교육과정의 시작
제6차 교육과정의 국민학교 교육과정 부분 개정(1995. 11. 1.): 초등학교 영어과 도입과 ‘초등학교’로 명칭 변경
제7차 교육과정(1997. 12.~2007.): 21세기 대비 교육과정 개선, 수준별 교육과정, 재량활동
2007 개정 교육과정(2007. 2.~2009.): 주5일 수업제 적용, ‘차수’ 없는 교육과정 시기의 시작
2009 개정 교육과정(2009. 12.~2015.): 창의인성교육, 학습의 효율성 강조
2015 개정 교육과정(2015. 9.~2022.): 핵심역량, 안전, 행복교육, 진로교육
2022 개정 교육과정기(2022. 12.~ ): 고교학점제 적용, 현행 교육과정의 개선

제18장 중ㆍ고등학교 교육과정
중등학교 학제의 변화
1945년부터 1953년까지: 미군정기 교육과정, 교수요목 교육과정, 중등학교 학제 및 교육과정의 급변시기
제1차 교육과정(1954. 4. 20.~1963.): 교육법에 따른 최초의 교육과정,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
제2차 교육과정(1963. 2. 15.~1974.): 교육과정을 정의하고 틀을 갖춘 경험중심 교육과정 시기
제3차 교육과정(1974. 12. 31.~1981.): 정치적인 배경에 따른 가장 학문적인 교육과정 개정
제4차 교육과정(1981. 12. 31.~1988.): ‘인간중심’을 표방한, 연구ㆍ개발형 교육과정의 시작기
제5차 교육과정(1987, 1988 ~1992.): 제6차 교육과정으로의 마중물 역할
제6차 교육과정(1992. 10.~1997. 12.): 지역화, 자율화가 시작된 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1997. 12.~2007. 2.): 학생 중심 교육과정, 수준별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2007. 2.~2009. 12.): 주5일 수업제를 계기로 개정한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2009. 12.~2015. 8.): 학년군과 교과군, 8교과 이내,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창의적 체험활동 도입
2015 개정 교육과정(2015. 8.~2022.): 문이과융합형 표방, 핵심 역량과 자유학기제
2022 개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제19장 북한의 학제와 교육과정
북한 학제의 변화
북한의 학교 현황과 2012년 개편 신학제의 특징
북한의 2013년 개정 교육과정-교육강령
북한의 2013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제20장 북한의 교과 교육과정
북한의 2012년 학제 개편과 후속 교육과정 개정
북한 2013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편제
북한 교과 교육내용의 동향
북한 2013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및 전망

부록
부록 1.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학제의 변화
부록 2. 개화기 교육 관련 주요 법령
부록 3. 일제강점기 교육 관련 주요 법령
부록 4. 개화기 국가 수준 교육과정 원문 체계표
부록 5. 일제강점기 초등학교(보통학교, 소학교, 국민학교)의 교육과정 편제표
부록 6. 일제강점기 중등학교(고등보통학교, 중학교)의 교육과정 편제표
부록 7. 북한의 2013년 개정 교육과정(교육강령)의 소학교, 초급중학교, 고급중학교 총론


참고문헌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김진숙
이 책의 전체를 기획하고, 제4부‘1945년 해방 이후 교육과정’(제15~20장) 및 ‘부록’을 집필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전 연구위원으로 중앙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가톨릭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자 : 강명숙
이 책의 1945년 이전 교육과정 부분을 공동 기획하였으며, 제10장 ‘일제강점기 조선교육령과 교육과정’을 집필하였다. 배재대학교 교직부 교수다.
저자 : 김경미
제14장 ‘일제강점기 국외 민족학교 교육과정’을 집필하였다. 전 독립기념관 연구원이다.
저자 : 김대식
제5장 ‘조선시대 전문교육 교육과정’을 집필하였다.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저자 : 김언순
제6장 ‘조선시대 여성 교육과정’을 집필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등에서 강의하였다.
저자 : 박종배
제3장 ‘조선시대 유학 교육과정’을 집필하였다. 동국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저자 : 박철희
제12장 ‘일제강점기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집필하였다.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저자 : 신창호
제4장 ‘조선시대 아동 교육과정’을 집필하였다.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저자 : 안경식
제1장 ‘고대사회의 교 육과정’을 집필하였다.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저자 : 오성철
제11장 ‘일제강점기 보통학교(소학교, 국민학교) 교육과정’을 집필하였다. 서울교육대학교 교수다.
저자 : 이명실
제13장 ‘일제강점기 실업학교 교육과정’을 집필하였다.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교수다.
저자 : 이윤미
제8장‘개화기 사학(미션계) 교육과정’을 집필하였다.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저자 : 정미량
제7장 ‘개화기 관학 교육과정’을 집필하였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책임연구원이다.
저자 : 최광만
제2장 ‘고려시대 유학 교육과정’을 집필하였다.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저자 : 한용진
이 책의 1945년 이전 교육과정 부분을 공동 기획하였으며, 제9장 ‘개화기사학(민간계) 교육과정’을 집필하였다.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깨끗한 마음을 드리는 출판사, 학지사입니다.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닌,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