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야만의 시대기


  • ISBN-13
    979-11-308-2326-3 (03800)
  • 출판사 / 임프린트
    푸른사상사 / 푸른사상사
  • 정가
    29,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9-2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영숙
  • 번역
    -
  • 메인주제어
    문학: 문학사 및 평론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평론집 #문학평론 #시평론 #문학: 문학사 및 평론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4 mm, 352 Page

책소개

생명 모독이 일상화된 야만의 시대에

문학이 보여주는 날카로운 현실감각

 

문학평론가 이영숙의 첫 번째 평론집 『야만의 시대기』가 푸른사상 평론선 45로 출간되었다. 고도로 문명화되었기 때문에 야만에 빠져버린 이 시대에 문학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해 고민하는 평론들이 실려 있다. 텍스트의 내밀한 언어를 파악하는 동시에 사회학적 상상력을 시대와 연결하고 있다.  

목차

■ 책머리에

 

제1부 

 

시의 방위(方位) 

          ― 김행숙 「지구를 지켜라」, 박찬일 「첨성대의 발달」, 이병일 「팥」, 강현국 「빨간 우체통」, 박윤일 「구두, 발자국」, 이장욱 「반려」

언제나 너무 많은 ‘非’들 

          ― 이수명 「꿈에 네가 나왔다」ㆍ「도시가스」ㆍ「도시가스」ㆍ「무단결석」ㆍ「밖에 있는 사람」

바깥이라는 안의 전형 

          ― 문성해 「밖이라는 것」, 손미 「창문들의 플랫폼」, 김유미 「飛禽島」, 김은상 「하이델베르크의 고독」, 박지웅 「새의 훗날」

좋은 시, 어려운 시, 달아나는 시

           ― 이장욱 「생활세계에서 춘천 가기」, 김이듬 「시골 창녀」

이렇게 절실한 말 

          ― 한명희 「이 노을은 어딘가 익숙하다」ㆍ「살던 동네」ㆍ「고대 그리스식 비극」ㆍ 「사이비」ㆍ「토끼풀을 먹은 토끼를 나무랄 수는 없듯이」

문학의 ‘그러함’이라는 생장점 — 문학은 무엇이었는가 

          ― 박지웅 「잘 가」, 심영의 『오늘의 기분』, 황보름 『어서 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 

 

 

제2부 

 

당신의 난각 코드 끝자리 

          ― 반연희 「제국의 밤」, 서안나 「난각 코드」, 조세희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 한영수 「을밀대 지붕 위의 체공녀처럼」, 김사인 「성웅(聖雄)」 

야만의 시대기 

          ― 백무산 「바람에 실려」, 권박 「코코넛 매트」, 신동옥 「프롤레타리아의 봄밤」, 장우원 「내 슬픔은」

사회현상이 문학에 기입되는 방식 

          ― 천명관 『고령화 가족』, 손원평 「타인의 집」, 김유철 「그러려니 비극」, 김종희 「생로병사」, 장석주 「꿈속에서 우는 사람」, 한명희 「스위스행 종이비행기」, 이영숙 「수건의 고독사」, 김현주 「이끼」, 권형영 「사라진 사람들은 부엌에 모여 산다」

적과 동지라는 딜레마 

          ― 전선용 「뱀사골에서」, 이장욱 「적」, 김성규 「동지」, 이재무 「고백」, 박관서 「서울에서 보내는 편지」

팬데믹 시대 마스크를 쓴 시들 

          ― 이태수 「봄 전갈―2020 대구 통신」, 김은령 「불가촉시민」, 한정원 「에포케」, 안현미 「카만카차19」, 김나영 「이런 적은 처음입니다」, 김명인 「누가 수조 속에 가물치를 풀어놓았나?」, 박정원 「붉은여우를 찾아서」, 이승하 「대낮의 군대」,  나희덕 「어떤 부활절」, 이영광 「검은 봄」, 휘민 「신분당선」, 서안나 「마스크」, 함기석 「마스크」, 이희형 「나는 이제 예전만큼 자주 걷지 않지만 방 안에서도 산책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병률 「면역」

팬데믹 시대 마스크를 쓴 시들, 그 이후 

          ― 조향미 「마스크」, 박수빈 「들꽃 요양원」, 류근 「코로나 학번」, 손세실리아 「누나라는 말」, 김현 「간다」, 송문희 「슬픔 한 권―코로나19를 발췌하다」, 채선 「감염」, 박용하 「생활의 실패」, 여국현 「천변 풍경 3」, 박성민 「비대면의 가을」, 강영환 「그늘에 앉은 남자」, 김네잎 「스마일 마스크 증후군」, 손미 「불면」, 이영숙 「12월 32일」, 이은래 「이 시절에」, 김승일 「추모 도서 출간 파티」, 조창환 「마스크 안의 기도」, 전선용 「전염, 그 현상에 대하여」, 장우원 「사회적 거리두기 2.5」, 이영광 「자연처럼」, 김이하 「당부」, 김효은 「코로나 시대에 신은 줌(zoom)놀이를 한다」, 안현미 「변신마스크」, 김은후 「어처구니 보고서」, 송경동 「비대면의 세계」

 

제3부 

 

약속, 마음, 육체라는 신화

          ― 권기선 「국경」, 김중일 「마음의 잠」, 김륭 「검은 기린」

존재론적인 고통과 육체로 환원된 정신주의

          ― 박찬일 「마음에 대한 보고서 2―詩에 대하여」ㆍ「마음에 대한 보고서 11―육식에 대하여」ㆍ「알 수 없는 고통」ㆍ「소년」ㆍ「1990ㆍ내 밥」ㆍ「마음에 대한 보고서 3―감사에 대하여」ㆍ「마음에 대한 보고서 6」ㆍ「중앙SUNDAY―서울, 포스터」ㆍ「마음에 대한 보고서 17―내 눈동자에 대하여」ㆍ「죽은 나무가 나무다」ㆍ「그가 나에게」ㆍ「이웃에 계신 하나님」ㆍ「바다를 두고―序詩」ㆍ「인류에 대한 관심」ㆍ「낮술」ㆍ「어머니」ㆍ「백설공주가 일곱 난장이와 자꾸 헤어진다」ㆍ「인류」ㆍ「돼지! 그리고 비디오」ㆍ「병 깊은 자의 노래」ㆍ「회복기의 노래 1」

신드롬과 징후

          ― 밥 딜런, 서태지, 김경주

수학은 어떻게 시로 건너오는가

          ― 이종민 「프랙탈」, 성보현 「여행」, 배창환 「4ㆍ16의 아침」, 장석남 「법의 자서전」, 이길한 「행복한 바보, 바보 행복한」 

보이는 것 뒤에 보이지 않는 것들이

          ― 김완, 「선암사, 꽃의 시간」ㆍ「황석산을 오르며」ㆍ「시간의 얼굴」ㆍ「달마고도를 걷는다」ㆍ「부치지 못한 시집」

고통에 관한 시적 아날로지

          ― 허정애 「우리는 타인의 얼굴에서 어떻게 격정의 감정을 읽어내는가」, 허연 「가여운 거리」, 최문자 「손」, 이보경 「타프롬 사원과 스펑나무」, 이윤설 「예약된 마지막 환자」

머물기, 달아나기 혹은 되돌아오기

          ― 정일근 「어머니의 문장」, 이진옥 「씻김」, 나희덕 「슬픈 모유」, 김용택 「위대한 나의 아버지」, 김재필 「그러거나 말거나」, 최영철 「아흔아홉 개의 정류소를 지나」

 

제4부 

 

전선에서 온 편지

          ― 문현미 「얼음 전선―서대문형무소」, 김석영 「내가 모르는 장면」, 이점선 「오늘 나는 네가 살지 못한 만구백오십번째 밤」, 위성욱 「난파」, 이영주 「묘지기」 

아우라가 현전하는 방식 

          ― 김유태 「검은 원」, 문보영 「절벽 미소」, 김언희 「자기소개―에두아르 르베에게」, 장석원 「나의 영혼은 목소리에 저항할 수 없다―Tracy Chapman 「The Promise」에 붙여」, 고경자 「벨베데레의 봄」, 최휘 「은사님이 더 이상 시를 쓰지 않았으면 좋겠다」

이미지 사용법 

          ― 주병율 「신기루―굴참나무 잎」ㆍ「김종삼처럼 말하다―먼지들」ㆍ「너무 늦은 시간」ㆍ「다알리아」, 한명희 「7년 7개월」ㆍ「누구의 누구」ㆍ「다음에」

출발과 발생 

          ― 이강하 「눈사람」ㆍ「칸나의 해안」ㆍ「붉은 화첩」ㆍ「줄무늬 돌」ㆍ「오래된 나무 이야기」

슬픔이라는 물렁한 관념 덩어리를 

          ― 허유미 「브로콜리」, 이령 「슬픔의 가속」, 민구식 「과메기」, 손수진 「그녀의 밥」

아, 시의 불행 시의 희열! 

          ― 김옥종 「풍장(風葬)」, 문경재 「함정」, 이돈형 「노릇」, 신현락 「문장의 표정」

 

■ 발표지 목록

■ 찾아보기

 

본문인용

안과 밖, 주체와 타자, 긍정과 부정 혹은 부정의 부정, 이성과 감성 등의 경계는 무너짐으로써 대립적 개념들을 유통시키는가, 무화됨으로써 가치의 전도를 촉발하는가, 아니면 스스로를 전복시킴으로써 서로를 전복하는 모험을 감행하는가, 아니면 다른 무엇들일까.(46쪽)

 

영화와 현실의 차이점은 전자가 극점으로 치달을 때 후자는 일정 시점에서 멈춘다는 점이다. 전자가 승화, 아니면 파국으로 이행할 때 후자는 타협의 지점을 갖는다. 전자가 이드(Id)나 슈퍼에고(Super Ego)의 면목을 보여줄 때 후자는 대체로 에고(Ego)의 현실감각을 작동시킨다. 문학과 현실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문학이 인간의 본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낼 때 현실은 그것을 은폐한다. 문학이 미추를 길어 올릴 때 현실은 도덕을 외재화한다. 문학이 세속에서 신화의 시간대를 지향할 때 현실은 신화를 세속의 시간대로 끌어내리려 한다. 세속과 신화 사이에서 길항하며 약속이나 사랑도 그 어느 쪽인가로 당겨진다. 당연한 말이지만 시적 상황은 현실이 아니다. 현실을 반영하긴 해도 가공되고 객관화된 지적 공간이다. 그렇다고 하여 시적 상황이 비현실이라는 얘기도 아니다. 시는 정처 없지만, 닻을 내릴 자신의 항구를 갖고 있다.(186쪽)

 

이제는 아우라를 살리는 것이 아우라를 파괴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일이 되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우리는 아우라를 말한다. 시에서 그것은 텍스트의 표면에 드러나기도 하고 이면에서 우러나와 우리의 내면에 자리하기도 하며, 감각적으로 몸에 아로새겨지기도 한다. 이미지로, 전율로, 빛과 어둠으로 혹은 침묵의 형태로 말하고, 삶에 녹아들어 나의 일부가 되기도 한다. 도무지 실체가 없는 아우라는, 그러나 현전한다. 일방향이 아니라 쌍방향으로, 텍스트가 아니라 콘텍스트로. 곧 쾌와 감동을 부여하는 소극적인 방식으로서뿐 아니라 텍스트가 품은 질문에 답하는 독자의 적극적인 참여라는 방식으로. 그리하여 시가 자신의 욕망과 존재들의 욕망에 에워싸일 때 아우라는 빛을 발한다. 아우라는 현전(現傳)하지 않고 현전(現前)한다. (305쪽)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이영숙
강원도 철원에서 출생하여 서울예술대를 거쳐 중앙대 대학원 문예창작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1년 『문학예술』로 시, 2017년 『시와 세계』로 평론을 발표하며 등단했고, 시집으로 『시와 호박씨』 『히스테리 미스터리』가 있다.
푸른사상은 2000년 출판사를 연 이후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는 생각으로 좋은 책을 만들기에 노력하며 1,000여 종의 책을 출간해왔다. 경제적 이익보다는 인문학의 발전을 꾀하는 책, 문학사적으로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사람 냄새가 나는 책을 만들기 위해 창의성 있는 기획으로 힘차게 도약하고 있다. 인문학의 위기가 거론되고 있는 이 시기에 인문학 전문 출판사가 해야 할 역할을 진지하게 고민하며, 오히려 인문학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더욱 양질의 도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며 출판영역의 다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해마다 문학의 현주소를 모색하는 <올해의 문제소설> <오늘의 좋은 시>를 비롯한 현대소설과 현대시, 잊혀져가고 있는 고전문학의 복원, 한류의 열풍과 함께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는 국어학과 언어학, 한국의 역사, 가깝지만 먼 나라 일본과 중국의 문학과 문화, 그리고 근대기의 영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서양사, 서양문학, 서양문화 등 인문학 연구서뿐만 아니라, 종교, 철학, 문화, 여성학, 사회학, 콘텐츠 등 푸른사상의 영역은 갈수록 확장, 심화되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