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봄에는 기쁘다

: 한강의 문장들


  • ISBN-13
    979-11-308-2240-2 (0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푸른사상사 / 푸른사상사
  • 정가
    19,5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4-2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민정호
  • 번역
    -
  • 메인주제어
    인물, 소설이외의 산문
  • 추가주제어
    언어: 일반, 참고서적
  • 키워드
    #문학 #문장 #한강 #독서 #인물, 소설이외의 산문 #언어: 일반, 참고서적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5 * 210 mm, 208 Page

책소개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의 문장으로

시대 상황과 인간의 내면을 통찰한다

 

민정호 교수(동국대 국어국문학문예창작학부)의 『봄에는 기쁘다:한강의 문장들』이 푸른사상의 교양선 23으로 출간되었다. 스무 살 시절에 겨울을 버티듯 읽었던 한강의 작품들을 다시 탐독하며, 한강의 문장을 자신만의 감성으로 해석하면서 시대의 아픔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의 심리를 통찰하는 독서 경험을 독자들과 공유한다.

목차

■ 작가의 말

 

1 봄

2 호기심

3 뒷모습

4 출가

5 만남

6 꽃

7 물구나무

8 어른

9 위로

10 장례식

11 양심

12 소생

13 차가움

14 혼자

15 그곳

16 규칙

17 배제

18 방어

19 접촉

20 소통

21 연결

22 재건

23 영원히

24 의미

25 기억

26 우리

27 의지

28 함께

29 습관

30 심장

31 자전거

32 황홀

33 가면

34 사랑

35 선

36 관찰

37 뒷면

38 유다

39 바람

40 이야기

41 태도

42 부끄러움

43 함께

44 견디는 법

 

■ 참고자료

본문인용

겨울이 가면 봄이 와야 하는데, 여전히 겨울인 사람들도 있다. 『고흐 그림 여행』을 보면, 고흐는 파리에서 두 번 살 기회가 있었지만, 도회적인 인상파 화가들의 화풍을 흡수하지 않고 자신의 “농촌 지향적인 성향”(134쪽)을 그대로 유지했다고 한다. 만약 고흐가 자신의 농촌 지향적 성향을 세련된 도회지와 비교하며 촌스럽다 느끼고, 이를 감출 목적으로 도회적인 인상파 화풍만을 따라하며 그 상태를 버티고 또 버텼다면? 누구나 좋아하는 지금의 고흐는 우리가 알고 있는 그 고흐가 아니었을 것이다. 결국, 겨울이 가도 여전히 겨울인 이유는 ‘잘못된 선택’을 하고도 그 선택의 결과들을 손에 쥔 채로 어리석게만 버텼기 때문이 아닐까? 소설에서는 분명하게 말하고 있으니. “눈물로 세상을 버티려고 하지 마라.”(119쪽) 나는 내 선택의 정당성을 훼손하지 않으려 희생하고 헌신하는 가장이라는 미명하에 어리석게도 눈물로 버텨나간 꼴이었으니,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 그날 새벽, 아내와 이야기한 후? 정신이 번쩍 들지 않았다면, 거짓말일 것이다. 아내 덕분에 나는 겨울에는 견뎠고 봄에는 기쁘다.  (17쪽)

 

수전 손택은 『해석에 반대한다』에서 “지금 중요한 것은 감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우리는 더 잘 보고, 더 잘 듣고, 더 잘 느끼는 법을 배워야 한다.”(34쪽)라고 말했다. 예전에 계절학기로 개설된 글쓰기 수업을 이공계열 학생 하나가 수강했다. 그때 항상 심드렁했던 그 학생 표정이 마음에 걸려 쉬는 시간에 조심스럽게 수업이 어떠냐고 물은 적이 있었다. 뭔가를 골똘히 생각하던 그 학생은 문학이라는 게, 또 감성이라는 게, 하나의 비현실적 환상 같다는 말로 나를 적잖게 당황시켰다. 자신은 당장 4학년이라서 취업을 해야 하는데, 이런 수업이 자신에게 왜 필요한지 모르겠다고도 말했다. 그런데 그 학생의 대답을 들으면서 나는 역설적이게도 수전 손택의 지적, ‘감성의 회복’이 필요하다는 바로 그 주장이 생각났다. 구구절절한 말들이, 혹은 지나치게 풍부한 설명들이 오히려 뻔할 뻔자라는 확신을 만들고, 감성적 해석의 여지 자체를 줄여버리는구나. 다시 말해서 기억하고 소통할 가능성 자체를 배제해버리게 만드는구나. 여기서 중요한 건 감성이구나, 하고 말이다.  (95쪽)

 

사실 나도 많이 궁금했다. 인선 어머니는 왜 그렇게 아픈 몸을 이끌고 제주와 육지를 오가며 전문가도 구하기도 힘든 자료들을 모았을까. 인선은 좋은 감독 커리어를 쌓고 있다가 혹평을 받을 줄 알면서도 세 번째 다큐멘터리에서 갑자기 제주 4·3사건을 왜 다뤘을까. 게다가 혼자 감당하기에 너무나 버거운 ‘작별하지 않는다’ 프로젝트를 왜 그렇게까지 손가락이 잘리면서까지 준비해야 했을까? 인선이 1948년 제주도를 다룬 다큐멘터리를 가지고 영화제에 참석했을 때,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아버지의 역사에 부치는 영상시”(236쪽)라는 부제가 붙었는데, 인선은 이 부제를 전면 부정한다. 이 영상이 아버지를 위한 게 아니라는 말이다. 경하는 다시 그 프로젝트를 언급하는 인선에게 자신이 꾼 악몽은 더 이상 광주와는 상관이 없다고, 자신에게 있었던 안 좋은 가정사가 꿈으로 나타난 거라며, 꿈의 의미가 바뀌었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더 이상 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그때 인선은 경하에게 이런 말을 한다. “……내가 있잖아.” 나는 이 대답을 보고 알게 되었다. 인선은 경하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그 프로젝트를 하는 게 아니라는 걸. 인선이 다큐멘터리를 만든 것도 아버지를 위한 게 아니라는 걸. 인선 어머니가 아픈 다리를 이끌고 자료를 모으고 유족회 활동을 한 건 오빠 유골만을 찾기 위한 게 아니라는 걸. 그건 모두에게 “……내가 있잖아.”라고 말하기 위해서라는 걸 말이다.  (128~129쪽)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민정호
울산에서 태어났고, 일곱 살 이후 파주에서 자라났다. 읽고 쓰는 것을 좋아해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틈틈이 책을 읽어 다정한 글을 #북스타그램을 올리는데, 이 책의 글들은 모두 그로부터 출발한 것이다. 저서로는 『이유 없는 다정함:김연수의 문장들』이 있다.
푸른사상은 2000년 출판사를 연 이후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는 생각으로 좋은 책을 만들기에 노력하며 1,000여 종의 책을 출간해왔다. 경제적 이익보다는 인문학의 발전을 꾀하는 책, 문학사적으로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사람 냄새가 나는 책을 만들기 위해 창의성 있는 기획으로 힘차게 도약하고 있다. 인문학의 위기가 거론되고 있는 이 시기에 인문학 전문 출판사가 해야 할 역할을 진지하게 고민하며, 오히려 인문학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더욱 양질의 도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며 출판영역의 다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해마다 문학의 현주소를 모색하는 <올해의 문제소설> <오늘의 좋은 시>를 비롯한 현대소설과 현대시, 잊혀져가고 있는 고전문학의 복원, 한류의 열풍과 함께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는 국어학과 언어학, 한국의 역사, 가깝지만 먼 나라 일본과 중국의 문학과 문화, 그리고 근대기의 영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서양사, 서양문학, 서양문화 등 인문학 연구서뿐만 아니라, 종교, 철학, 문화, 여성학, 사회학, 콘텐츠 등 푸른사상의 영역은 갈수록 확장, 심화되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