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숙의 소설은 존재의 모서리와 가장자리에 웅크린 마음들을 주목한다. 모호하고 수상한, 그래서 자칫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취급받기 쉬운 감정의 옹이들을 찾아내 그 응달진 세계를 자신의 문학 공간으로 점유한다. 그렇게 김동숙의 이야기들은 일렁이다 흘러가고, 스며들어 물들이는 마음의 행로를 따라 고요하게 만개한다.
두 번째 소설집 『고요의 코끼리』에 실린 일곱 개의 이야기에도 환대, 적의, 모욕, 수치심, 슬픔, 상실감, 불안, 공포, 고독과 같은 친숙한 감정들이 관계의 변화와 이행을 따라 매 순간 낯선 표정을 지으며 위태롭게 출렁거리고 있다. 그러면서도 삶의 매 국면에서 발생하는 감정을 예리하고 심원하게 묘파해내는 김동숙의 단단함과 정갈함은 여전하다.
김동숙 소설의 변칙적이고 다면적인 감정 작용을 ‘정동(Affect)’의 관점에서 포착해보고 싶어진 것은 순전히 이런 이유에서다. 거칠게 표현하자면, 감정이 단일하고 통합된 정서를 일컫는 반면, 감정의 역동성, 수행성, 관계성에 정초한 스피노자-들뢰즈적 개념으로서의 정동은 하나의 감정 안에 존재하는 상이한 정서들의 집합이자 외부의 자극을 감지해 촉발되는 정서적 반응 상태를 의미한다. 나아가 이것은 한 개체의 심리적 범주를 넘어 주체와 대상 혹은 이를 둘러싼 모든 요소들, 즉 이질적인 것과의 마주침에 호응해 변화되는 ‘감응’의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김동숙은 존재의 마주침이 야기하는 감정 작용과 이들의 불협화음을 정동의 형식으로 조직해내는 데 능숙하다. 작가의 이런 특기가 여지없이 발휘되고 있는 『고요의 코끼리』에서 감정은 하나의 실체로 고정된 명사로 수렴되지 않는다. 감정은 생성·변형·유동하는 동사로, 타자와 관계 맺게 하고 다른 차원의 사유로 옮겨가게 하는 정동적 전회를 통해 역동적이고도 실제적인 힘으로 수행된다. ― 임정연(문학평론가, 안양대 교수) 해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