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국선도 무예 교본


  • ISBN-13
    978-89-963716-0-1 (93690)
  • 출판사 / 임프린트
    나무와달 / 나무와달
  • 정가
    48,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09-11-1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박진후
  • 번역
    -
  • 메인주제어
    마음, 신체, 영혼
  • 추가주제어
    가족과 건강 , 신체단련과 다이어트 , 운동 , 요가 (운동)
  • 키워드
    #국선도 #단전호흡 #심신수련 #청산 #청원 #국선도무예 #국선도무예협회 #한국무예 #전통무예 #외공 #마음, 신체, 영혼 #운동 #가족과 건강 #신체단련과 다이어트 #요가 (운동)
  • 도서유형
    종이책, 양장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88 * 257 mm, 336 Page

책소개

1. 우리 민족 고유의 심신 수련법 국선도, 산중에서 비전되던 무예가 대중에게 처음 공개되다

 

세계 각 나라에는 자기 나라를 대표하는 정신 및 수양 문화가 있다. 인도에 힌두 요가가 있다면 중국에는 태극권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바로 밝돌법 국선도(國亻天道)가 있다. 현재 널리 쓰이는 ‘단전호흡(丹田呼吸)’이라는 용어는 1967년에 국선도의 존재를 세상에 알린 청산(靑山) 선사(亻天篩)에 의해 쓰이기 시작했는데, 오늘날 호흡 수련과 관련 있는 단체라면 이 용어를 쓰지 않는 단체가 드물다. 

《국선도 무예 교본》은 청산 선사의 첫 제자이자 사단법인 국선도무예협회 총재인 청원 박진후 선사께서 엮고 쓰신 국선도 무예 전문 서적으로, 내공 단전호흡에 관한 법리는 이미 스승이신 청산 선사께서 여러 책자를 통해 밝히셨지만 국선도 외공 무예는 그간 산중에서 비전되다 이번에《국선도 무예 교본》을 통해 대중에게 처음으로 공개된다.《국선도 무예 교본》은 국선도 입문자부터 중고급자까지 두루 참고하여 수련할 수 있도록 기본 무예 동작부터 고급 기화형까지 체계적으로 밝힌 국선도 무예 수련의 교본으로 1,600여 장의 올컬러 사진을 함께 실어 권법과 보법, 족술, 기화형 및 기화 응용형까지 이 한 권의 책으로 마스터할 수 있도록 친절히 안내하고 있다. 

신비주의에 갇혀 종교적 성향으로 치닫는 사적 수련 단체를 지양하고 나라와 민족의 운명과 함께했던 옛 선인들의 기개를 이어받아 생활 체육, 사회 체육의 한 형태로 국민 건강 증진 및 국가 차원의 인재 양성 교육으로 발돋움하고자 창설된 사단법인 국선도무예협회의 유지가 잘 담겨 있는 수련 지침서이니만큼 일반인들에게도 유익한 무예 교본이 될 것이다.

 

 

2. 이 책의 구성

 

《국선도 무예 교본》은 총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국선도의 유래와 수련 체계, 청산 선사와 초기 시범단(신력사 청원 박진후, 태력산 청화 김종무, 철선녀 김단화)의 활동상 및 사단법인 국선도무예협회의 활동상을 화보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1장〈단법과 운동〉에서는 옛 우리 선인들이 단전호흡에 들기 전에 행하던 몸 풀기 동작과 단전행공을 마치고 기운을 갈무리해주는 정리 동작, 그리고 몸속 장부 강화 운동 등을 사진을 곁들여 자세히 풀어놓았다. 이 동작들만 충실히 따라 해도 몸이 유연해지고 강건해질 것이다.

2장〈기화법 기본 동작〉에서는 실제 기화형에 들어가기 전에 익혀야 할 무예의 기본들을 정리했다. 국선도 무예는 서서히 동작을 취하다가 빨라지고 빨리하다가 또 느려지는 특색이 있으며 무엇보다 상대의 경혈(經穴)만 혈타(穴打)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런 특징을 몸으로 잘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마자세 호흡 등을 통해 기본을 잘 닦아야 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대해서도 전문가 못지않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 국선도 무예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인체 사용혈점을 혈타도를 통해 직접 밝혔고 인체의 공격 사용 부위 또한 사용례를 곁들여 구체적으로 정리했다.

3장〈기화법〉에서는 국선도 무예 기화형 14개 형을 밝혀놓았다. 화중법(和中法)에서 묘공법(妙功法)까지 이 기화형들은 내공 단전호흡이 뒷받침되지 않고 기운을 축기하고 운기하는 법을 알지 못하면 제대로 구현하기 어려운 동작들이 많다. 실제 호흡 수련과 병행하여 형들을 익혀야만 각 형의 길을 밟을 수 있고 그 참맛을 볼 수 있다. 

4장〈기화 응용편〉에서는 호신(護身)을 위한 집타법, 일반인들도 무난하게 따라 할 수 있는 건강호흡행공법(노궁혈과 용천혈 밀기), 대한특공무술협회와 함께하는 국무형(國武型) 등을 소개했다. 타 무예와도 무난히 조화를 이루는 국선도 무예의 일면을 볼 수 있다.

 

 

3. 국선도

 

옛 말로 ‘밝도’ 혹은 ‘밝돌법’이라 불린 국선도는 고대 문헌에서는 화랑도, 신선도, 풍류도, 풍월도 등으로 명시되었는데 평상시에는 명산대천을 주유하며 호연지기를 기르다 나라가 위기에 처하면 갈고 닦은 무예와 기운으로 적을 물리치는 데 앞장섰던 우리 민족 고유의 심신 수련법이다. 천기도인에게서 유래하여 고조선 시대의 단군으로 맥이 이어져 삼국 시대에는 화랑도, 조의선인, 수사라는 국가 차원의 인재 양성 제도로 널리 행해져왔다.

선도(仙道) 원류로서 단군 이전 시대부터 유래하기에 자칫 종교성을 지니는 것처럼 오인되지만 국선도는 어디까지나 실제적인 경험과 체득을 중시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선도 수련 ․ 수양법으로 천기도인(天氣道人)으로부터 환인(桓因), 환웅(桓雄), 단군(檀君), 영랑(永郞), 물계자(勿稽子), 최고운(崔孤雲), 청학진인(靑鶴眞人), 운학도인(雲鶴道人), 무운도인(無雲道人), 청운도인(靑雲道人)에 이르러 전수되다 현대에 들어와 그의 제자인 청산 선사에 의해 세상에 다시 알려지게 되었다. 

이렇듯 산중 선인들의 맥을 이은 청산 선사께서 ‘단전호흡’, ‘기수련’, ‘단학’ 등의 용어를 사용하며 그 존재를 널리 알린 국선도는 1970년 이후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졌고 국내외에 전수장과 연수장이 개설되어 일반인들도 국선도를 수련할 수 있게 되었다. 청산 선사는 초창기에 국선도를 보급하기 위해 세 명의 제자를 두어(신력사 청원 박진후, 태력산 청화 김종무, 철선녀 김단화) 국내외로 많은 시범을 보여 알렸고 그들로 하여금 국선도를 지도, 보급케 하였으며 후로 많은 지도자들이 배출되어 국민 건강 증진 및 국가 차원의 인재 양성 교육으로 자리 잡으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4. 국선도무예협회

 

9,70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배달겨레 고유의 정통 수련법 국선도는 단전호흡에 바탕을 둔 내공 수련과 그 공력을 외부로 발산하는 외공 수련(무예) 두 측면으로 이루어져 명실 공히 심신의 균등한 발달과 변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차원 높은 도법이다. 

사단법인 국선도무예협회는 국선도를 세상에 다시 편 청산 선사의 첫 번째 제자이신 청원 박진후 선사께서 설립한 정통 국선도 수련의 본가로서 한국무술총연합회에서 국선도 대표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전국 각지에서 국선도 정통 내외공 수련법을 전수하고 있는 국선도무예협회는 국선도법을 충실히 계승, 발전하고 명실 공히 내외공을 겸비한 국선도 수련자 및 지도자를 배출하여 국민 건강 증 및 지역 사회와 국가에 유익이 되는 길을 도모하고 있다.

국선도무예협회를 이끄시는 청원(신력사) 박진후 총재는 1960년대 후반 청산 선사께서 하산하여 국선도를 세상에 알리실 때 청화(태력산) 김종무, 철선녀 김단화와 함께 일대 제자로서 국선도에 투신하여 사회 보급에 앞장섰던 분으로, 현재 비전되는 국선도 무예를 현대인들에게 전수하고자 지도자 교육 등 제일선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분들의 정통성은 청산 선사님의 육성 강연을 통해 언급된 바 있다.

 

오늘날은 시범을 별로 안 합니다만 옛날에는 텔레비전에서 제가 수없이 시범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아, 대개 이것을 하게 되면 몸이 건강해지고 마음도 맑아지고 생활하는 데도 상당히 유익하니, 하십시오 하게 되면 이게 무슨 얘기냐 하고 반문합니다. 그러나 실지 시범을 보이면 야, 거 힘이 나오나 보다, 또, 거, 뭐 좀 좋은 건가 보다 이런 얘기를 많이 하면서 한두 번씩, 그럼 배워달라, 배워보자, 이렇게 시작해가지고 종로3가 피카디리 옆에다가 조그만 도장을 냈다가 그 다음에 청계천, 다음으로 현재 이곳 백궁까지 이사를 하게 됐습니다. 물론 그 당시만 해도 인왕산 삼왕사에 있으면서 제가, 某씨라고 하는 지금은 스님이십니다마는 그분 댁에서 힘든 생활을 하면서 처음에 세 사람을 지도했습니다. 철선녀(鐵扇女)라고 하는 여자 아가씨 하나와 남자 둘, 신력사(神力士)라고 제가 호를 지었습니다마는, 그 다음을 태력산이라고 하는 지금 미국의 도장에 사범으로 있습니다만 이렇게 셋을 지도해봤습니다. 얘들이 하다 보니까 얘들 자신도 저와 똑같이 힘이 난다 이겁니다. ―밝문화연구소,《흰구름 걷히면 청산이거든》에서

 

 

5. 추천글

 

국선도 외공 무예에 관해서는 사부님께서 남기신 필사본과 저희 수제자들에게 직접 가르쳐주신 몇몇 외공형을 제외하고는 세상에 알려진 바가 없어 후학들에게 안타까움이 컸을 줄로 압니다. 40여 년 전, 국선도가 시중에 처음 소개되었을 때 저 신력사 청원과 사제 태력산 청화, 사매 철선녀 셋은 사부님의 지도하에 국선도 외공의 진수를 직접 시범 보이며 단전호흡의 위력을 세상에 알렸습니다. 하지만 가시화된 도력道力에 대한 오해 및 오용이 확산되어가자 사부님께서 외공 수련을 일체 금하셨던 것이 오늘날에 와서는 국선도 외공(무예)의 존재성 자체가 잊혀져가는 지경에 이른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안타까움이 컸으나 그것이 한편으로 염원이 되어 이렇게 국선도 무예를 체계화하는 작업에 이르렀으니, 감회가 남다르다 하겠습니다. ―신력사 청원 박진후

 

국선도 외공은 아주 오래된 무예입니다. 그래서 현대 무술과 비교해서 원시적으로 보일 수도 있고 그 의미를 금방 알아차리기 힘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겉모습 형태만 보았을 때이고 이 외공형이 내공과 합쳐졌을 때는 무한한 힘을 발휘합니다. 내공의 힘이 뒷받침되면 오묘하고 깊이 있는 수련이 되며 어떤 무술보다도 강하고 세련된 동작으로 바뀝니다. 국선도 외공은 강한 파괴력으로 인해 한때는 사회에 적지 않은 소란을 일으켰었습니다. 사회 적응에 무리가 있는 무예라는 판단으로 전수를 금지해오다가 37년 만에 청원 선사님의 배려로 다시 세상에 알려진다는 사실만으로도 국선도 수련생들뿐만 아니라 타 무술인들 사이에서도 반 전설로만 여겨졌던 국선도 외공을 수련할 수 있게 된 것은 우리 모두가 큰 복을 받았다 볼 수 있습니다. ―태력산 청화 김종무

 

국선도는 우리 민족이 태동하면서부터 그 운명을 함께해온 심신 수련법입니다. 청산 사부님께서 우리에게 전수하신 국선도는 내공 수련과 외공 수련이 있는데, 그중 외공 부분을 신력사 선배님께서 결단을 가지고 정리를 하셔서《국선도 무예 교본》으로 발간하신다고 하니 참으로 기쁘고 반갑습니다. 내공 부분은 사부님께서 어느 정도 밝혀놓아서 그에 관한 사부님의 저서들로 부족함을 채울 수 있었지만 외공 부분은 미미하여서 그동안 후학들은 풍문으로만 들어 안타까움이 가득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 신력사 선배님께서 국선도무예협회를 창설하시어 산중 수련의 각고 끝에 체득하신 수련법을 밝히시니 수련에 대한 열망이 큰 후학들에게는 크나큰 배려라 생각됩니다. ―철선녀 김단화

목차


화보 3
발간사 | 청원 박진후 20
추천사 | 청화 김종무 22
추천사 | 철선녀 김단화 24
국선도 26
국선도 수련 체계 28

1장 단법과 운동 34
1. 기혈순환유통법 37
가. 준비운동 37
나. 정리운동 57
1) 정리본운동 57
2) 장부운동 67
내기전신행법 67 | 천신화행법 71
3) 말정리운동 74

2장 기화법 기본 동작 76
1. 기화법 신체 사용 부위 78
가. 인체의 급소 및 공격 목표 78
나. 공격 및 방어 사용 부위 81
1) 주먹 84
2) 손 89
3) 팔목 97
4) 팔굽 97
5) 발 98
6) 정강이 104
7) 무릎 104
8) 머리 105
2. 기화법의 기본 106
가. 준비 및 기마 자세 106
나. 행보법 107
다. 족술 112
라. 수법과 각법 130
마. 낙법 138

3장 기화법 142
기화강령 145
1. 기화법 준비운동 146
2. 기화형 151
가. 화중법 151
나. 오공법 155
다. 연혈법 166
라. 기화팔법 181
1) 팔상법 182
2) 팔형법 198
마. 용마화 214
바. 용춘화 224
사. 춘비화 234
아. 호진법 244
자. 비룡법 254
차. 약상법 264
카. 약천법 274
타. 결단법 284
파. 묘공법 294

4장 기화 응용편 304
1. 기화집타법 306
2. 건강호흡행공법 317
3. 국무형 322
4. 격파 333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박진후
청원(靑元) 박진후(朴眞厚) 선사는 국선도를 세상에 알린 청산 선사의 첫 제자로, 1960년대 청산 선사와 함께 국선도를 널리 알리기 위해 초기 시범단(신력사 청원 박진후, 태력산 청화 김종무, 철선녀 김단화)으로 활동하였고 국선도의 첫 사범, 첫 법사를 지냈다. 현재 사단법인 국선도무예협회 총재.
나무와달은 2009년 11월 5일 설립한 출판사로 '앎이 삶이 되는 지혜의 숲'을 지향하며 자연(Nature), 생명(Life), 영성(Spirituality) 콘텐츠를 기획, 출간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지식과 정보가 우리의 몸, 맘, 삶으로부터 분리되어 발생하는 문제들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출판을 통해 우리 안에 내재된 자연율과 공동선을 회복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아울러 지향하는 세계관과 삶의 궤적이 조화로운 인물을 발굴해 그들의 고유한 스토리를 널리 알리는 데도 소명 의식을 갖고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