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동물보건사를 위한 반려동물학’ 교재는 동물보건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교수님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2022년 첫 출간된 이후로 동물보건사 교육을 위한 바이블로 자리 매김하고 있습니다. 초판 출간 이후 저자들은 지속적인 모니토링을 통해 교재의 부족한 점들을 보완하고 기타 애완동물 챕터에 기니피그와 고슴도치 내용을 추가하여 2차 개정판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동물보건학과 관련 대학에서 반려동물학 과목을 담당하시는 대다수 교수님들이 참여하여 동물보건사 교육의 표준화를 위한 노력으로 이번에 출간되는 개정판 ‘동물보건사를 위한 반려동물학’ 교재는 관련 대학의 공동 교재로서 ‘반려동물학’ 과목의 기본 지침서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2021년부터 국가자격증 ‘동물보건사’ 제도가 시행된 이후 매년 배출되고 있는 동물보건사는 동물 병원에서 동물 의료 스텝으로 환자 동물과 보호자 사이에서 동물 병원의 의료적 진료 보조 역 할과 보호자 상담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동물보건사 국가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시행되는 자격 시험
의 필수 과목 중 하나로 ‘반려동물학’이 있습니다. 반려동물학은 반려견과반려 고양이를 주요 대상으로 하고 토끼, 햄스터, 페럿, 기니피그, 고슴도치 등의 다른 애완동물들의 품종 종류, 특성, 사양관리, 질병 및 예방 등의 기본적인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본 교재는 동물보건사 기본 과목인 반려동물학의 기본 교재로서 정확한 내용과 최신의 지식이 포함된 기본 서적으로 활용하고자 작성되었습니다. 본 교재는 이와 같이 동물보건사 관련 학과 학생들이 보다 반려동물에 대한 전반적인 기본 내용을 습득할 수 있고 관련 지식을 넓힐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본 교재의 학습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주요 대상인 개와 고양이를 중심으로 토끼, 햄스터, 페럿, 기니피그, 고슴도치와 같은 동물들의 기원과 유래, 품종과 분류, 습성과 행동 특성, 입양 시 고려 사항, 식사 관리, 일반 관리, 번식 관리, 질병 예방과 건강관리, 질병과 예방 등의 지식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로 주로 사육되고 있는 개와 고양이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여 앞으로 배우게 될 다양한 반려동물 관련된 과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동물보건사로서 갖추어야할 기초 지식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본 교재의 저자들은 동물보건학과 관련 대학에서 ‘반려동물학’ 과목을 담당하고 있어 ‘반려동물학’ 관련 연구와 교육을 계속 수행하였고 축적하고 있습니다. 본 교재는 그동안 동물보건사 자격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표준화된 공통 교재로 이용되고 있어 저자들은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교재 내용의 오류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최신 지식의 반영을 위해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번에 출간되는 2차 개정판 ‘동물보건사를 위한 반려동물학’ 교재가 동물보건학과 관련 대학의 재학생들에게 반려동물학 과목의 기본 지침서로서 더 좋은 교재가 될 수 있도록 저자들은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겠습니다.
저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