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2025 올해의 문제소설


  • ISBN-13
    979-11-308-2221-1 (0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푸른사상사 / 푸른사상사
  • 정가
    19,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2-2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
  • 번역
    -
  • 메인주제어
    소설: 일반 및 문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한국소설 #소설: 일반 및 문학 #한국현대소설학회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4 mm, 352 Page

책소개

새로운 문학적 감각과 세대적 감수성의 창발적 진화,

그 신호탄을 쏘아 올리는 소설들

 

2024년 한 해 동안 문예지에 발표된 중·단편소설 중 한국현대소설학회에서 선정한 11편의 작품을 수록한 『2025 올해의 문제소설』이 푸른사상사에서 출간되었다. 다양한 서사 문법과 편폭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가는 작가들의 새로운 문학적 감각과 세대적 감수성을 만나볼 수 있다.

 

목차

■  책머리에

 

김병운|만나고 나서 하는 생각

[작품 해설] 속죄의 깊이와 보상_ 신종곤

 

서고운|여름이 없는 나라

[작품 해설] 피로사회에서 ‘함께’ 살기_ 김지영

 

서장원|리틀 프라이드

[작품 해설] 누군가의 삶이 스크롤 될 때_ 곽승숙

 

성해나|스무드

[작품 해설] 약한 연결_ 김남혁

 

예소연|작은 벌

[작품 해설] 허위적 삶에서 진실한 얽힘으로_ 신제원

 

이미상|옮겨붙은 소망 

[작품 해설] 진화하는 이야기와 희망_ 이정현

 

이서수|AKA 신숙자

[작품 해설] 그녀를 안다, 사랑한다, 그리고 모른다_ 민선혜

 

이주혜|괄호 밖은 안녕

[작품 해설] 언어의 심연과 환대의 조건_ 김보경

 

이준아|청의 자리

[작품 해설] 자리를 구하는 사람들_ 강도희

 

이희주|최애의 아이

[작품 해설] FAN_ 노태훈

 

최미래|과자 집을 지나쳐

[작품 해설] 그러나 만약 우리가 손을 잡고 걷는다면_ 안세진

본문인용

나는 나를 단숨에 밀어내는 듯한 진동에 뒷걸음질 치기 시작했다. 물속을 걷는 것 같은 무게감과 저항감을 느끼면서, 동시에 내 발이 점점 더 다급하게 움직이는 것을 지켜보면서. 이대로 돌아서면 오래도록 후회하리라는 걸 알면서도 돌아섰고, 여기서 달아나면 영영 죄스러우리라는 걸 알면서도 달아났다. 그렇게 나는, 도망쳤다.  (김병운, 「만나고 나서 하는 생각」, 23쪽)

 

미주의 어설픈 위로에 덕희는 톡 쏴붙였다. 대화는 대충 그렇게 끝이 났다. 둘은 조각난 딸기 더미에 설탕을 붓고 나서 한동안 마주 앉아 있었다. 한 사람이 하나의 삶을 지탱하는 것보다는 두 사람이 두 개의 삶을 지탱하는 편이 낫다. 비슷하게 고생하고 비슷하게 안쓰럽고 비슷하게 불행하면서도 종종 같이 즐거울 수 있는 미주와의 삶이 딱 좋았다.

(서고운, 「여름이 없는 나라」, 51쪽)

 

“이거…… 정말 힘들지 않나요? 여러 가지로요.”

오스틴은 다 안다는 듯 고개를 끄덕였다. 그는 사지연장술에 대해 한참 설명한 다음, 이제 거의 마음을 굳혔다고 덧붙였다.

“그렇게 해서, 새 출발을 하고 싶어요. 좋은 여자도 만나고요, 페미가 아닌 좋은 여자.”

(서장원, 「리틀 프라이드」, 81쪽)

 

내 말에 미스터 김이 고개를 힘차게 끄덕였다. ‘열사’가 무슨 뜻인지 묻자 그는 생각에 잠기더니 아주 좋은 사람들이라고 풀이해주었다.

아주 좋은 사람들. 그의 말을 나도 미온하게나마 수긍했다. 여기 모인 이들은 모두 좋은 사람들 같았다. 대가 없이 호의를 베풀고 수고를 마다 않고 마음까지 내어주는 온정으로 넘치는 이들이었다.  (성해나, 「스무드」, 120쪽)

 

게다가 이중일은 이 일이 싫었다. 타인의 삶과 죽음에 대해서도 제대로 생각해보지 않은 채 오래도록 이 일을 해왔고 환자들의 삶에 관여하는 것은 정말이지, 죽도록 싫었다. 그래, 죽도록. 이중일이 건사해왔던 그 이상한 평화는, 그들의 삶에 관여하지 않고서야 가능했다.

(예소연, 「작은 벌」, 149쪽)

 

n&n’s는 세상 물정에 어두운 사람이 전혀 아니어서 아파트를 팔겠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을 때에도 앞으로 집값이 계속 오르리라는 것을 알았다. 그런데도 남편에게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여보, 나 살면서 한 번은 돈을 이겨보고 싶어. 아파트를 팔아버리자. 손해 볼까 전전긍긍하지 말고 선제적으로 손해를 봐버리고 손해로부터 자유로워지자.” 

(이미상, 「옮겨붙은 소망」, 174쪽)

 

미리야…… 나는 중요한 일을 하려고 태어난 사람이라는 생각이 이 나이에도 자꾸만 든다. 왜 그럴까. 이 우주에 신숙자로 태어나 헬레나로 살어리랏다,가 되는 건 불가능한 일인데.

엄마, 양말 포장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야.

맞아, 그것도 중요하지, 하고 숙자 씨가 순순히 답했다.  (이서수, 「AKA 신숙자」, 217쪽)

 

오직 손짓과 몸짓, 표정만을 동원할 뿐인데 이상하게도 여자가 무슨 말을 하려는지 저절로 이해되었다. 여자는 마임 배우라고 해도 좋을 만큼 동작이 섬세하고 표현력이 뛰어났다. 몸에서 출발한 언어는 의식적인 해석의 노력이 필요 없게 단단한 괄호에 담겨 곧바로 내 몸에 도착했다.  (이주혜, 「괄호 밖은 안녕」, 237쪽)

 

윤은 단을 발견하고 활짝 웃었다. 여전히 걷지 않는 다리 위에는 청을 만들기 위한 과일 꾸러미가 한가득 얹혀 있었다. 단은 당장이라도 그 과일들을 물가에 내동댕이치고 윤을 휠체어에서 끌어내리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  (이준아, 「청의 자리」, 262쪽)

 

스스로를 사랑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쳐버렸고, 그 기회는 앞으로도 오지 않을 것이다. 진짜 비참하지? 그런데 이렇게 비참한 내가 사랑할 수 있는 아이를 가졌다는 건 얼마나 행운인가. 다른 누구도 아닌 유리의 아이를. (이희주, 「최애의 아이」, 302쪽)

 

힘없이 걷는 두 사람 앞에 과자 집이 보였다. 달콤하고 알록달록한 과자 집이 하나, 둘, 셋, 넷 끝없이. 우리는 앞으로 과자 집을 몇 개나 더 지나쳐야 할까. 모든 과자 집을 무사히 지나칠 수 있을까. 구운 과자 냄새는 어찌나 향긋하고 부드러운지. 

(최미래, 「과자 집을 지나쳐」, 341쪽)

서평

-

저자소개

엮음/냄 :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 분야를 전공하면서 ‘한국의 현대소설’을 강의하고 있는 교수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연구학회이다. 이 학술단체는 현대소설을 연구하고 자료를 발굴·정리하며 연구 결과의 평가를 통해 이론을 정립, 한국 현대소설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푸른사상은 2000년 출판사를 연 이후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는 생각으로 좋은 책을 만들기에 노력하며 1,000여 종의 책을 출간해왔다. 경제적 이익보다는 인문학의 발전을 꾀하는 책, 문학사적으로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사람 냄새가 나는 책을 만들기 위해 창의성 있는 기획으로 힘차게 도약하고 있다. 인문학의 위기가 거론되고 있는 이 시기에 인문학 전문 출판사가 해야 할 역할을 진지하게 고민하며, 오히려 인문학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더욱 양질의 도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며 출판영역의 다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해마다 문학의 현주소를 모색하는 <올해의 문제소설> <오늘의 좋은 시>를 비롯한 현대소설과 현대시, 잊혀져가고 있는 고전문학의 복원, 한류의 열풍과 함께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는 국어학과 언어학, 한국의 역사, 가깝지만 먼 나라 일본과 중국의 문학과 문화, 그리고 근대기의 영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서양사, 서양문학, 서양문화 등 인문학 연구서뿐만 아니라, 종교, 철학, 문화, 여성학, 사회학, 콘텐츠 등 푸른사상의 영역은 갈수록 확장, 심화되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