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조선후기 기생의 공간과 문화


  • ISBN-13
    979-11-89766-38-2 (9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지성인 / 도서출판 지성인
  • 정가
    21,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03-06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박수진
  • 번역
    -
  • 메인주제어
    문학연구: 소설, 소설가, 산문가
  • 추가주제어
    역사소설 , 소설: 서사 테마 , 인물, 소설이외의 산문
  • 키워드
    #문학연구: 소설, 소설가, 산문가 #역사소설 #소설: 서사 테마 #인물, 소설이외의 산문
  • 도서유형
    종이책, 양장
  • 대상연령
    모든 연령, 학술 전문서
  • 도서상세정보
    153 * 225 mm, 230 Page

책소개

기생에 대한 많은 선행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 하지만, ‘나만 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더 진한 매력을 느꼈다. 잘할 수 있을지는 또 다른 문제였다. 기생은 연구하면 할수록 참으로 매력적이었다. 비록 그녀들이 써 놓은 자료들이 그리 많지 않지만, 그런 까닭에 그녀들의 관점으로 바라보며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하였는지를 알 수 있었다. 공간에 대한 논의는 박사 이전부터 지금까지도 관심의 대상이기에 아직도 고민하는 것 중 하나다. 그렇게 기생이라는 인물들, 그녀들의 공간, 그녀들의 문화에 대한 연구들을 가지고 썼던 논문들이 하나하나 쌓이게 되었고, 어느덧 한 권의 책으로 묶어지는 분량이 되었다. 이 연구들 가운데서도 3장에서 6장까지의 4편은 2014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사업을 받아서 쓴 논문들이다. 

삶은 공간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공간과는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어떤 공간에서 어떻게 생활하느냐에 따라 그 사람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공간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공간은 사회를 반영하고 문화를 형성하는 그릇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 책은 그런 사람들의 생활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공간에 초점을 맞춰 제시한 것들이다. 필자는 작품에 드러난 공간을 따라가면서 그녀들의 삶과 문화적 의미들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 책에 모인 7편의 글들은 학술지에 발표했던 논문들을 엮어 책의 목적에 맞게 다시 고쳐 쓴 글들이다. 물론 책은 여섯 편의 논문과 한 편의 보론으로 구성하였다. 

6편의 연구들은 기생들이 살았던 공간과 문화에 대해 언급한 글들인 반면, 마지막 글은 기생의 욕망 구조에 대한 글이다. 이 글은 기생의 생활상을 드러낸 작품이기는 하나, 공간과는 거리가 있는 듯하여 보론으로 하여 마지막 보론에 따로 배치하였다. 

목차

▫ 들어가기  5

제 1 장 

〈금루사金縷辭〉의 의미 구조 분석과 공간 구조 연구 13

작품의 의미구조 분석  15

1. 적강 구조의 재현  15

2. 공간 구조의 확장  19

3. 욕망 구조의 모순   26

구조 양상의 행위소 분석  30

1. 사랑의 행위소 모형  31

2. 이별의 행위소 모형  33

작품 공간의 구조적 특성  35

1. 아름다운 자연의 공간  37

2. 사랑과 이별의 공간  38

3. 소외된 특별한 공간  40

맺음말  41

제 2 장 

〈군ᄉᆞᆫ월ᄋᆡ원가〉의 작품 분석과 시·공간 구조 연구 44

〈군ᄉᆞᆫ월ᄋᆡ원가〉의 작품 분석  46

1. 작품 구조   47

2. 형식적 특징  49

 2.1 대화 형식  49

 2.2 고사 인용   54

 2.3 시점 변화  60

작품의 시·공간적 구조   68

1. 과거의 어느 때 : 고정 공간   69

2. 현재의 상황 : 이동 공간   70

3. 미래의 모습 : 상상(환상) 공간   73

맺음말   75

제 3 장 

『염요(艶謠)』를 통해 본, 풍류 공간의 사회문화적 의미 77

작품의 시대적 상황   80

작품에 드러난 풍류 공간  84

1. 금강 : 그리움, 이별의 공간  86

2. 화산교   92

 2.1 잔치와 놀음 : 즐거움의 공간  95

 2.2 쾌락과 부정(不正)의 공간  98

3. 서호 위의 배 : 흥취의 공간  102

풍류 공간의 사회문화적 의미  104

제 4 장

『소수록』에 나타난 기생들의 내면 의식과 사회문화적 의미 연구 106

『소수록』의 구성 및 의미 분석  107

기생들의 내면 의식  114

1. 님에 대한 사랑과 원망  115

2. 소외된 하층민의 자의식과 욕망   122

3. 조선 사회의 모순과 비판   127

19세기 사회문화적 의미    134

1. 하위 주체의 일탈   135

2. 지배와 저항의 문화  137

3. 공간 문화의 복합성   140

맺음말  141

 제 5 장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악부』 소재 《외입장이 격식》을 통해 본 유흥 공간의 정치학 143

작품의 내용 및 구조  145

1. 작품의 내용  145

2. 작품의 형식과 구조  149

 2.1 대화체 형식   150

 2.2 상황에 따른 대립 구조  152

유흥 공간[기방(妓房)]에서의 문화정치  157

1. 주체와 공간의 관계 : 공간의 의미화  157

2. 공간과 권력의 관계 : 공간의 제도화  160

3. 권력과 주체의 관계 : 표면화된 진실  166

결론  169

제 6 장 

『북상기(北廂記)』에 드러난 인물형상과 공간인식 171

『북상기』의 내용 분석  172

『북상기』에 등장하는 인물 형상  175

1. 모순관계로 성립된 두 인물 : 순옥과 낙안선생  175

2. 일치관계로 성립된 두 인물 : 봉래선과 이양진  179

『북상기』에 드러난 공간인식  182

1. 유흥(遊興), 사치(奢侈)의 공간 : 순옥의 집  183

2. 안빈낙도(安貧樂道) 및 연희(演戱)의 공간 : 낙안당(樂安堂)  187

3. 약속(約束), 해방(解放)의 공간 : 두물고개 주막  188

4. 내기, 놀이의 공간 : 이양진의 여관  190

5. 통합(統合), 치유(治癒)의 공간 : 순옥의 집[북상(北廂)]  193

맺음말   195

 보 론  

〈ᄎᆞᆫ ᄒᆡ영 명긔 명션이라〉의 욕망 구조 고찰 197

문제제기  197

〈ᄎᆞᆫ ᄒᆡ영 명긔 명션이라〉의 작품 구조  198

작품에 드러난 인물들의 특징  202

1. 기생 명선   202

2. 양반 김진사  209

인물의 특징을 통해 본 욕망 구조  212

1. 기생 명선의 욕망 구조   213

2. 양반 김진사의 욕망 구조  216

〈ᄎᆞᆫ ᄒᆡ영 명긔 명션이라〉의 욕망 양상 - 결론을 대신하여  217

 ■ 참고 문헌 220

■ 색인  225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박수진
전북 전주 출생. 전주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양대 동아시아문화네트워크 연구단 연구원, 전남대 BK21플러스 지역어기반문화가치창출인재양성사업단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현재 성결대학교 파이데이학부 강사,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공간과 문화를 결합한 문화지리학과 소외된 지역문학, 소수자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저로 『문화지리학으로 본 문림고을 장흥의 가사문학』이 있고, 「<탐라별곡>에 드러난 제주의 문화 공간 연구」, 『제주 고전문학의 지평과 해양문화』(공저), 「18세기 장흥지역 향촌의 위기상황과 대응양상-<임계탄>을 중심으로-」, 『위기와 성찰의 뉴노멀시대』(공저)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조선 후기 야담집에 나타난 역병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어우야담》과 《천예록》을 중심으로」, 「개화기 가사에 나타난 전통적 봉건 담론의 지속과 균열- 여성 교육을 소재로 한 가사작품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출판사소개

“전통문화와 시대적 상황, 역사적인 사실을 학문적 이론을 후세에 알리자”라는 생각으로 출판사를 설립하게 되었습니다.
대부분 상업성이 없어 학계의 전문연구자 이외 독자층이 없는 책은 물론이고, 누군가 찾게 될 한 사람의 연구자를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책들을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사명감으로 간행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지난 시간동안 아끼고 사랑해준 많은 분들에게 감사드리며 더욱더 열심히 움직이며 파이팅 하며 출간에 힘쓰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