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소설로 장애 읽기 2


  • ISBN-13
    978-89-97631-88-9 (0481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지성인 / 도서출판 지성인
  • 정가
    18,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8-02-2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정창권 외(et al.) , 윤종선 외(et al.) , 노혜진 외(et al.) , 박현정 외(et al.) , 윤태근 외(et al.) , 허지이 외(et al.)
  • 번역
    -
  • 메인주제어
    문학연구: 소설, 소설가, 산문가
  • 추가주제어
    문학: 문학사 및 평론 , 어린이, 청소년 문학 연구: 일반
  • 키워드
    #문학연구: 소설, 소설가, 산문가 #문학: 문학사 및 평론 #어린이, 청소년 문학 연구: 일반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5 mm, 312 Page

책소개

이 책에 대한 구상은 2016년 5월 즈음에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장애인들의 삶이 얼마나 잘 들어있는지를 분석한 평론집 형태로, 장애 유형과 작품의 주제에 따라 분석하면서 주요 내용을 소개해보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시 원점에서 책의 기획과 구성안을 생각하기로 했다. 자세히 분석한 평론집도 좋지만, 문제는 우리의 기대나 포부와는 다르게 대중들은 묵직한 주제로 훈계나 가르침을 받는 것을 좋아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오히려 장애를 소재로 했거나 장애인이 등장하는 작품이 무엇이 있으며, 왜 주목해야 하는지, 그 내용은 어떤 것 인지를 알리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의의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장애인이 등장하는 소설을 선택하여 간략한 소개와 함께 원전을 그대로 읽어보는 작품집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문의 형식을 작품을 시대별로 배열한 뒤, 작품소개와 본문, 생각해볼 문제 등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작품소개에서는 작가 와 작품의 발표 시기 등을 중심으로 간략히 제시한 뒤, 줄거리와 작품의 주제, 

의의 등을 장애의 관점에서 소개하였다. 그런 다음 본문에서는 원전의 내용을 다 싣되,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원전에 없는 소제목을 달고 현대어로 고쳐 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생각해 볼 문제는 한 작품이 끝날 때마다 작품 속 내용을 질문과 대답형식으로 구성하여 장애의 관점에서 작품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근대시기에 장애인의 삶은 어떤 모습으로 변화해 가는지 문학작품을 통해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고, 작품전체를 흥미로우면서도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하는데 주력하였다.

목차

근대 장애인의 문학적 초상

 1장. 돈보다 못한 여인의 인생: 계용묵의 「백치 아다다」

 2장. 애꾸눈 누님의 홀로서기: 김소엽의 「누님」 

 3장. 문둥이 남편을 둔 아내의 고충: 김정한의 「옥심이」

 4장. 이기심에 밀려난 문둥이 엄마의 비극: 김동리의 「바위」

 5장. 여자로 인정받지 못한 언청이 아낙: 주요섭의 「추물」 

 6장. 근대 시각장애인 학교의 실상: 엄흥섭의 「실명」 

 7장. 장애의 대물림을 끊기 위한 슬픈 이별: 계용묵의 「캉가루의 조상이」 

 8장. 절름발이 소녀의 성장통: 박태원의 「사계와 남매」 

 참고문헌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정창권  외(et al.)
고려대학교 문화창의학부 부교수. 대구대 대학원 장애학과 출강. 서울시청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평가 및 자문위원. 한국박물관협회 평가 및 자문위원. 서울시교육청 고전인문아카데미('고인돌'),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길 위의 인문학 특강. 201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19년 롯데출판대상 본상, 2019년과 2022년 세종도서 학술 및 교양 도서 선정, 2015~2019, 2022년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수상.
여성사, 장애사, 노년사, 하층민사, 성과 인구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조선의 살림하는 남자들』, 『천리 밖에서 나는 죽고 그대는 살아서』, 『근대 장애인사』, 『정조처럼 소통하라』, 『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세상에 버릴 사람은 아무도 없다』, 『꽃으로 피기보다 새가 되어 날아가리』, 『역사 속 장애인은 어떻게 살았을까』, 『기이한 책장수 조신선』, 『거리의 이야기꾼 전기수』, 『한쪽 눈의 괴짜화가 최북』, 『조선의 양생법』 등이 있다.
저자 : 윤종선  외(et al.)
고려대, 대전대, 한밭대, 한국영상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고전의 현대적 활용, 장애의 역사, 예술사 등을 주로 연구하고, 서울시 관광스토리텔링 사업과 국립한글박물관 스토리텔링 사업에 참여한 적이 있다.
저서로 『한국고전과 콘텐츠 개발』, 『한국장애인사』, 『유물로 보는 한글의 역사』 등이 있다.
저자 : 노혜진  외(et al.)
단국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박사 수료.
저술가이자 동화작가.
2016년 『아동문학평론』에 동화 「할머니의 숙제」로 등단했다.
현재 한국 근·현대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공역으로 『새롭게 읽는 춘향전』, 『새롭게 읽는 심청전』, 공저로 『유물로 보는 한글의 역사』등이 있다.
저자 : 박현정  외(et al.)
역사 스토리텔러. 상명대학교 역사콘텐츠학과에서 역사와 문화콘텐츠를 전공했다.
조선후기와 근대의 숨겨진 이야기를 대중에게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국립한글박물관 스토리텔링 사업에 참여했고, 공저로 『유물로 보는 한글의 역사』가 있다.
저자 : 윤태근  외(et al.)
역사 스토리텔러. 조선후기와 근대의 역사 콘텐츠에 관심이 많다.
서울시 관광 스토리텔링 사업, 국립한글박물관 스토리텔링 사업에 참여했고, 공저로 『유물로 보는 한글의 역사』가 있다.
저자 : 허지이  외(et al.)
프리랜서 성우이자 스토리텔러. 이야기가 있는 전문 성우를 지망하고 있다.
서울시 관광스토리텔링 사업에 참여했고, 이야기 산업 연구소 대표로 활동했다.

출판사소개

“전통문화와 시대적 상황, 역사적인 사실을 학문적 이론을 후세에 알리자”라는 생각으로 출판사를 설립하게 되었습니다.
대부분 상업성이 없어 학계의 전문연구자 이외 독자층이 없는 책은 물론이고, 누군가 찾게 될 한 사람의 연구자를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책들을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사명감으로 간행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지난 시간동안 아끼고 사랑해준 많은 분들에게 감사드리며 더욱더 열심히 움직이며 파이팅 하며 출간에 힘쓰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