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보통 일베들의 시대

‘혐오의 자유’는 어디서 시작되는가


  • ISBN-13
    979-11-6873-025-0 (0330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오월의봄 / 도서출판 오월의봄
  • 정가
    19,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2-06-13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김학준
  • 번역
    -
  • 메인주제어
    사회, 사회과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국내도서 #비평/칼럼 #사회과학 #사회문제 #사회문제 일반 #사회학 #사회학 일반 #한국사회비평/칼럼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0 * 210 mm, 384 Page

책소개



2010년대 중반, ‘표현의 자유’를 내세운 혐오의 유희로 온라인을 물들인 일간베스트저장소는 사이버 공론장에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가져왔다. ‘드립’이란 말로 유머를 가장한 채 온라인에 퍼져나간 혐오의 메시지들은 일베가 생긴 지 10여 년이 흐른 지금 현실 정치인들의 목소리로 발화되는 지경에 이르렀고, ‘이대남’에 대한 문제적 호명과 함께 한국 사회의 ‘일베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심심치 않게 들려온다.

도대체 왜, ‘일베화’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그 영향력이 커져만 가는가? 정치와 사회 곳곳에서 감지되는 ‘일베의 그림자’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일베로 드러난 한국 사회의 민낯은 무엇을 말하는가? 일베는 정말 ‘낡은’ 이야기인가? 2014년 일베가 몰고 온 사회적 충격이 가장 크던 시점에 일베를 연구한 논문으로 화제를 모았던 저자가 그로부터 8년 이후, 혐오 선동의 정치가 부상한 이곳에서 다시 일베를 이야기한다.

목차

들어가며| 왜 다시 일베인가
1장 일베의 계보: 사이버공간의 간략한 문화사
1. 사이버 유머의 기원
2. 사이버 여론은 진보적이었나
3. 디시와 일베의 연결고리
2장 혐오의 수치화: 2011~2020 일베 데이터 분석
1. 일베는 망했다?
2. 일베를 채운 혐오의 말들
3장 일베적 혐오: 내부의 타자들
1. 일베가 타자를 호명하는 방법
2. 혐오의 정당화
3. 일베의 열광과 의례
4장 일베를 만나다: 각자도생의 ‘평범’을 꿈꾸는 이들
1. 불안과 공포
2. 응어리진 분노
3. 수치, 순응, 그리고 평범 내러티브
5장 여성혐오와 능력주의: 일베만의 문제는 없다
1. 장대호라는 일베의 이념형
2. 루리웹은 일베의 피안인가?
6장 결론: 차가운 열광의 확산과 일베적 정치의 탄생
1. 파기된 약속
2. 일베의 주류화
나가며| 혐오의 시대에 맞서기 위해
감사의 말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김학준
유니텔부터 프리챌, 디시인사이드, 인스타그램을 거친 인터넷 죽돌이 출신 사회학 연구자. 2014년 논문 〈인터넷 커뮤니티 일베저장소에서 나타나는 혐오와 열광의 감정동학〉으로 석사학위(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를 받았고, 이후 ㈜아르스프락시아 미디어분석팀장과 서울시청 빅데이터담당관 데이터 분석 요원을 거쳐 현재 LG CNS에서 일하고 있다. 공저로 《#혐오_주의》(2016), 《그런 남자는 없다》(2017)가 있으며 〈혐오의 두 얼굴〉(2019), 〈질식의 예감〉(2017), 〈빅데이터로 바라본 촛불 민의〉(2017) 등의 글을 썼다. 온라인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감정적 역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LG트윈스의 열렬한 팬이다.
'다른 세상은 가능하다'는 모토로 한국사회와 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돌아보며 급진적인 사상을 벼려내는 책을 내보자고 다짐하면서 2011년 첫걸음을 뗐습니다. 노동자, 장애인, 여성, 퀴어 등 소수자의 삶과 투쟁을 다루는 책들을 주로 출간합니다. 이 시대의 자본주의적 삶을 형성하는 중요한 정치적ˑ문화적ˑ사회적ˑ경제적ˑ생태학적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사유하고 대안적 실천을 모색하는 책들을 꾸준히 출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