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그리스·로마 신화 3 : 헤파이스토스 아테나 포세이돈 헤스티아

정재승 추천, 뇌과학을 중심으로 인간을 이해하는 12가지 키워드로 신화읽기


  • ISBN-13
    978-89-6155-971-3 (74800)
  • 출판사 / 임프린트
    파랑새 / 열림원어린이
  • 정가
    14,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2-04-1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메네라오스스테파니데스
  • 번역
    -
  • 메인주제어
    어린이, 청소년: 교양일반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국내도서 #청소년 #청소년 인문/사회
  • 도서유형
    종이책, 양장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청소년
  • 도서상세정보
    124 * 178 mm, 168 Page

책소개



우리 사회 全세대를 아울러 끊임없는 학구적 영감을 불러일으켜온 이 시대의 사부 뇌과학자 정재승 교수가 추천하는 신화 읽기를 제안한다. 인간을 이해하는 뇌과학의 12가지 인지적 키워드를 통해, 이제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신화 읽기를 시작해보자. 특히 청소년들에게는 잊지 못할 지식의 스펙트럼을 넓혀줄 것이다.

헤라와 제우스 사이의 첫아이로 잉태되었으나 볼품없는 외모와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헤파이스토스. 올림포스산 너머로 던져진 그는 특유의 성실함과 재능 덕분에 다시 올림포스에 입성하여 제우스의 사랑을 받게 된다. 나아가 아름다운 아프로디테를 아내로 맞지만 어울리지 않는 부부에게 닥치는 비극은 인간들의 세상을 그대로 닮아 있다. 전쟁의 신 아레스의 무지한 모습과 여러 신들의 갈등은 인간 군상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갈등이 다툼으로 번지고 마는 건 바로 우리 내면에 자리 잡은 심리 때문임이 여실히 드러나는 것이다. 피와 전쟁을 사랑하는 아레스를 제압하는 지혜로운 여신 아테나의 활약상을 통해, 우리는 진정한 승리가 무엇인지를 깨닫게 될 것이다. 나아가 분노한 바다의 신 포세이돈과 가족을 지키는 겸손한 신 헤스티아를 대조적으로 보여주어, 인간사에서 역시 갈등과 다툼이 최선이 아님을 다시 한 번 되새길 수 있다.

목차



추천의 글 6 아테나 97
헤파이스토스 15 포세이돈 149
아레스 61 헤스티아 173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메네라오스스테파니데스
그리스 신화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와 지식으로 동화로 읽는 그리스 신화를 25년간 썼으며, 이 책으로 1989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어린이 문학상인 피에르 파올로 베르제리오 상을 수상했다. 지금도 그리스 신화와 설화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최근작 : 그리스·로마 신화 8 : 페르세우스 페가소스 테세우스 펠레우스,그리스·로마 신화 7 : 헤라클레스,그리스·로마 신화 6 : 다이달로스 이카로스 탄탈로스 에우로페 … 총 41종
기타 창작자 : 정재승
뇌를 연구하는 물리학자이자 뇌공학자.

KAIST에서 물리학 전공으로 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복잡계 모델링 방법을 적용한 알츠하이머 치매 대뇌 모델링 및 증세 예측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예일대학교 의대 정신과 연구원,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연구교수, 컬럼비아대학교 의대 정신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및 문술미래전략대학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의사결정 신경과학이며, 이를 바탕으로 정신질환 대뇌 모델링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분야, 뇌기반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있다. 2009년 세계경제포럼(다보스 포럼)에서 ‘차세대 글로벌 리더’로 선정되었으며, 2011년 대한민국 과학문화상을 수상했다. 매년 10월 마지막 토요일, 작은 도시 도서관에서 과학자의 강연 기부 행사 ‘10월의 하늘’을 진행하고 있다.
쓴 책으로 《열두 발자국》,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등이 있다. 함께 쓴 책으로는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쿨하게 사과하라》(김호 공저), 《눈먼 시계공》(김탁환 공저), 《1.4킬로그램의 우주, 뇌》(정용, 김대수 공저) 등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