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철학 VS 철학

동서양 철학의 모든 것


  • ISBN-13
    979-11-87373-01-8 (0310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오월의봄 / 도서출판 오월의봄
  • 정가
    54,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6-08-1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강신주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육
  • 추가주제어
    백과사전, 참고서적
  • 키워드
    #철학사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5 mm, 1492 Page

책소개

철학자 강신주의 대표작 철학 VS 철학 개정 완전판. 이번 개정 완전판에서 저자 강신주는 3,000매에 달하는 원고를 더 추가했다. 열 개의 장이 새로 추가되었고, ‘처음, 철학이란 무엇인가?’ ‘지금, 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글도 새로 썼다(추가된 철학자 항목은 다음과 같다. 힐베르트 VS 브라우어, 그람시 VS 벤야민, 클레 VS 로스코, 하이젠베르크 VS 프리고진, 메를로-퐁티 VS 리오타르, 순자 VS 송견, 스티라마티 VS 디그나가, 정약용 VS 최제우, 청년 신채호 VS 장년 신채호, 이어령 VS 김수영).

더군다나 초판에는 없는 ‘고찰(Remarks)’이란 새 꼭지를 만들어서 기존 철학자들의 입장을 대거 보충했다. 이 ‘고찰’을 통해서 저자는 대립 관계로 철학사를 집필하느라 놓칠 수도 있는 중요한 철학사적 쟁점과 정보들, 그리고 해당 쟁점과 관련된 비교철학적 전망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곳을 통해 독자들은 한층 더 완전한 철학사적 조망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논의된 철학적 쟁점이 오늘날 우리 삶을 조망하는 데 왜 중요한지 납득하게 될 것이다.

부록으로 묶은 ‘인명사전’ ‘개념어사전’의 내용도 보충했고, 20페이지가 넘는 ‘철학사 연표’도 내용이 충만하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동서 철학의 비교철학적 관점이 더욱 강화되었다는 점이다. 강신주는 이번 책에서 나가르주나, 장자, 스피노자, 비트겐슈타인 등 동서 철학을 아우르며 철학자 강신주만이 쓸 수 있는 철학사를 완성한 셈이다. 그야말로 이번 개정 완전판은 강신주 철학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개정 완전판 머리말
머리말
프롤로그
처음, 철학이란 무엇인가? - 소크라테스와 공자

1 서양철학
1. 본질은 어디에 있는가? 플라톤 VS 아리스토텔레스
2. 세계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플라톤 VS 루크레티우스
3. 행복은 언제 가능한가? 에피쿠로스학파 VS 스토아학파
4. 보편자는 존재하는가? 아퀴나스 VS 오컴
5.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파스칼 VS 데카르트
6. 국가는 불가피한가? 홉스 VS 클라스트르
7. 소통은 가능한가? 스피노자 VS 라이프니츠
8. 선함은 언제 드러나는가? 흄 VS 칸트
9. 사유재산은 정당한가? 로크 VS 루소
10. 타자는 왜 중요한가? 버클리 VS 들뢰즈
11. 물자체는 존재하는가? 칸트 VS 니체
12. 기억은 긍정적인가? 피히테 VS 니체
13. 역사는 무엇이 움직이는가? 헤겔 VS 마르크스
14. 아름다움은 어떻게 느껴지는가? 칸트 VS 부르디외
15. 에로티즘은 본능적인가? 쇼펜하우어 VS 바타유
16. 마음은 언제 움직이는가? 하이데거 VS 메를로-퐁티
17. 이름은 바뀔 수 있는가? 러셀 VS 크립키
18. 자유는 가능한가? 사르트르 VS 알튀세르
19. 무한은 잡을 수 있는가? 힐베르트 VS 브라우어
20. 언어는 무엇인가? 청년 비트겐슈타인 VS 장년 비트겐슈타인
21. 진실은 어떻게 전달되는가? 그람시 VS 벤야민
22. 전체주의는 왜 발생하는가? 아도르노 VS 아렌트
23. 미래는 어떻게 도래하는가? 베르그손 VS 레비나스
24. 자본은 무엇으로 사는가? 베버 VS 보드리야르
25. 사랑은 하나가 되는 것인가? 헤겔 VS 바디우
26. 과학사는 연속적인가? 포퍼 VS 쿤
27. 그림은 어떻게 우리를 흔드는가? 클레 VS 로스코
28. 욕망은 부정적인가? 라캉 VS 들뢰즈
29. 소리는 어떤 힘이 있는가? 데리다 VS 들뢰즈
30. 과학은 결정론적인가? 하이젠베르크 VS 프리고진
31. 생명은 어떤 논리를 따르는가? 도킨스 VS 마투라나
32. 영화는 얼마나 새로운 매체인가? 매를로-퐁티 VS 리오타르
33. 정치는 어디로 가는가? 슈미트 VS 아감벤

2 동양철학
1. 사랑은 어떻게 실현되는가? 공자 VS 묵자
2. 자아는 무엇인가? 로카야타학파 VS 싯다르타
3. 승리는 무엇이 결정하는가? 손자 VS 오자
4. 도道는 어디에 있는가? 노자 VS 장자
5. 논리학은 동양에서 가능한가? 혜시 VS 공손룡
6. 몸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유부 VS 편작
7. 인간성은 선한가? 맹자 VS 순자
8. 삶은 어떻게 보호되는가? 양주 VS 한비자
9. 인정투쟁은 불가피한가? 순자 VS 송견
10. 우발성은 존재하는가? 동중서 VS 왕충
11. 해탈은 어떻게 가능한가? 나가르주나 VS 바수반두
12. 공空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 니야야학파 VS 나가르주나
13. 정신은 영원한가? 혜원 VS 범진
14. 일자는 존재하는가? 왕필 VS 곽상
15. 경전은 진리인가? 스티라마티 VS 디그나가
16. 집착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신수 VS 혜능
17. 부처는 무엇을 보는가? 의상 VS 원효
18. 불교는 권력을 초월할 수 있는가? 법장 VS 백장
19. 마음은 무엇인가? 종밀 VS 임제
20. 세계는 무엇이 지배하는가? 장재 VS 주희
21. 태극은 존재하는가? 육구연 VS 주희
22. 이理는 마음을 넘어서는가? 주희 VS 왕수인
23. 돈오는 가능한가? 지눌 VS 성철
24. 사단은 초월적인 감정인가? 이황 VS 이이
25. 인간과 동물의 본성은 같은가? 이간 VS 한원진
26. 주자학은 극복 가능한가? 이지 VS 대진
27. 공자는 누구인가? 이토 진사이 VS 오규 소라이
28. 이理와 기氣는 어떻게 변주되는가? 정약용 VS 최한기
29. 동양철학은 어디로 가는가? 정약용 VS 최제우
30. 민족주의는 극복 가능한가? 청년 신채호 VS 장년 신채호
31. 제국주의는 사라졌는가? 니시다 기타로 VS 가라타니 고진
32. 문학은 순수한가? 이어령 VS 김수영
33. 한국 철학은 가능한가? 박종홍 VS 박동환

지금, 철학이란 무엇인가? - 들뢰즈와 바디우
에필로그

부록
인명사전
개념어사전
더 읽을 책들 & 참고문헌
철학사 연표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강신주
사랑과 자유의 철학자. 동서양 인문학을 종횡하며 끌어올린 인문정신으로 어떤 외적 억압에도 휘둘리지 않는 힘과 자유, 인간에 대한 사랑을 쓰고 말해왔다. 지은 책으로 《강신주의 노자 혹은 장자》 《비상경보기》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뗄 수 있는가?》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철학이 필요한 시간》 《강신주의 감정수업》 《김수영을 위하여》 《상처받지 않을 권리》 등이 있다.
'다른 세상은 가능하다'는 모토로 한국사회와 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돌아보며 급진적인 사상을 벼려내는 책을 내보자고 다짐하면서 2011년 첫걸음을 뗐습니다. 노동자, 장애인, 여성, 퀴어 등 소수자의 삶과 투쟁을 다루는 책들을 주로 출간합니다. 이 시대의 자본주의적 삶을 형성하는 중요한 정치적ˑ문화적ˑ사회적ˑ경제적ˑ생태학적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사유하고 대안적 실천을 모색하는 책들을 꾸준히 출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