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의 발전에 따른 노동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개인 간 선순환적 대응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정부는 AI 시대를 대비한 종합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AI 시대에 적합한 인재 양성을 위해 초, 중, 고 교육부터 대학에 이르기까지 AI와 관련한 교육 체계를 대폭 강화해야 하며 성인의 평생 교육을 위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또한 고용 안전망도 강화해 AI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근로자를 보호하고, 취약 계층을 위한 공공 일자리 사업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
-01_“인공지능 시대 일자리의 변화” 중에서
AI 기술은 스킬 기반 HR에서도 위력을 발휘한다. AI를 활용한 챗봇이나 펄스 서베이(pulse Survey)를 통해 구성원의 스킬 정보를 수시로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조직은 구성원의 현재 스킬 수준과 조직이 요구하는 스킬 간의 스킬 갭(Skills Gap)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HR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시할 수 있다.
-03_“AI 도입과 HR 업무 변화” 중에서
AI 기술은 조직의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을 증진할 수 있는 잠재력뿐 아니라, 이를 잘못 사용할 경우 DEI 가치를 위협할 수 있는 위험성도 함께 내포하고 있다. AI가 편향된 데이터를 학습할 경우, 이러한 편향이 알고리즘에 반영되어 오히려 차별과 불평등을 심화할 수도 있다.
-06_“조직의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실현과 AI” 중에서
AI는 직원의 배치, 리텐션 전략 등에서도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IBM의 AI 시스템인 ‘마이카(MyCA)’와 KB금융그룹의 ‘AI 기반 HR 프로세스’는 대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해 최적의 직무 배치와 인재 추천을 수행한다. 퇴직 관리에서도 AI의 예측 분석 능력이 효과를 발휘한다. IBM의 ‘선제적 소모 프로그램’과 닐슨의 AI 모델은 퇴사 가능성이 높은 직원을 사전에 식별하고 선제적 대응을 가능케 함으로써, 인재 유출로 인한 비용과 생산성 손실을 최소화한다.
-09_“민간 기업, 공공 기관 HR과 AI”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