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자책
평면표지(2D 앞표지)
2D 뒤표지

동유기(東遊記)


  • ISBN-13
    979-11-7307-236-9 (05820)
  • 출판사 / 임프린트
    커뮤니케이션북스㈜ / 지식을만드는지식
  • 정가
    30,4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11-2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오원태
  • 번역
    진기환
  • 메인주제어
    고전소설
  • 추가주제어
    판타지 , 전래, 신화, 동화 , 도교
  • 키워드
    #고전소설 #판타지 #전래, 신화, 동화 #도교 #서유기 #팔선과해 #지괴소설 #신선 #신마소설 #사유기
  • 도서유형
    전자책, EPUB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책소개

중국 민간에서 가장 유명한 팔선(八仙)에 대한 이야기다. 《서유기》 유행에 힘입어 탄생한 “사유기(四游記 )” 중 가장 성공한 작품이기도 하다. 이철괴를 비롯한 여덟 신선들의 수련(修鍊)과 득도(得道) 그리고 그들의 활약을 재미나게 그렸다.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며 권위에 항거하고, 선행에 보답하는 신선들의 삶을 통해 중국인들의 의식 구조와 사유(思惟) 방법 그리고 그들의 생활 감정과 중국인들이 꿈꾸는 이상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다. 중국의 신선 사상과 도가 사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풍부하고도 자세한 주석을 추가했으며, 《삼재도회(三才圖會)》 권2 〈인물(人物)〉 편의 그림을 함께 수록해 독자들이 작품을 좀 더 생생히 맛볼 수 있도록 했다.
 

목차

점강순(點絳脣) 
제1회. 이철괴는 수진하며 구도하다
제2회. 노자는 도교의 원류다
제3회. 두 신선이 화산에서 전도하다
제4회. 이철괴는 혼자 거닐다가 스승을 만나다
제5회. 도제가 육신을 지키다가 화장하다
제6회. 철괴는 굶어 죽은 시체에 혼령을 맡기다
제7회. 선단으로 기사회생하다 
제8회. 청우를 풀어 왕궁을 어지럽히다 
제9회. 대진국왕이 현녀 신령께 기도하다 
제10회. 이철괴가 비장방을 여러 번 시험하다 
제11회. 종리권이 적을 물리치다 
제12회. 종리권과 불률이 교전하다 
제13회. 종리권이 토번을 대파하다 
제14회. 토번이 한군을 크게 무찌르다 
제15회. 대패한 종리권이 산속에 숨다 
제16회. 동화 선생이 종리권에게 전도하다 
제17회. 산에서 칼을 날려 호랑이를 잡다 
제18회. 황금으로 빈민을 구제하고 신선이 되다 
제19회. 남채화가 박판을 치며 노래하다 
제20회. 장과로가 나귀 타고 황제를 뵙다 
제21회. 장과로가 궁중 사슴을 알아보다 
제22회. 하선고가 꿈을 꾸고 신선이 되다 
제23회. 여동빈이 객사에서 운방을 만나다 
제24회. 운방이 여동빈을 열 번 시험하다 
제25회. 종리권은 학령에서 전도하다 
제26회. 여동빈이 술집에 학을 그리다 
제27회. 여동빈이 백모란을 희롱하다 
제28회. 여러 신선이 동빈을 놀려 주다 
제29회. 악양에 세 번 날아오다 
제30회. 한상자, 술을 만들고 꽃을 피우다 
제31회. 남관의 눈을 치워 숙부를 구하다 
제32회. 종리권과 여동빈, 바둑 두며 운수를 예언하다 
제33회. 동빈이 춘정을 몰래 보내다 
제34회. 소 태후와 여동빈이 군사를 논하다 
제35회. 여동빈은 남천진을 크게 치다 
제36회. 종보는 적진을 간파했으나 기밀이 새어 나가다 
제37회. 철괴가 동빈에게 대노하다 
제38회. 종리권이 장수를 치료하고 군사를 조련하다 
제39회. 금쇄, 청룡진을 대파하다 
제40회. 종리권이 백호진을 격파하다 
제41회. 종리권이 옥황진을 격파하다 
제42회. 미혼진과 태양진을 대파하다 
제43회. 종리권과 여동빈이 대결한 뒤, 하늘로 돌아가다
제44회. 한상자, 연회를 베풀어 화해시키다 
제45회. 조국구는 도를 닦아 등선하다 
제46회. 팔선이 노자의 시문을 구하다 
제47회. 팔선들이 반도 성회에 참가하다 
제48회. 팔선이 동해를 유람하다 
제49회. 동빈이 용왕 태자를 두 번 패배시키다 
제50회. 팔선이 동해를 불태우다 
제51회. 용왕이 남해로 도망가다 
제52회. 용왕은 팔선에게 물 공격을 하다 
제53회. 팔선이 산을 들어 동해를 메우다 
제54회. 용왕들이 천제에게 상주하다 
제55회. 팔선과 천병이 크게 싸우다 
제56회. 관음이 양측을 화해시켜 천제에게 인사시키다 
추기(追記)

 

해설 
옮긴이 후기 
참고 도서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본문인용

“본래 인간이 태어나고 죽는 것은 모두 명에 달린 것이니 어찌 억지로 죽을 수 있겠는가? 자식은 살아 계실 때 효도하고 돌아가신 뒤에는 끝까지 부모를 생각해야 하네. 장례에는 관과 목곽 그리고 수의를 마련해 좋은 묘지를 골라 깊은 슬픔 속에 정중히 모시면 충분하거늘 어찌 자결하려 하는가?” 
제자는 스승의 변신을 알아보지 못했다. 제자는 잠시 울음을 그치고 대답했다. 
“제 사부의 혼신이 화산에 가시면서 저한테 이레가 지나도 돌아오지 않으면 육신을 화장해도 좋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저는 엿새째 되는 날, 모친이 위독하시다는 소식을 듣고 더 기다릴 수가 없어 사부의 육신을 화장한 뒤 집에 돌아왔습니다. 그러나 모친은 이미 돌아가신 뒤였습니다. 안으로는 모친에 대해 마지막 효도도 못했고 밖에서는 스승에 대한 신의를 지키지도 못했습니다. 어머님께서는 보고 싶어도 오지 않는 자식을 불효자라 생각하셨을 것입니다. 또 사부님께선 기일을 지키지 못한 저를 신의 없고 불성실한 제자라 생각하셨을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저를 불충불효한 사람으로 생각할 것이니 저 자신도 부끄럽고 후세 군자들 역시 저를 그렇게 생각할 것입니다. 천지간의 죄인이며 인간 폐물인 제가 한시라도 빨리 자결해도 오히려 늦었다 할 것이거늘 어찌 감히 살기를 바라겠습니까?” 
말을 마친 제자는 자결하려고 다시 칼을 찾았다. 철괴 선생은 제자를 만류하며 간곡히 말했다. 
“충효는 그 마음에 있는 것이네. 그대의 마음이 이처럼 효성과 성심으로 가득 찼는데 누가 불충불효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겠는가? 결코 불충불효가 아닌 충효의 젊은이라 생각할 걸세. 나는 그전 날 각처를 유람하면서 선인에게서 죽은 사람을 살릴 수 있다는 영단(靈丹)을 얻었는데 그때 그분으로부터 반드시 착한 사람에게 베풀라는 당부를 받았네. 지금 상주가 이처럼 큰 효도와 착한 마음을 갖고 있으니 모친에게 이 선약(仙藥)을 드리겠네. 혹 다시 회생하실지 장담할 수 없지만 성의라 생각하고 받아 주기 바라네.” 
이 말을 들은 제자는 즉시 무릎을 꿇고 선약을 받겠다고 진심으로 말했다. 
철괴 선생은 메고 있던 호리병 속에서 환약 하나를 꺼내, 물에 개어서 제자 모친의 입 속으로 흘려 넣었다. 잠시 후, 숨결이 트이는 듯 가슴이 가볍게 움직이더니 얼굴에 혈색이 돌았다. 양씨 제자의 모친은 큰 숨을 몰아쉬더니 자리에서 일어나 앉았다. 마치 깊은 잠에서 깨어난 듯 홀가분하고 상쾌한 모습으로, 전혀 병 기운이 없어 보였다. 
제자의 집안사람 모두가 기뻐하며 철괴 선생 앞에 머리를 조아렸다. 제자는 눈물을 흘리면서 선생의 성함을 물었다. 이에 철괴가 앉은 자세를 바로 하며 말했다. 
“나는 네 사부다. 네가 나의 육신을 소각했기에 나는 다른 사람의 형체를 빌려 이렇게 되었다. 나는 네 모친이 돌아가신 것을 알고 네가 나에게 혹 원망이나 없을까 걱정해 모친을 기사회생시키려 찾아왔다. 네 마음이 효심으로 가득 찼고 다른 사람에 대한 원망이 없으니 기특할 뿐이다. 네 모친께서 회생하셨으니 평생토록 극진히 모시며 그간 못다 한 효도를 다하기 바란다.” 
이어 철괴 선생은 영단 하나를 더 남겨 주며 말했다. 
“이를 복용하면 아무 질병이나 탈도 없을 것이다. 뒷날 언젠가는 만날 날이 있을 것이다.” 
제자는 크게 놀라 황급히 사부에게 인사를 올렸다. 그리고 철괴 선생을 모시고 가르침을 받고자 했으나 철괴 선생은 한 줄기 푸른 빛으로 변하면서 소리도 흔적도 없이 공중으로 떠올랐다. 제자는 철괴 선생이 사라진 하늘에 무수히 절하며 스승의 은혜에 감사했다. 
〈제7회. 선단으로 기사회생하다(仙丹起死回生)〉에서


옛날 선계(仙界)에 살던 맨발의 신선, 곧 적각대선(赤脚大仙)이 지상에 내려오니 이가 바로 남채화(藍采和)다. 그는 비록 인간 세상인 범계(凡界)에 머물며 살았지만, 인간이라면 누구나 다 갖고 있는 성씨도 확실치 않았다. 그렇지만 그는 늘 자유로웠고 얽매인 데가 없었으며 한세상을 즐겁게 보낸 특별한 신선이었다. 
남채화에게는 세 가지 보물이 있었다. 
그는 언제나 허름한 옷 한 벌뿐이었다. 그것이 그의 검약(儉約)이었다. 검소했기에 자신의 뜻을 넓게 펼 수 있었다. 그는 늘 다 해진 남색 옷에 검은 물을 들인 세 치쯤 되는 넓은 허리띠를 매고 다녔다. 한쪽 발엔 신발을 신었지만 다른 쪽은 언제나 맨발이었다. 여름엔 솜옷을 입고 다녔는데, 뜨거운 한낮 햇볕 아래서도 땀을 흘리지 않았다. 겨울엔 홑옷에 눈[雪]을 맞고 다녔으나 귀나 입, 콧구멍에서 마치 뜨거운 김이 나는 것 같았다. 
둘째로 언제나 누구에게나 자애로웠으니 그 때문에 용감할 수 있었다. 
남채화는 돈을 얻으면 새끼줄에 꿰어 끌고 다녔다. 돈이 자주 빠져나가도 전혀 개의치 않았고, 가끔은 가난한 사람에게 나누어 주었다. 남채화가 흘린 돈을 주워 혼자 가지면 그 사람의 본래 돈까지 나중에 없어졌다. 남채화는 가끔은 그 돈으로 술을 사 마시기도 하며 온 세상을 두루 돌아다녔다. 
셋째로 그는 여러 사람들 앞에 자신을 내세우지 않았다. 그것은 겸양(謙讓)이었다. 그는 어린아이에게도 길을 양보했다. 
검약과 자애와 겸양, 이 세 가지 보배가 있었기에 남채화는 도(道)에 통할 수 있었다. 남채화는 매일 시장을 돌며 구걸했고, 손에는 길이가 석 자쯤 되는 큰 박판(拍板 : 딱딱이)을 들고, 취하면 가끔 답가(踏歌)를 불렀다. 물론 그의 그런 모습은 노인과 어린아이들의 좋은 구경거리가 되었다. 그는 미친 사람 같았으나 결코 광인(狂人)은 아니었다. 
그의 노래는 입에서 나오는 대로 흥얼거리는 것 같았으나 그 노래엔 신선의 뜻이 들어 있어 사람들이 잘 이해하지 못했다. 
〈제19회. 남채화가 박판을 치며 노래하다(采和持拍踏歌)〉에서


여동빈은 식용 기름을 파는 행상으로 모습을 바꿔 여러 마을을 돌며 선계로 제도할 만한 사람을 찾아다녔다. 많은 사람들이 기름을 사면서 돈보다 더 많이 달라고 말했다. 거의 1년쯤 되었을 때, 어느 노파에게 기름을 팔았는데 그 노파만은 더 많이 달라는 말을 하지 않았다. 여동빈은 이상하다 생각하며 노파에게 물었다. 
“모두가 기름을 받으면서 더 달라고 하는데 할머니는 왜 더 달라고 하지 않습니까?” 
“나는 기름 한 병을 사려 했고, 병이 찰 만큼 찼으며 당신도 고생하는데 내가 왜 더 달라고 하겠습니까?” 
그러면서 노파는 여동빈에게 술과 음식을 내주었다. 여동빈은 호의에 감사하며 이 노파를 신선이 되게끔 인도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여동빈은 노파의 집 우물에 쌀을 한 알 떨어트렸다. 그 순간 우물물은 모두 술로 변했다. 여동빈은 노파에게 큰 소리로 말했다. 
“잘 쉬었다 갑니다. 댁의 우물물이 매우 좋으니 팔아서 돈을 벌 수 있을 것입니다.” 
노파는 처음에 무슨 영문인지 몰랐다. 다만 여동빈에게 좀 더 쉬라고 만류했으나 여동빈은 대답도 없이 그냥 떠났다. 여동빈이 떠난 뒤 노파는 우물에서 술을 퍼 올려 큰돈을 벌었다. 1년 뒤 어느 날, 여동빈이 다시 노파의 집에 나타났다. 마침 노파는 집에 없고 그 아들이 여동빈을 맞이했다. 여동빈이 요즈음 장사가 어떠냐고 묻자 젊은 아들이 대답했다. 
“아주 좋습니다. 돈도 꽤 많이 벌었습니다만, 돼지에게 먹일 술지게미가 나오지 않아 서운합니다.” 
그 말에 여동빈은 하늘을 보며 탄식했다. 
“아! 인간의 탐욕이 이처럼 끝이 없는가?”
그러고선 우물의 쌀알을 건져 갖고 떠나갔다. 이제는 우물물이 술이 아니었다. 노파가 돌아와 크게 후회했으나 어쩔 수 없었다. 
〈제29회. 악양에 세 번 날아오다(三至岳陽飛到)〉에서


팔선들은 동해 상공에 이르러 구름을 멈추고 바다를 두루두루 내려다보았다. 큰 파도가 출렁출렁 크게 넘실대다가 굉음과 함께 연안 절벽을 치며 하얀 거품이 하늘로 솟구쳐, 사람을 놀라게 하는 대단한 장관이었다. 여동빈은 파도를 한참 구경하다가 여럿을 둘러보며 말했다.
“오늘 이처럼 구름을 타고 유람하는 것이 우리 능력의 전부는 아닙니다. 우리 각자 자기 물건을 파도에 던져 놓고 그것을 타고 바다를 가로질러 달려 보는 것 또한 재미 아니겠습니까?” 
여동빈의 제의에 모두가 좋다면서 각자의 신통력을 자랑하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철괴는 즉시 자기의 꾸불꾸불한 쇠지팡이를 바다에 던졌다. 철괴는 한쪽 다리로 지팡이 위에 서서 파도를 가르며 나아갔다. 
종리권은 조그만 북을 파도 위에 띄웠다. 장과로가 그의 종이 당나귀를 바닷물에 적시자 당나귀가 살아났다. 장과로는 늘 하던 대로 나귀를 거꾸로 타고 파도를 뛰어넘으며 달렸다.
여동빈은 피리를 던져 그것을 타고 나아갔다. 조국구 또한 넓적한 옥대를 풀어 바다에 던져 그것을 타고 뒤따랐다. 한상자는 꽃바구니를 타고 파도를 갈랐으며, 하선고는 대나무 그물을, 그리고 남채화는 멈칫멈칫하다가 자기의 옥으로 만든 박판을 바다에 물에 던져 파도를 넘었다. 남채화의 옥박판은 찬란한 빛을 발했다. 그 빛은 바닷속까지 환하게 비추는 신비한 빛이었다.
〈제48회. 팔선이 동해를 유람하다(八仙東遊觀海)〉에서

서평

《동유기(東遊記)》는 일명 《상동팔선전(上洞八仙傳)》인데 명나라의 오원태(吳元泰, 생졸년 미상)가 지은 56회본의 장회(章回) 소설이다. 소설 《동유기》의 내용은 중국인들에게 잘 알려진 여덟 명의 신선, 곧 팔선(八仙)의 신화와 전설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원대(元代)의 잡극(雜劇) 《쟁옥판팔선과창해(爭玉板八仙過滄海)》가 그 뿌리라고 알려졌다.

 

《사유기(四遊記)》의 탄생
《서유기》가 민간에서 소설이나 잡극(雜劇)으로 크게 유행하자, 그 영향으로 난강(蘭江) 오원태(吳元泰)의 《동유기(東遊記)》[일명 상동팔선전(上洞八仙傳)》], 여상두(余象斗)의 《남유기(南遊記)》[일명 《오현영관대제화광천왕전(五顯靈官大帝華光天王傳)》]와 《북유기(北遊記)》[일명 《북방진무현천상제출신지전(北方鎭武玄天上帝出身志傳)》 그리고 《서유기》 100회 본을 요약한 양지화(楊志和)의 《서유기전(西遊記傳)》[일명 《서유기절본(西遊記節本)》] 41회본이 나왔다. 이 네 편의 소설을 오행(五行) 사상의 동서남북을 주관하는 사신(四神 : 청룡, 주작, 백호, 현무)처럼 생각해 《사유기(四遊記)》라 통칭한다. 이 《사유기》는 이루어진 시기나 그 주제와 문장이 서로 다르다. 그러나 민간에 광범위하게 유포되면서 후세 문인들에게 많은 창작 자료를 제공한 사실은 틀림없다. 이 사유기 중 《동유기》가 특히 가장 잘 알려졌고 여러 가지 면에서 《서유기》와 서로 비교된다.

 

선(仙)과 도(道), 기(氣)와 단(丹)
그러나 《동유기》가 비록 《서유기》의 아류(亞流)에 속하는 제목이라 하지만, 그 주제와 내용에서는 그야말로 동쪽과 서쪽만큼 차이가 있으며 《동유기》에는 《서유기》 못지않은 재미가 있다. 그리고 그 재미는 공상 세계의 재미가 아닌 현실 생활 속의 재미라 할 수 있다.
《동유기》는 중국인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민간 전설의 주제인 팔선의 이야기, 곧 이철괴를 비롯한 여덟 신선들의 수련(修鍊)과 득도(得道) 그리고 그들의 활약이라는 가장 일반적이고 중국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다.《동유기》 전편(全篇)에는 도가(道家) 사상이 일관되게 관통되고 있다. 도가의 청정(淸淨)과 무위(無爲), 기(氣)의 수련과 단(丹)의 제조, 선행(善行)과 득도 과정 등이 상세히 서술되어 있다. 또한 노자(老子)의 사상과 도교의 성립 과정 등이 소설처럼 묘사되었다. 신선과 속세 미녀의 아름다운 로맨스도 실려 있는데 이는 도가(道家) 수련의 한 방법인 방중술(房中術)과도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인의 의식 구조와 사유(思惟) 방법
《동유기》는 중국의 수많은 민간 신화와 전설을 수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인의 의식 구조와 사유(思惟) 방법 그리고 그들의 생활 감정과 중국인들이 꿈꾸는 이상 세계가 뚜렷하게 양각(陽刻)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유기》에는 선과 악 그리고 자유정신과 권위에 항거하는 저항 의식 그리고 선행에 대한 보답이 신선들의 활약 속에 강하게 나타나 있다. 동시에 시(詩)와 학문을 숭상하면서도 문무(文武)를 숭상하는 씩씩하고 지적인 중국인의 이상적 인물상이 전쟁에 관한 상당량의 서술을 통해 그들의 자화상처럼 묘사되어 있다는 점도 결코 그냥 간과할 수 없다. 또한 이 소설에는 중국인들의 민족적 자긍심이 들어 있고 그들의 협동 단결과 집단의식은 중국인들의 훌륭한 미덕으로 묘사되었다. 한마디로 《동유기》는 다양한 사건의 전개와 구성 속에 현실적 재미와 함께 《서유기》나 더 나아가 4대 기서(奇書)에서 찾아볼 수 없는 사상성이 풍부한 소설이다. 즉, 《동유기》는 소설이면서 선(仙)과 단(丹)을 추구하는 철학서이며, 중국인들의 의식 구조를 설명하는 민속(民俗) 사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동유기》의 영향 
《서유기》가 독자들에게 자유분방한 공상 속의 재미를 일러 주었다면, 《동유기》는 성인(成人)들에게 인생을 말하고 생활과 철학을 가르치는 재미있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서유기》에 비해, 좀 더 현실적인 철학 이야기이며 강렬한 생명력을 가진 소설이 《동유기》라고 말할 수 있다. 우선 그때까지 분분하던 팔선(八仙)의 구성원이 이 소설에 의해 확정되었고, 이후 팔선에 관한 모든 이야기의 근본 출처가 되었다. 아울러 상팔선(上八仙), 하팔선(下八仙)의 명칭과 인물이 창조되었고, 수많은 회화(繪畵)의 소재가 여기에서 나왔다. 우리는 이 소설을 현실 속의 자유를 그리는 재미로 읽고 또 선(仙)과 단(丹)의 소설로 그리고 노자와 도교의 철학서로 읽을 수 있다.


*이 책에 수록된 삽화는 왕기(王圻)와 왕사의(王思義)가 편집한 명(明) 신종(神宗) 만력(萬曆) 35년 각본의 영인판(影印版)인 상해도서관(上海圖書館) 간행 《삼재도회(三才圖會)》 권2 〈인물(人物)〉 편의 그림을 전용했다. 

저자소개

저자 : 오원태
작자 오원태(吳元泰)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서유기》의 작자 오승은(吳承恩, 1506∼1582)과 비슷한 1570년 전후에 살았던 인물로만 알려졌다.
작자 오원태가 비록 저명인사는 아니었지만 《동유기》가 끼친 영향은 대단했다.
번역 : 진기환
도연(陶硯) 진기환(陳起煥)은 중국의 문학과 사학, 철학에 관련된 고전을 우리말로 국역하거나, 저술했다.
중국 문학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역저서가 있다.
장회 소설 《수당연의(隋唐演義)》(전 5권, 2023)와 《유림외사(儒林外史)》(전 3권, 1990)를 완역 출간했다. 《삼국연의(三國演義) 원문 읽기》(전 2권, 2020)도 널리 알려졌다. 그리고 《당시대관(唐詩大觀)》(전 7권, 2020)이 있는데 이는 당(唐) 시인 200명의 시 1400수의 원문을 국역하며 관련된 일화를 수록한 당시 감상 사전이다. 《신역(新譯) 왕유(王維)》(2016)는 시불(詩佛) 왕유 시의 원문과 국역 해설을 실었다. 《당시절구(唐詩絶句)》(2015)와 《당시일화(唐詩逸話)》(2015)는 당시를 공부하려는 초학자들을 위한 책이다.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전 3권, 2014)는 고(故) 장기근(張基槿) 박사의 작업을 필자가 이어 완성했다. 그리고 《금병매(金甁梅) 평설(評說)》(2012)과 《수호전평설(水滸傳評說)》(2010), 《삼국지(三國志) 인물 평론》(2010) 등이 있다.
또 《중국인(中國人)의 속담(俗談)》(2008)과 《중국인(中國人)의 재담(才談)》(2023), 《삼국지(三國志)의 지혜》(2009), 《삼국지(三國志)에서 배우는 인생의 지혜》(1999), 《삼국지(三國志) 고사명언(故事名言) 삼백선(三百選) (2001), 《삼국지고사성어사전(三國志故事成語辭典)》(2001)을 출간했다.

중국 역사에 관해서는 명문당의 중국 역대 왕조사화(中國歷代王朝史話) 전 6권 중 《춘추전국사화(春秋戰國史話)》와 《진한사화(秦漢史話)》(2024)를 출간했고, 《전국책(戰國策)》(전 3권, 2021), 《완역 한서(漢書)》(전 15권, 2016∼2021), 《정사(正史) 삼국지(三國志)》(전 6권, 2019), 《완역 후한서(後漢書)》(전 10권, 2018∼2019), 《십팔사략(十八史略)》 5권 중 3권(2013∼2014) 등은 모두 원문을 수록하고 국역한 저술이다. 또 《사기인물평(史記人物評)》(1994)과 《사기강독(史記講讀)》(1992)은 사마천의 《사기》를 공부하려는 사학도를 위한 저술이다.

철학·사상과 관련해 《안씨 가훈(顔氏家訓)》(전 2권, 2022), 《공자가어(孔子家語)》(전 2권, 2022), 《공자성적도(孔子聖蹟圖)》(2020)의 원문을 수록 국역, 해설했으며, 《논어명언삼백선(論語名言三百選)》(2018)과 《논술로 읽는 논어(論語)》(2012)는 《논어》를 공부하려는 초학자들을 위한 입문서다. 그리고 《중국의 토속신과 그 신화》(1996)는 중국학 분야의 기본서로 분류되는 저술이다.

진기환은 고등학교 역사 교사로, 중국사와 중국 문학과 철학을 공부하며 관련한 고전 국역과 집필을 계속했다. ‘내 키만큼 내 책을(等身書)’ 출간하겠다는 인생 목표를 2022년에 달성하면서, 자서전 《도연근학칠십년(陶硯勤學七十年)》을 출간했다.
이에 앞서 문집인 《도연집(陶硯集)》을 2008년에 출간했고, 2009년 2월에 서울의 대동세무고등학교장으로 교직 생활 40여 년을 마감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