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재난 이후, 쏠의 십대 그리고 경진의 이십대 _전주희
1장 재난과 통치: (신)자유주의적 위험 관리인가 상호의존성에 기초한 체제 전환인가 _정정훈
1. 리스본 대지진과 근대적 통치
2. 자유에 기초하여 국가를 통치하기
3. 자유주의적 안전장치와 재난 관리
4. 상호의존적 존재로서 개인들과 체제 전환
5. 출구: 안전할 권리에서 체제 전환의 전망으로
2장 인정이론의 관점에서 본 재난 참사 유가족 운동 _백선우
1. 들어가는 말: 아무도 책임지지 않은 참사
2. 호네트의 인정이론
3. 인정투쟁으로서 재난 참사 유가족 운동
4. 죽음에 대한 사회적 인정
3장 사회적 문화투쟁의 장으로서 재난 참사의 외상: 재난 참사와 외상의 문화정치학 _김현준
1. 들어가며: 재난과 고통의 질문
2. 고통과 외상을 사회문화적 실재로서 이해하기
3. ‘사회 없는’ 재난과 ‘문화 없는’ 외상 이해의 한계
4. 공적, 정치적 책임과 책무성의 투쟁으로 규정되는 재난과 외상
5. 나가며: 재난 참사의 고통을 우리 사회의 문제로 끌어오기 위하여
4장 10.29 이태원 참사에서 법적 책임의 정치적 확장: 세 편의 탄핵 의견서를 중심으로 _조지훈
1. 행정안전부 장관 탄핵 기각 이후, 계속되는 국가의 법적 책임 부인
2. 탄핵 기각 결정문 비판: 헌법재판소가 보여준 법적 책임 회피의 수사학
3. 법적 책임의 정치적 확장: 행위 책임에서 결과 책임으로
4. 애도가능성의 평등으로서의 생명권에 대한 요구
5. 나가며: 약속의 위반, 국가의 헌법에 대한 거짓맹세 앞에서
5장 10.29 이태원, 재난은 어떻게 서사화되었나: 국가주의 재난서사 비판 _전주희
1. 재난을 부정하는 재난서사
2. 실패의 봉합과 국가주의 재난서사의 반복
3. 국가주의 재난서사의 작동 실패? 애도의 등급화와 피해자 혐오
4. 재난 ‘이후’의 사회를 위한 조건
6장 피해당사자의 권리로부터 모두의 안전권을 _전주희
1. 재난이 만든 ‘두 번째 시민’
2. ‘대표불능’ 상태의 재난 피해자와 보편적 안전권의 실종
3. 세월호와 이태원 사이: 안전권 입법 시도와 실패
4. 대항적 생명정치와 보편적 안전권을 위한 저항권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