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고금소총(續古今笑叢)》의 제목은 《고금소총》에 이어 편찬했다는 뜻이다. 그간 편찬자가 누구인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근래에 발굴된 홍만종의 문고 《부부고(覆瓿藁)》에서 《속고금소총》의 서문 〈속고금소총서(續古今笑叢序)〉가 발견되며 홍만종이 《고금소총》에 이어 《속고금소총》까지 편찬했음이 밝혀졌다. 이 서문은 일본 동양문고에 소장되어 있는 판본에서만 확인되는데 그 책의 표제가 《속고금소총》이 아닌 《고금소총》으로 되어 있어 혼동을 불러일으켜 왔다.
그러나 《고금소총》과 《속고금소총》은 엄연히 다른 책이다. 《고금소총》이 강희맹의 《촌담해이(村談解頤)》, 송세림의 《어면순(禦眠楯)》, 성여학의 《속어면순(續禦眠楯)》 3종에서 58편의 소화를 취해 편찬한 것이라면 《속고금소총》은 유몽인의 《어우야담(於于野談)》, 김시양의 《고담기문(古談記聞)》, 김육의 《잠곡필담(潛谷筆談)》, 김득신의 《종남총지(終南叢志)》, 임방의 《천예록(天倪錄)》까지 5종에서 54편의 소화를 가려 뽑아 편찬한 책이다.
내용 면에서도 전편과 후편의 차이점이 두드러진다. 음담패설의 축소가 그 하나다. 《속고금소총》에도 ‘성(性)’에 관한 내용과 표현이 없지는 않지만 전편 《고금소총》에 비하면 미약하며 표현 방식 또한 정제되었다. 거칠고 속된 언어로 남녀의 성관계나 성기를 묘사했던 《고금소총》과 달리 《속고금소총》은 성관계를 ‘부부지락(夫婦之樂)’ 정도로 부드럽게 표현하고, 성기에 대한 지칭 또한 ‘구멍, 음부’ 외에 나타나지 않는다.
외설은 축소됐으나 다양성 면에서는 속편의 폭이 훨씬 넓다. 특히 실존했던 인물을 다루는 이야기가 많아졌다. 《속고금소총》의 편찬자 홍만종은 17세기 관료 문인들과 그들의 일상생활에 담겨 있는 웃음에 주목했다. 한 치의 흐트러짐도 용납지 않는 예법이 풍미한 17세기 조선 사회. 《속고금소총》의 성취는 경직된 관인 사회에 필요한 것이 웃음이라는 것을 보여 준 것이다.
* 홍만종의 소화(笑話)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책을 함께 읽어 보시면 좋습니다.
《고금소총(古今笑叢)》(홍만종 엮음, 정용수 옮김, 지만지한국문학, 2024)
《명엽지해(蓂葉志諧)》(홍만종 엮음, 정용수 옮김, 지만지한국문학,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