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2D 뒤표지

북학의


  • ISBN-13
    979-11-989192-0-5 (9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율곡출판사 / 율곡출판사
  • 정가
    3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9-3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박제가
  • 번역
    안병직
  • 메인주제어
    사회, 정치철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북학의 #박제가 #사회, 정치철학 #동양철학 #한국철학
  • 도서유형
    종이책, 양장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4 mm, 416 Page

책소개

역자 서문 

 

조선후기의 실학에 관한 연구에 종사한 지도 어언간 반세기가 흘렀다. 만년에 『경세유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경세치용학의 체계가 정전법 및 부공제와 관제라는 것을 밝혔는데, 그후에 『반계수록』에 관한 검토를 통하여 이를 거듭 확인하게 되었다. 그때에는 나의 조선후기 실학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 탐구를 본질로 하는 학문의 경지에 걸맞는 수준에 이른 것 같아서 정말 기쁘기 짝이 없었다. 이제 미수를 맞이하여 학문 생활을 차차 마감해야 하는 시점에서 이용후생학에 관한 연구도 조금은 남겨야 하지 않느냐는 생각에서 『북학의』를 번역해보기로 했다. 

그런데 우선은 『북학의』의 번역을 통하여 나의 한문 해독력을 시험해보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번역하는 과정에서 내가 미쳐 예상하지도 못했던 이용후생학의 체계가 거기에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용후생학은 『상서』 대우모의 「수화금목토곡유수, 정덕이용후생유화」에 그 경전적 근거를 두고 있다. 즉, 육부를 닦고, 삼사를 조화롭게 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는 것이다. 『북학의』의 목차를 검토해보면, 내외편의 ‘수레’로부터 ‘뽕나무와 과실’에 이르는 43항목과 ‘농잠총론’에서 ‘병오소회’에 이르는 13항목, 그리고 진상본의 ‘수레’으로부터 ‘기천영명은 역농에 근본한다’에 이르는 24항목과 ‘농잠총론’으로부터 ‘존주론’에 이르는 4항목이 각각 육부와 삼사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이용후생학의 체계인 것이다.

본래 『북학의』를 구성하는 각 항목들은 조선후기의 사회적 실상을 매우 자상하게 설명해주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실제로 그것을 제대로 읽어본 사람이라면, 『북학의』가 조선후기에 관한 어떠한 연구보다도 조선후기의 실상을 잘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학의』의 가치는, 단순히 조선후기의 실상을 잘 설명해주는 데만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조선후기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확하게 제시하고 있는 데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북학의』는, 조선후기의 기본 문제를 ‘빈곤’에서 찾았고, 그 해결방향을 당시에 가장 선진국으로 생각되었던 ‘중국과의 통상’에서 찾으려고 했다.

조선후기와 같은 정체적이고 폐쇄적인 사회에서 시대적 과제의 해결방안을 개혁개방에서 찾으려고 했다는 사실은 정말 놀라운 일이다. 조선후기와 같은 그 지독한 빈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안으로 토지제도를 개혁하고 농잠업을 진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러한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공업을 발전시키고 대외통상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급선무라는 것이다. 20세기 후반기에 한국이 개혁개방을 통하여 경제발전을 이룩한 그 정책방향이 이미 이용후생학에서 제시되어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혹시 조선후기에 관한 연구가 내재적 발전을 중시하는 자본주의 맹아론에 매몰되는 것은 시대착오가 아닐까.

개혁개방의 국제주의를 통한 경제발전에 의하여 나라가 부강하는 선진국에 진입한 오늘날에 있어서도 한국사에 관한 연구는 아직 배외적 민족주의에 매몰되어 있다. 이러한 연구상황 하에서 『북학의』를 개혁개방의 선구라고 해설하는 것은 시대적 분위기에 대한 일종의 반역일 것이다. 그리고 또 『북학의』는 조선후기의 빈곤과 정체성을 낱낱이 폭로하고 그 극복방향을 일일이 ‘중국에서 배우자’고 강조하고 있다. 한국사의 내재적 발전을 추구하는 연구자들에게는 일종의 반동으로 생각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학의』의 이러한 주장의 배경에는 내재적 발전의 계기가 미약한 역사적 상황 하에서는 국제주의만이 시대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향이라는 깊은 통찰이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북학의』는 전역을 기준으로 할 때, 세 가지의 번역서가 있다. 모두 한문 원문을 정리하고 초역이 직면할 수밖에 없는 난관을 극복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어야 하겠으나, 또 사정이 그러했기 때문에 오역이나 불충분한 번역이 너무 많다. 필자의 번역은 선행의 번역을 참고할 수 있는 학문적 혜택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오역을 줄이고 명확한 번역이 되도록 애썼다. 기존의 번역보다 조금이나마 나은 점이 있을까. 그러나 필자의 번역에 있어서도 번역이 제대로 되지 않은 부분이 있었는데, 그러한 곳은 본문에 일일이 밝혀두었다. 이러한 미비점은, 한문 원문의 미비점에 기인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앞으로의 해결과제로 남겨둘 수밖에 없다.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여러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았다.『북학의』 전공자 안대회 교수는 애써 정본화하여 입력한 한문 원문을 흔쾌히 나의 번역에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해주었다. 그리고 박덕제 교수(노동경제학 전공), 김경회 사장(경영학 전공) 및 낙성대경제연구소 소장 박이택 박사는 번역문의 개선과 교정에 힘써주었다. 끝으로 오늘날 출판사정이 매우 어려움에도 율곡출판사 박기남 사장은 선뜻 출판을 맡아주었다. 위의 여러분에게는 물론, 이 책의 출판에 애써주신 율곡출판사 직원 여러분에게도, 필자의 마음속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는 바이다.

 

2024년 6월 28일

미수를 자축하면서 안병직은 쓰다.

목차

북학의내편

북학의외편

북학의진상본

정본 북학의 한문원문

해설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박제가
1750년 소북小北가문 박평朴玶의 서자로 출생. 11세에 김복휴金復休를 사사師事하고, 15세에 필동에 거주하며 초어정樵漁亭이라는 현판 글씨를 쓰고, 17세에 백탑白塔 부근에 살던 이덕무, 유득공, 서상수 및 이희경 등과 더불어 시문詩文활동을 전개. 19세에 박지원을 찾아가 집지執贄하다. 27세 때 유금柳琴이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 및 이서구의 시 100편을 뽑아 중국으로 가지고 들어가 이조원李調元과 반정균潘庭筠의 비평을 받아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으로 출간. 이때에는 이미 홍대용의 『회우록』이나 원중거元重擧 등 통신사의 견문록을 읽고 중국과 일본의 사정을 자세히 파악하다. 28세에 증광시增廣試에서 3등으로 합격하고, 29세에 중국사행에서 돌아와 『북학의』 내외편을 저술하다. 30세에 정조의 특지로 이덕무, 유득공 및 서이수 등과 함께 규장각의 4검서관으로 임명되고, 그후에 내외관직에 종사하다가, 43세에 부여현감, 48세에 영평현령에 제수되다. 이때에 정조의 「권농정구농서륜음」을 받고, 『진북학의』를 올리다. 52세에 함경도 종성으로 귀양갔다가 돌아와 1805년 56세로 일생을 마감했다. 그의 학문은 정조대의 왕안석王安石으로 평가되었으나,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 관직을 제수除授받지는 못했다.
번역 : 안병직
1936년 경남 함안에서 출생. 1957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 동대학원 수료 후, 1965년에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전임강사. 『3.1운동』을 저술하고 ‘식민지반봉건사회론’을 제기하여 민주화 운동의 이념을 제시. 1970년대 말에 붕괴될 것으로 예상했던 한국 경제가 부활하는 것을 보고 1985년에 동경대학 경제학부로 유학, 객원교수·교수로서 학생을 가르치는 한편, 일본인 연구자들과 세계 경제 동향에 관해 공동연구, 앞으로 사회주의 제국이 몰락하고 NICs가 세계 경제를 선도할 것이라는 사실을 알다. 1987년에 귀국하여 중진자본주의이론을 소개, 민주화 운동의 방향선회를 시도했으나 실패, 뉴라이트 운동을 전개하여 대한민국 정체성의 확립에 매진하는 한편(『한국경제사』를 저술하여 사후에 그것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다), 『경세유표에 관한 연구』, 『다산경세학에 관한 연구』 및 『역주북학의』를 통하여 조선후기 실학의 경세학적經世學的 체계를 파악하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