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러운 세상을 돌파하는
최소한의 지식 루틴
하루 10분이면 충분하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우리에겐 ‘지식습관’이 필요하다. 지식은 단숨에 책 한 권을 독파하는 것으로 쌓이지 않는다. 매일매일 이불을 개고, 커피를 마시는 하루의 루틴처럼 습관이 되어야 쌓일 수 있다. 하루 10분, 짧은 지식 한 토막을 읽는 습관은, 도파민을 자극하는 숏폼을 보는 밤의 시간에서 벗어나 잠시 세상과 나 자신에 몰입하고 집중하는 시간이자 시류에 휩쓸리지 않는, 나만의 중심을 잡는 시간이다.
하지만 이렇게 쌓는 지식은 오직 나만을 위한 지식은 아니다. 《하루지식습관》 시리즈는 나와 타인, 세상을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만들어졌다. 저자들은 이 시대를 살아가며 최소한은 알아야 할 다양한 지식 분야의 최전선을 주시했다. 철학, 과학, 사회, 문화, 경제 등 다양한 주제가 이야기하듯 흥미롭게 펼쳐진다. 이 종횡무진 하는 지식의 경계를 넘나들다 보면 나만의 지식 세계관이 확장될 것이다.
“오직 나만의 지식을 쌓는 재미”
플라톤에서 입자 물리학까지
하나의 키워드로 연결하는
지식의 유니버스
《하루지식습관》1권 홀로서기는 ‘자립’이라는 키워드로 시작한다. 자립, 스스로 선다는 것은 무얼 의미할까? 권위자와 대세의 흐름에 ‘무지성’적으로 합세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는 자세를 의미한다. 비교우위가 아니라 앎과 삶에서 나만의 가치관을 세우는 일련의 태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그 태도가 모든 교양 쌓기의 첫걸음이다.
이처럼《하루지식습관 1권》은 지식 쌓기의 본연의 자세를 강조하며 우리의 실생활과 상아탑의 지식을 자유롭게 오간다. 자립과 일체감 사이에서 고뇌하는 우리들의 인간관계를 정리한 쇼펜하우어의 거리두기 관계론, 다양한 가족제도 속에서 출산율이 증가한 프랑스, 상호 이타주의와 협력의 진화론, 생성AI시대 이후 트랜스 휴머니즘, 고체 강체를 통해 본 물리학적 평형, 국제사회 속 지속가능한 발전, 진화심리학과 인지과학에서 말하는 인간의 마음, 각종 편향과 편견에서 자유롭지 못한 인간의 한계, ‘변하지 않고서는 진리를 깨우칠 수 없다’고 말하는 불교, 불변에 대한 과학적 정의, 백화점 매출구조를 설명하는 파레토법칙, 최소한의 우주 상식과 경제의 바로미터부터 플라톤의 이데아까지. 평소라면 누군가가 떠먹여주듯 잘 만든 콘텐츠가 있어야 클릭했을 법한 분야의 지식을 내 손으로 찾아 읽다 보면 나만의 지식 세계관이 확장되는 걸 느낄 수 있다.
저자들은 문과형 지식과 이과형 지식을 넘나드는 통섭형 지식 큐레이션을 지향한다. 따라서 책은 백과사전식 지식 나열이 아닌, 술술 읽히는 이야기 구조로 되어 있다. 철학에서 과학, 과학에서 사회,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 교양은 한 가지 키워드를 두고 다양한 지식의 관점을 드러내는데 읽는 재미를 더해준다. 우리는 매일매일 이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지식 습관’의 루틴을 체화할 수 있다.
● 먼저 읽은 독자들의 추천사
여러 분야의 지식들을 읽으며, 정말 지식 세계관이 확장되는 것 같아 뿌듯했습니다.
― 권유진
친구들에게 ‘이렇대~!’ 하면서 알려줄 수 있는 지식들이 가득 있어서 좋았습니다. 한 편의 글이 짧아서 간편하게 읽기 좋은 것 같아요. :)
― 나날
이 책 한 권을 읽고 나니, 유명하다는 모든 영역의 비문학 ‘벽돌책’을 읽어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공부 잘하는 애가 요약 정리해놓은 노트처럼 보물 같은 책이에요.
― Jane. A muge
문과(심리, 상식, 정치, 철학, 역사), 이과(과학, 수학)를 아우르는 통섭형 인재상에 걸맞는 책이라고 생각됩니다. 여러분은 편중됨 없이 매일 짧은 글을 통하여 넘치는 지식을 얻을 수 있는 혁신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 전준규
평소 생각이 많지만 정리해본 적 없는 분들, 삶을 넓게 보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 보노
평소라면 (아마 절대) 읽지 않았을 분야들을 요리조리 ‘찍먹’ 할 수 있는 지식의 시식코너.
― 이민준
한 주제에 대해 여러 분야의 이야기를 알게 된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 김은미
어딜 가나 자주 듣던 이야기지만 자신 있게 말하기엔 주저하게 되는 상식을 총망라한 책!
― 차차
평소에 회사를 다니면서 그리고 가족들과의 관계에서 고민하던 내용들이 담겨 있습니다.
― 그린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