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자책
평면표지(2D 앞표지)

세계 무용사


  • ISBN-13
    979-11-288-5446-0 (95680)
  • 출판사 / 임프린트
    커뮤니케이션북스㈜ / 지식공작소
  • 정가
    38,4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5-3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쿠르트 작스
  • 번역
    김매자
  • 메인주제어
    무용
  • 추가주제어
    예술일반 , 세계전역
  • 키워드
    #춤 #인류학 #음악사 #무용 #예술일반 #세계전역
  • 도서유형
    전자책, EPUB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책소개

종족의 춤과 춤의 역사를 한눈에 조감해 볼 수 있는 세계 무용사의 고전이다. 음악사, 미술사, 철학을 전공한 저자가 다학제적 관점으로 세계의 무용사를 기술하고, 종족음악학에 관한 조예를 배경으로 폭넓은 인류학적 자료를 제시한다. 전 세계 춤을 망라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비교 분석하여 체계를 수립한 선구적인 업적이다. 본문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이미지로 보여 주는 도판 56컷이 수록되었다.

목차

옮긴이의 초판 서문  
옮긴이의 개정판 서문  
추천사
저자 서문

제1부 종족의 춤


제1장 동작  
일반적인 특징  
육체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춤  
순수한 발작적인 춤 
약화된 발작적인 춤 
육체와 조화를 이루는 춤  
확장된 춤 
폐쇄된 춤 

제2장 주제와 유형  
일반적인 특징 
비상징적인 춤 
일반적인 특징 
의료춤 
풍요춤 
입사춤 
혼례춤 
장례춤과 머리가죽 춤 
전쟁춤 
상징적인 춤 
일반적인 특징  
동물춤 
풍요춤 
입사춤 
장례춤 
무기춤 
두 가지 유형의 교차 
일반적인 특징 
풍요춤 
입사춤 
무기춤 
혹성춤 
탈춤 

제3장 형식과 안무  
형식 
개인춤 
군무 
분류 
윤무 
뱀 모양의 윤무 
대면군무 
위치를 바꾸는 군무 
희귀춤 
왼편과 오른편 
쌍쌍춤 
성 

제4장 음악  
자연음향  
율동적인 반주  
멜로디, 그리고 멜로디와 춤의 관계 
음역과 음정 
연주 
리듬 
형식 

제2부 춤의 역사

제5장 석기시대  
원시 석기시대 
초기 구석기문화  
중기 구석기문화 
후기 원시 문화 
부족문화 
신석기시대와 초기 부족문화 
초기 신석기문화와 중기 부족문화 
신석기시대, 철기시대, 그리고 후기 부족문화 

제6장 보여 주는 춤으로의 발전과 동양문명  
주제와 양식  

제7장 고대 이후의 유럽  
고전 고대시대  
그리스 
로마 
북방지역의 고대와 초기 중세시대 
후기 중세시대 
춤 엑스터시의 촉발 
초기 음유시인 시대 
음유시인 전성시대 

제8장 15세기  
일반적인 특징  
동작  
기본적인 기호 
동작의 템포 
프랑스의 춤 용어 
이탈리아의 춤 용어 
스페인의 춤 용어 
여러 가지 춤  

제9장 갤리어드 시대(1500∼1650)
일반적인 특징  
동작  
프랑스 무용 용어 
이탈리아 무용 용어 
스페인 무용 용어 
개방적인 쌍쌍춤  
파반 
스페인의 파반 
파사메초 
갤리어드 
투르디옹 
쿠랑트 
카나리아 제도의 춤 
카스카르다 
베르가마스카 
사라반데 
샤코나 
파사칼리아 
피에 데 히바오 
당스 데 부퐁 
폐쇄적인 쌍쌍춤  
볼타 
니사르다 
독일의 회전춤, 드레탄츠 
영국의 춤 
집단 윤무  
브란도 
트리오리 
메저 

제10장 미뉴에트 시대(1650∼1750)
일반적인 특징  
동작  
쌍쌍춤  
미뉴에트 
파스피에 
부레 
시손
지그 
리고동 
폴리아 
알레망드 
군무  
콩트르 
폴로네즈 
크라코비아크 

제11장 왈츠 시대(1750∼1900)
왈츠  
폴카와 관련된 춤  
군무  
공연무용  

제12장 탱고 시대(20세기)

춤 찾아보기  
화보  
지은이 소개  
옮긴이 소개

본문인용

춤은 모든 예술의 어머니다. 음악과 시는 시간 속에 존재하고 회화와 조각은 공간 속에 존재한다. 그러나 춤은 시간과 공간 속에 동시에 존재한다. 창조자와 창조물, 즉 예술가와 작품은 아직 하나인 채로 있을 따름이다. 리드미컬한 동작의 패턴, 조형적인 공간감각, 가시세계(可視世界)나 상상세계의 생생한 재현, 이러한 것들을 인간은 자신의 몸을 가지고 춤으로 창조해 낸다. 곧 내적 경험을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써 물질이나 돌, 언어 등을 사용하기 전에 몸을 사용하는 것이다.
언어예술은 이러한 심상을 전부 표현해 내지는 못한다. 사실상 사람들은 언어를 사용하기를 꺼려하기조차 한다. 왜냐하면 과장되고 한정된 오늘날의 언어의 의미를 가지고서는 춤이 실제로 얼마나 풍부한 것인지 충분하게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춤은 육체와 영혼, 자유분방한 감정 표현과 절제된 행동, 사회생활과 개인생활의 표현, 그리고 오락, 종교, 전쟁, 연극 등 보다 진보된 문명이 만들어 낸 모든 구분을 허물어 버린다. 육체는 황홀경에 빠져 무아의 경지에서 초인적인 영혼의 힘이 머무르는 그릇에 지나지 않게 되고, 영혼은 자신의 몸무게마저 잊어버린 육체의 점점 빨라지는 동작 가운데서 행복감과 희열을 동시에 느끼게 된다. 춤이 필요한 이유는 생명에 대한 고조된 열정이 인간의 팔다리를 가만히 있게 내버려 두지 않기 때문이며, 춤을 갈망하는 까닭은 춤을 추는 사람은 마력(magic power)을 얻게 되고 그 마력은 그에게 승리와 건강과 생명력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xxxiii~xxxiv쪽

옛날 뉴헤브리디스(New Hebrides)에 있는 가우아(Gaua)라는 섬에서는 나이 많은 부족의 어른이 활과 화살을 준비했다가 실수하는 무용수를 모두 쏘아 죽이곤 했다고 한다. 따라서 모든 부족의 구성원들은 춤을 완전하게 출 수 있도록 배워야만 했다.
-361쪽

글루크가 오페라를 음악과 극이 결합된 하나의 예술 작업으로 재창조했듯이, 노베르는 발타사르 보조이외(Balthasard Beaujoyeulx)의 정신으로 옛 오락물을 이제는 하나의 무용극으로 변형했는데, 그 속에선 모든 예술, 즉 음악, 의상과 장식, 디자인과 색채 등이 모두 결합해서 관중으로 하여금 극장을 벗어나 일종의 감정의 고양 상태에까지 이르게 하는 것이었다. (...)
이런 개혁이 일어나자 발레는 거의 150년 동안 두 번째 호황을 누릴 수 있었다. 그러나 그 기간의 절반은 부패와 타락의 기간이었다. 19세기 전반의 약 30년간 전성기를 누린 이후 발레는 점점 진부한 것이 되어 갔다. 다시 정신보다는 다리가 더 중요해졌고, 춤 그 자체를 위한 춤이 일반화되었으며, 노베르가 말한 것처럼 무용극은 단순한 오락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 가물거리는 불꽃이 다시 한번 맹렬히 타올랐다. 시적인 이념, 음악, 의상, 장식 등이 기술적으로 완벽한(그러나 스스로를 위한 것만은 아닌) 무용과 아주 자연스럽게 결합한 형태의 무용극, 이 노베르의 거대하고 아름다운 꿈은 마침내 20세기 초반 러시아 발레에서 실현되었다.
-721~722쪽

서평

춤은 모든 예술의 어머니
“춤추지 않고서야 어찌 인생을 알리오.”
-2세기 그노시스교도의 찬송가 〈그리스도〉 중에서
“춤의 참힘을 아는 자는 누구든지 신과 함께 있도다.”
-페르시아 회교 수도승 시인 루미

쿠르트 작스는 춤을 모든 예술의 어머니라 했다. 음악과 시는 시간 속에 존재하고 회화와 조각은 공간 속에 존재하지만 춤은 시간과 공간 속에 동시에 존재한다. 또 창조자와 창조물, 즉 예술가와 작품이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애정 어린 관점에서 춤에 대해 정의를 내리는 데서 시작해 저자는 세계 방방곡곡 여러 부족의 춤동작의 특징을 파악하고 춤의 주제와 유형을 분류하며 음악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본격적인 역사에 들어가서는 구석기시대에서 시작해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사조별 특징과 더불어 춤의 종류와 각국의 춤 용어를 설명한다. 종족음악학에 관한 조예를 배경으로 폭넓은 인류학적 자료를 적절히 제시하는 데 음악사, 미술사, 철학을 전공한 저자의 식견이 빛을 발한다. 이는 전 세계 춤을 망라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비교 분석하여 체계를 수립한 선구적인 업적이다. 또 이 책이 춤 연구에 기여한 바는 그가 춤을 그 자체로만 보지 않고 총체적인 문화 전반에서 파악해 사회 및 문화적 요소가 춤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 데 있다. 춤이 문명의 다른 분야들과 관련을 맺고 있고 무용사는 인류를 연구하는 데 대단히 중요하다는 저자의 생각이 바탕에 깔린 때문이다.

모든 예술이 그 위치를 정립하면서 시대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토대가 필요하다. 지나온 것에 대한 엄정한 검증을 발판으로 해서 이를 뛰어넘는 자세에서 창조적 예술이 태어나기 때문이다. 한국 무용이 세계 무용의 여러 갈래 속에서 보편성과 특수성을 가늠하기 위해서도 세계 무용사에 대한 고찰은 필수다. 하지만 1983년 《세계 무용사》 초판 출간 당시 역자가 서문에서 “무용의 역사에 관한 기본 자료조차 찾아보기 힘든 절대적 빈곤 상태”라고 밝힌 무용연구서 분야는 여전히 척박한 현실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무용사의 고전으로 정평이 난 쿠르트 작스(Curt Sachs)의 《세계 무용사》를 다시 냄으로써 인류학 연구의 방법론을 제시할 춤의 역사를 들여다본다. 1983년 풀빛에서 번역 출간되었던 판본을 복간하면서 초판의 오류를 바로잡고 현행 어문규정의 표기를 적용했다.

저자소개

번역 : 김매자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사)창무예술원 이사장, 무용월간지 《몸》 발행인, 창무국제공연예술제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이화여대 체육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무용을 전공했다.
한국창작춤의 틀을 마련하였으며 제1대 한국무용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 궁중무용, 불교의식무용, 민속무용, 무속춤 등을 섭렵했으며 무형문화재 제27호 한영숙류 승무의 이수자이기도 하다. 1993년부터 매년 창무국제예술제를 개최하고 있으며 창무예술단은 세계 각국의 초청을 받아 800여 회 이상 해외공연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전통무용과 한국창작춤 등 우리 춤의 세계화를 통해 K컬처를 국제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춤》(1990), 《한국무용사》(1995), 《춤의 김매자》(2014) 등이 있으며 《세계무용사》(1983)를 번역했다. 1993년 월간 무용잡지 《몸》을 창간해 2023년 9월 현재 345호를 발행했다.
저자 : 쿠르트 작스
1881년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1904년 베를린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19년부터 1933년까지 같은 대학에서 강의하면서 베를린악기박물관의 관리를 맡았다. 1930년에는 이집트 정부의 요청으로 동양악기의 분류와 보존에 대한 자문을 수행했다. 1937년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대학 객원교수로 있으면서 1952년까지 뉴욕공립도서관 자문위원을 지냈다. 1953년 콜롬비아대학 조교수로 임명되어 1959년 작고할 때까지 근무했다. 미국음악학회 회원으로 1948년부터 1950년까지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민족음악학, 무용사, 악기사 분류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28편 이상의 저술을 남겼다. 주요 저작은 《The History of Musical Instruments》(1940), 《Commonwealth of Art》(1946), 《Our Musical Heritage》(1948), 《Rhythm and Tempo》(1953), 《Two Thousand Years of Music》(1930), 《Anthologie Sonore》 (1934∼1938, Paris) 등이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