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2D 뒤표지

손·발 해부학 드로잉

자연스러운 제스처를 위한


  • ISBN-13
    979-11-7217-001-1 (13650)
  • 출판사 / 임프린트
    한국학술정보 / 므큐
  • 정가
    2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2-2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가토 고타
  • 번역
    -
  • 메인주제어
    드로잉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드로잉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82 * 257 mm, 136 Page

책소개

손과 발을 가장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책이다. 인체 그림의 디테일은 인체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가 결정한다. 특히 다양한 상황과 환경에 따라 활용도가 높은 손과 발은 표면 뿐만 아니라 인체 내부에 있는 뼈와 근육, 힘줄 등에 대해서도 잘 알아야 섬세한 스케치를 할 수 있다.

Part 1과 2에서는 손과 발의 골격과 인대, 정맥 등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를 살펴본다. 각 부위의 명칭과 모식도가 수록되어 있다. Part 3에서는 여러 게스트들의 실전 활용에 대해 살펴보면서 구도를 응용할 수 있다. 같은 가이드를 보고 결과물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 보자.

목차

 

손의 골격

손의 인대

손의 근육

겹쳐져 있는 근육의 형태

손의 정맥

손의 체표 구분

스너프 박스(해부학코담배갑)

손바닥의 주름

손가락 힘줄의 배치

손톱의 모양

성별에 따른 손의 구조 차이

손의 프로포션

손가락 운동

손가락의 연동

손가락 펴고 모으기

엄지손가락의 운동

주먹을 쥐었을 때의 특징

손목의 굽히고 펴기

손목의 운동

 

 

발의 골격

발의 인대

발의 근육

겹쳐져 있는 근육의 형태

발의 정맥

발과 손의 지방

발의 체표 구분

발목 운동

발가락 운동

체중이 실린 발가락

손가락의 방향

발의 프로포션

발가락 끝부분의 베리에이션

아치의 베리에이션

성별에 따른 발 골격 차이

 

예시 작품편 

 

예시 작품편 · 손

  1. 게스트 페이지

예시 작품편 · 발

  1. 게스트 페이지

 

마치며

본문인용

기존 해부학 교과서에 나오는 근육 부분에서는 손가락의 피부가 그대로 표시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손·발 해부학 드로잉』처럼 손가락 끝의 힘줄까지 그려진 해부학은 드물지 않을까 한다.

  1. 4쪽

 

인대는 뼈와 뼈를 연결하는 강인한 결합조직을 말한다. 콜라겐섬유로 되어 있어 관절을 한 바퀴 빙 둘러 완전히 덮고 있다. 손목뼈 등에서는 관절 속에서도 볼 수 있다.

  1. 12쪽

 

엄지손가락을 폈을 때 손등 쪽에서는, 가늘고 긴 삼각형의 우묵한 곳이 생긴다. 이 부분을 ‘스너프박스’라고 한다. 옛날에 분말 담배를 이 우묵한 곳에 넣고 코로 들이마셔서 즐겼다는 것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엄지손가락으로 향하는 힘줄의 배치를 파악하면 좋을 것이다. 

  1. 34쪽

 

가운뎃손가락 끝에서 손가락이 갈라지 는 뿌리 부분까지의 길이는, 가운뎃손가락 끝에서 손목까지 길이의 2분의 1이다). 엄지손가락 끝에서 손가락이 갈라지는 뿌리까지의 길이는 해당 뿌리에서 손목까지 길이와 같고, 새끼손가락도 그와 마찬가지다. 또한, 손목의 폭은 새끼손가락쪽 손바닥의 길이와 같으며, 집게손가락과 약손가락의 길이는 거의 같다. 

  1. 40쪽

 

발의 골격은 손의 골격에 비해 발목 부분이 상당한 범위를 차지한다. 큰 영장류와 비교해도 사람의 발가락이 매우 짧은 편이라 움직임이 서툴다. 

  1. 52쪽

 

손과 발의 근육 명칭은 비슷하다. 큰 차이는 발등(손등에 대응) 쪽에 근육이 있다는 점이다. 발목을 통과하는 힘줄은 복사뼈 앞쪽과 뒤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 복사뼈 뒤쪽에는 3개, 바깥 복사뼈 뒤쪽에는 2개의 힘줄이 통과한다. 

  1. 59쪽

 

 

발가락 끝의 형태는 이집트형(엄지발가락이 튀어나옴), 그리스형(검지발가락이 튀어나옴), 스퀘어형(약지발가락까지 길이차이가 적음)으로 분류된다. 해부학에서는 둘째 관절의 뼈(중간마디뼈)의 길이 변화가 형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1. 82쪽

 

그리는 사람에 따라 특히 차이가 난 것은 조명법이나 해칭을 사용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림자가 지는 방향이나 명암의 강도에 따라 그림을 그리는 용이성은 상당히 변화한다. 예를 들어, 광원이 여러 개 있어 드문드문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으면 그리기 어렵다.

  1. 108쪽

 

신발 사이즈 외에도 발의 폭이나 발바닥활 등에서 개인차를 발견할 수 있다. 노화에 따른 변화는 손보다 발이 적은 편이다. 자신의 발이나 샌들을 신고 있는 사람의 발 등을 관찰하여 확인해 보자.

  1. 129쪽

 

해부학을 배우면 몸의 표면에서 관찰되는 굴곡의 정체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굴곡 하나하나가 무엇에 의해 생긴 것인지 완벽하게는 이해할 수는 없어도 추측이 가능한 것이다. 

  1. 132쪽

서평

★ 손과 발의 모든 해부학적 구조 설명

이 책은 우리 몸에서 가장 낯익은 부위인 손과 발을 그리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순히 피부의 겉면만을 배치해 동작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손과 발 안의 해부도가 어떻게 생겼는지 모두 그림과 함께 제공하고 있다.

전반부에서는 손가락의 피부, 접었을 때 뼈의 위치나 각도, 인대와 주름과 관절, 힘줄의 위치나 이름에 대해 설명했다. 후반부에서는 실제로 만든 예시 작품을 수록했다. 같은 모델을 보고 같은 조언을 듣고 게스트들이 각각 어떻게 다른 그림을 표현하는지 살펴보면서 사람에 따라 보는 관점과 각도가 다양함을 느껴보자.

 

★ 부위별, 명칭별, 기능별로 표현된 디테일한 그림

근육이 몇 겹으로 되어 있는지, 손과 발의 구조를 크게 몇 덩어리로 나누는지, 손과 발의 구조 중 대칭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무엇인지 등 지금까지 설명되지 않았던 내용에 대해 속 시원히 들여다볼 수 있다. 근육이 방사형으로 퍼지는 모습, 뼈의 굴곡, 힘줄의 가닥이 모인 모습, 건초처럼 생긴 인대 등이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큼직하게 들어간 그림에는 부위별로 색 표시를 다르게 해 각 영역을 알아보기 쉽다. 따라서 의학이나 물리치료를 공부하는 독자들이라도 참고하기 좋은 자료다. 몸의 표면뿐 아니라 인체적 구조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파악하면서 관찰하는 눈을 기르자. 이 훈련이 그림을 표현하는 기술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 다양한 자세와 구도에 적용하는 상황별 작례 수록!

그림을 그리면서 인물을 표현하다 보면, 인물이 처한 다양한 상황에 따라 손과 발을 배치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에서는 정자세로 있을 때의 손과 발 뿐만 아니라 역동적으로 움직일 때의 자세가 어떤지에 대해서도 함께 다루고 있다.

손을 폈을 때, 가볍게 쥐었을 때, 꽉 쥐었을 때, 편 채로 힘을 줬을 때, 어딘가를 가리켰을 때, 뒤로 젖힐 때, 다섯 손가락을 모두 붙여 오므릴 때, 손가락만 접을 때, 손가락을 더 깊게 말아 손바닥에 닿도록 접을 때, 손을 양옆으로 흔들어 인사할 때, 가위나 연필 등을 잡았을 때 표현되는 부분과 가려지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이 바닥을 딛을 때, 걸을 때, 낭떠러지 등에서 앞을 내려다보느라 발로 땅을 잡을 때, 스트레칭하면서 발이 정강이와 일직선이 되도록 뻗을 때, 운동하거나 넘어지면서 발목이 꺾일 때, 의자에 앉아 두 발을 포개 놓을 때, 발가락을 꼼지락거릴 때, 발레리나가 발끝으로 설 때, 작품 속에서 손과 발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어리거나 늙은 사람의 손발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굴곡이 있거나 통통하거나 주름이 많은 등 각각 손발의 개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등도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다.

저자소개

저자 : 가토 고타
미술해부학자, 메디컬일러스트레이터, 그래픽디자이너. 1981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2002년 분카학원 복장과에서 공부했으며, 2008년 도쿄예술대학 디자인과를 졸업했다. 2014년 도쿄예술대학대학원에서 박사(미술, 의학) 학위를 받아 지금은 준텐도대학 생체구조과학 조교이자, 도쿄예술대학 미술해부학 연구실의 시간강사로 근무 중이다.
저서로는 『인간&동물 비교 미술해부학』, 『미술해부학』등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