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Ⅱ 그리스도인, 왜 홀로서기인가?
사례 1. 복을 빌어주는 목회자를 찾아 교회를 떠나다
사례 2. ‘십일조’로 인해 시험 든 어머니
사례 3. 목회자의 정치적 이념에 길들여진 그리스도인들
사례 4. 바른 성서 이해가 주체적 신앙으로 이끈다
Ⅲ 주체적 신앙의 토대다지기
1. 성직주의와 교권주의
2. 신학적 토대: 루터의 ‘만인제사장직’
1) 평신도의 제사장직
2) 평신도의 제사장직과 교회의 직분
3) 루터의 만인제사장직에 대한 헤르보른의 비판
3. 철학적 토대: 키에르케고어의 ‘주체성(단독자)’ 개념
1) 하나님 앞에 선 단독자로서 주체성
2) 결단과 주체성
3) 주관적 진리
4) 주체화로서 간접전달
Ⅳ 내면의 주체에서 연결하는 주체로
1. 내면의 주체
1) 의심에서 확실성으로
2) 신 존재증명
3) 신적 자기 전개의 터로서 내면의 주체성
4) 내면적 주체성의 해체
2. 연결하는 주체
1) 연결하는 주체로서 상호주체성
2) 타자의 얼굴에 연결되는 주체
Ⅴ 주체적 신앙 정립을 위한 실천적 대안모색
1. 신학 강좌
1) 설교에 목매달지 말자
2) 성서에서 교리를 찾고, 교리로 성서를 읽다
3) 교리를 알면 삶이 보인다
4) 불공평하신 하나님
2. 기독교 교양강좌
1) 문학으로 읽는 신앙세계
2) 영화로 보고 듣는 신앙세계
3) 예술로 감상하는 신앙세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