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양달사 장군 문헌집

조선 최초 의병장


  • ISBN-13
    979-11-6983-809-2 (93900)
  • 출판사 / 임프린트
    한국학술정보 / 한국학술정보
  • 정가
    17,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11-3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
  • 번역
    이영현
  • 메인주제어
    문학연구: 고대, 고전, 중세
  • 추가주제어
    한국 , 한국어 , 언어: 역사, 일반 , 인물: 역사인물, 정치인, 군인
  • 키워드
    #문학연구: 고대, 고전, 중세 #언어: 역사, 일반 #인물: 역사인물, 정치인, 군인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5 mm, 274 Page

책소개

이 책은 조선 최초 의병장인 양달사 장군 관련 문헌을 번역한 것으로, 제주양씨주부공파 문중의 전 양금호 회장이 소장한 『남암공 사적(南巖公 事蹟)』을 저본으로 삼았다. 영암향교에서 발간한 『영암문헌록(靈巖文獻錄, 2001)』에 실린 문헌 중 일부를 교감(校勘)을 위해 참고하였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 글이 왜, 언제 작성되었는지 앞부분에 해제(解題) 겸 글쓴이의 정보를 덧붙였다.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과 여지도서(輿地圖書), 영암군지, 겸재집(謙齋集), 주부공파족보 등에 언급된 내용들이 대부분 수록돼 있다. 해당 문헌들은 진본(眞本)이 아닌 1959년 필사본지만 내용만은 여느 고문서보다 값진 책자다. 양달사보다 70여 년 후에 태어난 임연(林埏)의 사장(事狀)부터 효자로 널리 알려진 신사준의 유사(遺事), 나주목사 임육의 행장(行狀), 대사성 등을 역임한 윤득부의 묘지명(墓誌銘), 한성우윤 출신의 이기경 전(傳), 형조참의 출신인 오연상의 묘갈명(墓碣銘), 무안군수 이인채의 사적후(事績後), 나주임씨의 문중 일에 앞장선 임우진의 기적문(記蹟文), 조선 후기 도학자인 기학경의 후서(後序)까지 내용은 대동소이하나 모두 역사적으로 명망 있는 분들의 글들이 담겨 있다. 특히 1780년 전라도 유생 444명이 연서(連署)하여 관찰사에게 올린 등장(等狀)을 비롯한 7편의 소지(所志)를 통해 200여 년 동안 전라도민들이 양달사 의병장의 공적이 잊혀지는 것을 얼마나 안타까워했는지 짐작할 수 있었다. 그분들이 있었기에 양달사 의병장은 1847년 10월 19일 좌승지로, 형 달수는 사헌부 지평으로 추증될 수가 있었고 영암군에서는 1971년에 공적비를, 1974년에는 순국비를 세운 것이다. 아무쪼록 이 작은 책자가 양달사 의병장의 위대한 업적과 영암성 대첩의 의의를 고증학적으로 뒷받침하는 든든한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일러두기 
발간 경위

 

1. 남암공 사장(事狀) 
2. 양해남 남암공 행적 유사(遺事) 
3. 통훈대부 해남현감 제주양공 달사 행장(行狀) 
4. 통훈대부 해남현감 양공 묘지명(墓誌銘) 
5. 양해남 남암공 전(傳) 
6. 통훈대부 양해남 남암공 묘갈명(墓碣銘) 
7. 고(故) 현감 양공 사적후(事跡後) 
8. 양해남 남암 기적문(記蹟文) 

9. 양해남 행록 후서(行錄後序) 
10. 본읍 유생 등 본군 태수(太守) 서(書) 
11. 본읍 유생 임소 등 상순(上巡) 상서(上書) 
12. 도내 유생 상순상서 
13. 나주 진사 오시유 등 상순상서 
14. 본읍 유생 신창성 등 수의(繡衣)상서 
15. 본읍 유생 신창성 등 정(呈) 본관(本官) 서
 

[부록] 덕재공 양달수 관련 문헌 
1. 이조 계목점연 
2. 덕재공 양달수 사적 
 

남암공 양달사 사적(事蹟) 원본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번역 : 이영현
소설가, 영암학회 회장(2022~현재), 『바람벽에 쓴 시』(역사소설, 2020), 『오늘 하루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소설집, 2022), 『1953년 영암군 향토사』(영암학회회원 공동 번역 편집, 2022), 『일제강점기 영암군 현황 및 독립운동사』(영암학회 회원 공동 번역 편집, 2023) 저술.
감수 : 노기욱
호남의병연구소 소장, 전라남도이순신연구소 소장, 전남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연구원(2018~현재), 전라남도 명량축제위원회 이사(2020~현재). 『무안군사; 임진의병사』(무안군, 2023), 『디지털광주문화대전(인물사)』(광주광역시, 2021) 외 다수 저술.
기획 : 양달사현창사업회
1555년 5월 25일(양력 6월 13일), 6천여 왜구의 침입으로 백성들의 목숨이 경각에 달려 있을 때 영암군민과 인근 지역 주민들의 추대로 의병장이 되어 전라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 영암인의 기개를 드높인 조선 최초 의병장 양달사의 위대한 업적을 널리 알리고 호국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의병장 양달사 업적 선양 및 계승 발전사업, 영암성대첩 기념사업 및 영암성 일부 복원(남문 건립 등), 충효와 도의정신을 기리는 사업, 정부, 자치단체 등과의 유대를 통한 지역발전 사업 등을 진행 중이다.

https://www.yangdalsa.kr/38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