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커밍아웃 이후, 성소수자의 부모라는 또 한 번의 커밍아웃
사회가 말하는 ‘정상성’의 테두리 안에서 살아가던 부모들은 자녀의 커밍아웃으로 그 경계를 넘는다. 그들이 처한 환경과 관계는 모두 다르지만, 자녀의 커밍아웃으로 세계관이 뒤흔들렸다는 점은 같다. 저자는 그중에서도 성소수자의 부모됨을 세상에 자랑스럽게 드러낸, 또 한 번의 커밍아웃을 한 이들을 만난다. 저자는 커밍아웃을 ‘성소수자 부모’라는 범주를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체험으로 보고, 시기·장소·방식·상대·목적 등을 중심으로 그 형태와 과정을 살핀다. 독특한 점은 커밍아웃 체험을 ‘학습 사건’의 시작과 확장으로 조명한다는 것이다. 무엇이, 어떻게, 성소수자 부모를 이전과 다른 방법으로 뻗어 가게 하는지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평범함이라는 게 얼마나 유약해요…” 관습을 넘어 복수의 정상성으로
한국 교육 문화는 가족 문화와 깊은 공조 관계에 있으며,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는 교육 문화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 자녀의 커밍아웃은 그에 직접적으로 충돌한다. 평범함, 보편성, 정상성에 포섭되지 않는 자녀의 존재를 새로 배우게 된 이들은 전혀 새로운 부모-되기의 여정에 오른다. 자녀가 “평범하게 살지 못할까 봐” 염려하던 이들은 그 평범함이 얼마나 깨지기 쉬운 것인지 깨닫고, 수없이 많은 차이를 삭제하지 않는 단일한 정상성이란 없음을 깨닫는다. 이들의 이야기는 독자로 하여금 우리 교육과 사회가 여태 무엇을 평범하다고 말해 왔는지, 정상과 비정상을 어떻게 구분했는지, 특이성을 어떻게 위계화했는지 돌아보게 한다.
환대받는 이에서 환대하는 이로, 성소수자부모모임
성소수자부모모임은 자녀의 커밍아웃을 ‘받은’ 이들이 학습과 변화를 이어 갈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공동체다. 회피, 부정, 고독의 시간을 보내다 모임을 찾은 부모들을 반기는 것은 먼저 그 시간을 경험한 이들의 환대다. 환대란 “말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목소리가 그대로 울리는 환대의 공간에서 때로 긴장과 갈등이 생기기도 하지만, 결국 그 안에서도 모두의 목소리를 위한 더 나은 조건을 고민한다. 여기서 체화한 감각은 부모들이 발 딛은 일상, 일터, 사회, 세계로 뻗어 나가며 공간의 외연을 넓힌다. 저자는 성소수자부모모임 참여 관찰과 인터뷰로 그 감각에 더 가까이 가려 했다. 내부자의 감각으로 포착하고 그린 장면을 외부자의 감각으로 낯설게 보고 그 사회적 맥락과 의미를 짚어 낸다. 그 전환 속에서 성소수자와 그 부모들의 경험을 보다 깊게, 넓게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