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유전자 스위치

최신 과학으로 읽는 후성유전의 신비


  • ISBN-13
    979-11-983566-4-2 (93400)
  • 출판사 / 임프린트
    동아시아 / 히포크라테스
  • 정가
    18,5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10-2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장연규
  • 번역
    -
  • 메인주제어
    수학, 과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수학, 과학 #과학 #유전 #후성유전 #생물학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5 * 210 mm, 284 Page

책소개

유전자를 넘어 운명을 바꾸는 원리, 후성유전학

“운명이 바뀌는 신비함도 과학의 영역이다.”

후성유전 시스템 조절로 암을 치료하는 시대가 오고 있다

국내 최고 전문가 장연규 교수, 최신 후성유전 연구를 한 권에 담다

목차

추천의 글 • 005

서문 • 008

 

1 부 후성유전이란?

1장 라마르크의 귀환, 후성유전 • 017

라마르키언, 라마르크의 후계자들 | 후성유전학의 등장 | 획득형질 유전의 증거

2장 디지털 암호로 된 DNA 속의 유전정보 • 040

DNA 속의 유전정보를 읽어내는 과정 | DNA에 유전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 DNA 유전정보로부터 단백질을 만드는 원리

3장 DNA의 포장 시스템 • 057

 

2 부 같은 DNA, 다른 운명

4장 일란성 쌍둥이는 완전히 똑같을까? • 069

5장 우리 몸을 만드는 세포의 탄생 비밀 • 077

6장 유전자와 형질의 일반적인 관계 • 088

나비의 날개 색깔로 살펴본 유전자와 형질의 관계도 | 유전자의 존재감을 부각하는 형질들

7장 DNA는 우리의 운명이라는 등식을 깨는 미스터리들 • 102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이 만드는 신기한 표현형 | 후성유전적 작동 시스템과 연관된 표현형 | 후성유전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미스터리 표현형

 

3 부 후성유전으로 풀어낸 생명 현상

8장 DNA 포장 시스템의 특별한 사용설명서 • 123

이질염색질 연구의 시작과 최대 전환점 | 압축포장의 결과물인 이질염색질의 종류와 역할 | 이질염색질을 만드는 압축포장 기술의 원리

9장 종 보존을 위한 분자저울 • 154

성 결정 시스템과 분자저울의 상관관계 | 생물종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분자저울 시스템 | 포유류에서 압축포장 된 성염색체의 발견과 의미 | 포유류 분자저울 시스템의 원리

 

4 부 새롭게 밝혀진 질환의 원인, 후성유전 오류

10장  단성생식을 막아라 • 177

생쥐 모델에서의 각인 현상 | 각인과 연관된 사람의 유전질환

11장  세포기억 시스템의 기적 • 197

초파리 모델의 개체 발달 과정 | 개체 발생의 기적을 가져다준 세포기억 시스템

12장  우리 몸속의 암세포를 찾아서 • 211

암세포의 기본 특성과 발생 원인 | 후성유전적 오류에 의한 돌연변이 | 후성유전학에서 찾은 암 치료의 새로운 길 | 암 환자 생존율 개선을 위한 새로운 전략

 

나가며: 생물학 연구의 블루오션, 후성유전학 • 234

 

에필로그 • 242

추위를 견뎌내야만 꽃을 피우는 식물의 비밀 | 세포기억 시스템의 오류와 암 발생 | 후성유전으로 풀어본 노화와 식생활 상식 | 생체시계를 관리하는 후성유전 | 장내미생물-숙주세포 상호작용도 후성유전적 변화가 동반된다 | 후성유전이란 극장의 레드 카펫을 빛내는 비암호화 RNA

 

감사의 글 • 266

참고문헌 • 268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장연규
장연규

연세대학교 시스템생물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분자세포생물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에서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 모델로 DNA 회복 기작 연구를 이어갔다. 1998년에 염색질 구조와 기능에 대한 궁금증을 풀고자 후성유전학 연구를 시작했으며, 주로 고도로 압축포장 된 이질염색질 구조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연구했다. 2002년부터는 국립암센터 연구소의 책임연구원으로 후성유전 조절과 암 발생의 관련성을 연구했다. 연세대학교로 옮긴 후 배아줄기세포의 분화 과정과 후성유전의 연관성을 연구했으며, 여기서 얻은 영감으로 항암제 내성과 암 재발의 주요 원인인 암 줄기세포의 특성과 기능에 후성유전 조절 시스템이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또한 암 줄기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약물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다.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에서 에피유전체학분과장을 지낸 바 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