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세대가 그려내는 겨울의 소설적 풍경
독자에게 늘 기대 이상의 가치를 전하는 특별 기획, 『소설 보다: 겨울 2024』가 출간되었다. 〈소설 보다〉는 문학과지성사가 분기마다 ‘이 계절의 소설’을 선정, 홈페이지에 그 결과를 공개하고 이를 계절마다 엮어 출간하는 단행본 프로젝트로 2018년에 시작되었다. 선정된 작품은 문지문학상 후보로 삼는다.
〈소설 보다〉 시리즈는 젊은 작가들의 소설은 물론 선정위원이 직접 참여한 작가와의 인터뷰를 수록하여 7년째 독자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앞으로도 계절마다 간행되는 ‘소설 보다’는 주목받는 젊은 작가와 독자를 가장 신속하고 긴밀하게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충실히 해낼 것이다.
『소설 보다: 겨울 2024』에는 2024년 겨울 ‘이 계절의 소설’ 선정작인 성혜령의 「운석」, 이주혜의 「여름 손님입니까」, 이희주의 「최애의 아이」 총 세 편과 작가 인터뷰가 실렸다. 해당 작품은 제14회 문지문학상 후보에 포함되었다. 선정위원(강동호, 소유정, 이소, 이희우, 조연정, 홍성희)의 자유로운 토론을 거쳐 선정한 작품들의 심사평은 문학과지성사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도서는 1년 동안 한정 판매될 예정이다.
겨울, 이 계절의 소설
치열했던 계절들이 지나고 몸을 움츠리게 되는 겨울. 한 해가 저무는 시점에서 지나간 것을 돌이켜보며 새롭게 시작되는 마음들을 다룬 세 편의 작품들과 함께 『소설 보다: 겨울 2024』가 찾아왔다. 이별, 그리움, 갈망이 낳은 오해, 갈등, 환상이 현실의 균열을 불러오고 돌이킬 수 없는 세계의 문턱으로 이끄는 이야기들을 소개한다.
성혜령, 「운석」
“ 어느 순간 감정이 아예 움직이지 않는다고 했다.
마음이란 게 통째로 사라진 것 같다고”
2021년 작품 활동을 시작한 후 2023년 젊은작가상, 올해 이상문학상 우수상을 거머쥔 성혜령은 2022년 겨울에 이어 두번째로 ‘이 계절의 소설’에 선정되었다. 전작 「버섯 농장」에서 선의와 악의가 주는 분열과 고립, 공모와 책임을 긴장감 있게 그려냈던 작가는 이번 선정작 「운석」에서도 미스터리한 상상력에서 출발해 극적인 감정의 파고 속 고요한 서스펜스의 세계를 펼쳐 보인다.
‘백주’는 남편 ‘인한’이 세상을 떠난 후 거처를 옮기고 무기력한 날을 보낸다. 그러던 어느 날 친구이자 남편의 동생인 ‘설경’이 쇼핑백에 담긴 돌을 들고 그녀를 찾아온다. 시어머니 집안의 가보와 같은 희귀한 운석인데, 설경은 인한이 죽은 후부터 그 돌에서 인한의 음성이 “꺼내줘” 하고 말하는 소리가 들린다고 전한다. 믿지 않던 백주 역시 똑같은 음성을 들은 후, 비석 판매점에 찾아가 돌을 깨고 인한을 꺼내주리라 결심한다. 자신과 결혼한 뒤로 시들어가다 세상을 떠나버린 인한, 이 모든 걸 지켜본 백주의 복잡한 감정과 얽힌 이 믿을 수 없는 이야기가 우리의 것이 되는 동안 “이야기들이 만들어지고 유통되고, 휘발되거나 유폐되는 장면들에서 공유되는 마음의 방법을 생각하게”(홍성희 문학평론가) 한다.
외계에서 떨어진 돌 안에 수천 년이 아닌 수억 년 동안 어떤 물질 혹은 생명이 돌 안에 남아 있었고, 아주 오랫동안 여기가 아닌 다른 곳을 꿈꿔왔다면…… 그것이 램프에 갇힌 지니 혹은 판도라 상자에 갇힌 불행일 수도 있지만, 꺼내지고 싶은 욕망은 똑같이 크고 강렬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우연히 떠올린 이 “꺼내줘”란 단말마의 명령, 부탁 혹은 주술에 강력한 힘이 깃들어 있는 것 같아 소설을 시작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인터뷰 성혜령×소유정」에서
이주혜, 「여름 손님입니까」
“확실한 것은 종소리가 들려오는 한
이곳에 사람이 나 혼자는 아니라는 사실이었다”
소설가이자 번역가로서 활동해온 이주혜를 2022년 봄 「그 고양이의 이름은 길다」, 2023년 가을 「이소 중입니다」에 이어 세번째로 〈소설 보다〉에서 만나게 되었다. 그간 여성으로 살아가면서 빚어지는 문제들을 섬세하게 포착해 빈틈없는 구성 안에 녹여온 작가는 「여름 손님입니까」에서 “기억에 관해 기억의 방식으로 이야기하는 소설”을 선보인다. 그 기억은 ‘손님’이라는 상징이 되어 낯설고도 익숙한 감각의 세계로 우리를 초대한다.
‘나’는 ‘영란 언니’의 결혼식에 참석하라는 엄마의 부탁으로 “호랑이보다 무서운 여름 손님”이 되어 일본의 어느 한적한 호텔에 도착한다. 유년 시절에 ‘나’는 아빠의 성씨를, 언니는 엄마의 성씨를 따르며 한집에서 지냈는데 “언니가 스무 살이 되자마자 일본으로 가겠다고 선언했”고, 그로부터 30년도 더 지난 지금 “자신의 딸 결혼식에 엄마를 초대”한 것이다. 호텔 안과 결혼식장으로 향하는 길목에서 벌어진 일들은 실재와 허구, 과거와 현재를 교차하는 기억들과 겹치며, 그곳에서 자신을 “손님입니다”라고 소개하는 ‘노부인’과 ‘여학생’을 만난다. 이제 누가 손님이고 주인인지 구분할 수 없게 된 이 여정은 절정으로 향하면서 “기억에 대한 정확하고 아름다운 은유를 완성한다”(이소 문학평론가).
‘아포리아’라는 개념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타자를 환대하는 행위에는 정해진 길이 없고, 길이 없다는 것은 길을 잃고 헤맬 가능성까지 내포하고 있다는 생각이요. 손님은 환대의 대상이지만 “호랑이보다 무서운 여름 손님”으로 대변되는 궁극의 타자를 환대하는 일에는 ‘길 없음’ 혹은 ‘길 잃음’의 각오가 단단히 필요하겠지요.
「인터뷰 이주혜×조연정」에서
이희주, 「최애의 아이」
“우미는 어떤 충동 없이, 삼십대 여자의 냉정한 판단력으로
유리의 아이를 가지기로 마음먹었던 것이다”
이희주는 연작소설 『사랑의 세계』, 장편소설『환상통』 『성소년』 『나의 천사』 등을 출간하며 꾸밈없는 사랑의 아름다움과 추함을 독자적인 작품 세계로 구현해왔다. 이번 수록작 「최애의 아이」에서도 “‘아름다움’에 대한 갈망 혹은 집념이 다른 모든 관심사를 압도해버”리는 화자 ‘우미’가 등장한다. 이 작품은 아이돌 가수 ‘유리’에게 반한 뒤 사회적 시스템이 낳은 욕망의 메커니즘 속에서 맹목적 사랑을 실천하는 여성에 관한 이야기이다. 지극히 현실적이면서도 환상 요소가 가미된 소재나 설정, 무한대로 뻗어나가는 상상력, 가벼운 듯 예리한 문장들이 “요즘 소설”(이희우 문학평론가)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고무지우개 위에 유리의 이니셜을 새기고, 회사 회의 시간에 유리의 이름을 반복해서 적고, 유리에 대해서라면 모르는 게 없을 정도로 우미는 유리에게 빠져 있다. 결국 우미는 유리의 정자를 공여받아 인공수정 시술에 성공한다. 하지만 아이돌 산업처럼 임신과 출산도 상품화되어 있는 세계에서조차 이런 행위를 하는 사람은 “소름이 끼”치는 “인간들”로 치부된다. 좋은 대학에 들어가 장학금을 받고 대기업에 입사하는 등 “겉으론 진짜 멀쩡한”, 친구 ‘은정’을 제외한 모두에게 이런 사실을 완벽하게 숨기며 원하는 미래를 얻을 것 같은 우미이지만, 출산과 동시에 이야기는 점점 파국으로 치닫으며 “논쟁적이면서도 파괴적인 사랑의 테러 행위”(강동호 문학평론가)의 근원을 생각하게 한다.
우미는 젊은 여성들이 동경할 만한 인물처럼 보이지만 그런 여성도 부딪힐 때가 옵니다. 유리 천장뿐만 아닌 유리 벽, 유리 바닥이 우미라는 인물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원하는 걸 얻기 위해선 처절하게 부딪혀야 합니다. 그것이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욕망이든 아니든, 여자가 무엇을 얻기 위해서는 싸우듯 대립해야 합니다.
「인터뷰 이희주×이희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