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계의 모든 말은 사투리다
어느 한 지역에서만 쓰는, 표준어가 아닌 말을 사투리라고 합니다. 수도를 중앙으로, 지역을 지방으로 구분해 온 경향 탓에 사투리는 오랫동안 애꿎은 이미지 속에 갇혀 있었지요. 사투리는 촌스러워, 사투리 쓰는 사람은 교양이 좀 없어, 사투리는 공식적인 언어가 아니야, 공공연한 자리에서는 표준어를 써야 해.
하지만 서울을 포함한 모든 지역에는 토박이말이 있습니다. 토박이말은 지역 정서를 고스란히 담고 있고, 지역과 지역민 정체성의 기반을 형성합니다.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스며든 말이며, 제각각 다른 팔도 사투리는 우리 언어의 다양성을 보여 주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오랫동안 글말이 아닌 입말로만 전해진 탓에 시간이 지나며 일부는 소멸되었고, 지역 경계를 쉽게 넘나들지 못해 지역 밖에서는 움츠러드는 말이 되었습니다. 글말이 되기는 점점 더 어려워졌고,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을 기회 역시 없었지요. 아무리 가치 있는 입말이라도 글말로 남기지 않으면 사라져 버리고 보존되지 못합니다. 이에 책과 영화·드라마·신문 등에서 각 지역별 사투리 문장 100개를 그러모으고, 각 지역에 연고 있는 작가들이 지역과 사투리에 관한 이야기를 붙였습니다. 유유는 다양한 정서를 품은 유서 깊은 말, 오래 기억하고 함께 쓰고 싶은 사투리 표현을 모아 우리 언어문화의 다양성을 살피는 기획으로 ‘사투리의 말들’을 선보입니다.
구수하고 게미진 전라도 말맛의 세계로
전라도 사투리하면 대부분 이 문장을 먼저 떠올릴 겁니다. “아따, 참말로 거시기하네!” ‘거시기’가 전라도 사투리 특유의 차진 맛을 자랑하는 표현이고, 상황과 분위기를 기민하게 읽어 내야 이해할 수 있는 전라도 사투리의 특징을 대표하는 표현이긴 하지만 ‘거시기’가 곧 전라도 사투리의 전부라고 말해서는 곤란합니다. 전라도 사투리에는 그 외에도 삶의 애환과 일상의 유머가 담긴 다채로운 표현이 아주 많으니까요. 『전라의 말들』은 전라도 사투리가 펼쳐 보이는 구수하고 게미진 말맛의 세계로 독자를 안내합니다.
전라남도 화순에서 유년기를 보내고 대학에 진학하며 서울살이를 시작한 저자는 서울에 올라온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자신이 ‘이중언어화자’(bilingual)임을 실감했다고 합니다. 전라도 사투리와 서울말 사이에는 표현과 억양의 차이뿐 아니라 사고방식과 문화의 차이가 존재했기 때문이지요. 일례로 저자는 사투리를 톺아보다가 재미난 점을 발견합니다. 전라도 사투리에는 쪼잔하거나 얍삽한 걸 무척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단어가 꽤 많다는 것이지요. 꼽꼽시럽네, 꼬꼽쟁이네, 짜잔한그, 얌시럽네, 찌깝하네……. ‘좀스럽다’거나 ‘옹졸하다’로 다 담을 수 없는 어감과 뉘앙스가 분명 존재했습니다. 그러니 타 지역 사람들은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단어 곳간’을 가지고 있는 셈이지요.
사라져가는 사투리를 붙잡는 시도에 관하여
서울에서 지낸 기간이 화순에서 지낸 기간과 비등해지기까지, 저자는 서울과 화순을 오가며 언어의 차이를 온몸으로 실감합니다. 어떤 점엔 씁쓸해하며 어떤 점엔 낄낄거리며 어떤 점엔 무릎을 탁 치며 ‘이중언어화자’인 자신만이 포착할 수 있는 재미난 이야깃거리를 그러모았습니다.
이 책은 무엇보다도 전라도 사투리를 지키고 알리려는 크고 작은 움직임에 주목합니다. 토박이들이 모여 맛깔난 사투리를 선보이는 ‘아름다운 전라도말 자랑대회’, 오랜 시간 사투리를 수집해 전시하는 ‘와보랑께박물관’, 전라도 사투리와 문화 그리고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잡지 ‘전라도닷컴’, 광주청소년글쓰기 모임 ‘야, 있냐’까지. 이곳저곳에서 움트는 전라도 사투리에 대한 애정과 애틋함 그리고 자부심을 포착해 소개합니다. ‘거시기’와 욕만을 남발하는 미디어 속 전라도 사투리 화자의 모습으로 전라도 사투리를 인식하지 않게끔, 그저 촌스러운 것으로 치부되어 사람들 사이 잊히지 않게끔 고군분투하는 노력을 톺아보며 유쾌하고 정겨운 사투리를 쉽고 재미나게 경험해 보기를 제안하지요. 웃음도 슬픔도 더 진하게 만드는, 생동감과 유머가 넘치는 전라도 사투리를 『전라의 말들』과 함께 즐겨 보시기를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