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서호몽심(西湖夢尋)


  • ISBN-13
    979-11-6742-873-8 (9482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역락 / 도서출판 역락
  • 정가
    4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11-2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장대(張岱, 1597-1689?)
  • 번역
    김숙향(金淑香)
  • 메인주제어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시 #장대 #중국문학
  • 도서유형
    종이책, 양장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5 mm, 464 Page

책소개

서호(西湖)는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杭州)의 서쪽에 위치한 호수이다.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호수 안에 작은 섬들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한다. 예부터 지금까지 서호는 많은 중국인의 사랑을 받아온 명소로, 그 아름다움을 한눈에 담기 위해 고대 중국인들은 높고 멋진 누각과 정자를 지었고, 더 가까이에서 경치를 즐기고자 다양한 모양의 배를 만들어 타기도 하였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간의 풍류가 조화를 이루는 서호는 오랜 세월 동안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아왔으며, 지금까지도 여전히 사람들에게 무한한 영감을 주는 특별한 장소로 자리 잡고 있다.

≪서호몽심≫은 총 5권(卷), 7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항주 일대의 주요한 산수, 사찰, 사원, 탑, 동굴, 누각 등을 전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장대는 서호를 중심으로 북로(北路), 서로(西路), 중로(中路), 남로(南路), 외경(外景)으로 공간을 나누고, 총기(總記)를 더하여 차례대로 서술하였다. 주목할 만한 점은 장대가 직접 적은 72편의 작품 외에도 고대 중국 문인들과 장대와 동시대 인물들의 시문(詩文) 193편을 선별하여 작품마다 부록했다는 점이다. 항주에서 관리를 지냈던 백거이(白居易)나 소식(蘇軾)처럼 유명한 문학가들의 작품을 비롯하여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들의 문장도 다수 수록되어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들 중에는 출생 연월조차 찾을 수 없는 이들도 있지만, 서호의 풍경을 시(詩)로, 사(詞)로, 또 대련(對聯) 등 다양한 형태로 그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이렇게 편찬된 ≪서호몽심≫은 한 권의 ‘서호시문집(西湖詩文集)’이라 해도 손색이 없다.

목차

권(卷)1 서호 북로(西湖北路)

1. 옥련정(玉蓮亭)

[부록작품 1] 백거이(白居易), 〈옥련정(玉蓮亭)〉

2. 소경사(昭慶寺)

[부록작품 1] 원굉도(袁宏道), 〈소경사에 관한 짧은 글(昭慶寺小記)〉  

[부록작품 2] 장대(張岱), 〈서호향시에 대한 글(西湖香市記)〉  

3. 와와탕(哇哇宕)

[부록작품 1] 도륭(屠隆), 〈와와탕(哇哇宕)〉  

4. 대불두(大佛頭)

[부록작품 1] 장대(張岱), 〈대석불원(大石佛院)〉  

[부록작품 2] 견룡우(甄龍友), 〈서호대불두찬(西湖大佛頭贊)〉

5. 보숙탑(保俶塔)

[부록작품 1] 황구문(黃久文), 〈겨울 보숙탑에 오르다(冬日登保俶塔)〉

[부록작품 2] 하공근(夏公謹), 〈보숙탑(保俶塔)〉

[부록작품 3] 전사복(錢思復), 〈보숙탑(保俶塔)〉

6. 마노사(瑪瑙寺)

[부록작품 1] 장대(張岱), 〈마노사에 길게 울리는 종소리(瑪瑙寺長鳴鐘)〉  

7. 지과사(智果寺)

8. 육현사(六賢祠)

[부록작품 1] 장명필(張明弼), 〈육현사(六賢祠)〉  

9. 서령교(西泠橋)

[부록작품 1] 원굉도(袁宏道), 〈서령교(西泠橋)〉  

[부록작품 2] 원굉도(袁宏道), 〈도화우(桃花雨)〉  

[부록작품 3] 이유방(李流芳), 〈서령교 그림에 쓴 글(西泠橋題畫)〉  

10. 악왕분(嶽王墳)

[부록작품 1] 장경원(張京元), 〈악분에 관한 짧은 글(嶽墳小記)〉

[부록작품 2] 주시(周詩), 〈악왕분(嶽王墳)〉  

[부록작품 3] 고계(高啟), 〈악왕분(嶽王墳)〉  

[부록작품 4] 당순지(唐順之), 〈악왕분(嶽王墳)〉  

[부록작품 5] 채여남(蔡汝南), 〈악왕묘(嶽王墓)〉  

[부록작품 6] 왕세정(王世貞), 〈악분(嶽墳)〉  

[부록작품 7] 서위(徐渭), 〈악분(嶽墳)〉  

[부록작품 8] 장대(張岱), 〈악왕분(嶽王墳)〉  

[부록작품 9] 동기창(董其昌), 〈악분 기둥의 대련(嶽墳柱對)〉  

[부록작품 10] 장대(張岱), 〈악분 기둥에 새기다(嶽墳柱銘)〉  

11. 자운동(紫雲洞)

[부록작품 1] 왕사임(王思任)의 시(詩)

 

 

권(卷)2 서호 서로(西湖西路)

1. 옥천사(玉泉寺)

[부록작품 1] 김보(金堡), 〈옥천사(玉泉寺)〉  

2. 집경사(集慶寺)

[부록작품 1] 장경원(張京元), 〈구리송에 관한 짧은 글(九里松小記)〉  

[부록작품 2] 진현휘(陳玄暉), 〈집경사(集慶寺)〉  

3. 비래봉(飛來峰)

[부록작품 1] 원굉도(袁宏道), 〈비래봉에 관한 짧은 글(飛來峰小記)〉  

[부록작품 2] 원굉도(袁宏道), 〈비래봉에 대해 쓴 글(戲題飛來峰)〉  

[부록작품 3] 장대(張岱), 〈비래봉(飛來峰)〉  

4. 냉천정(冷泉亭)

[부록작품 1] 원굉도(袁宏道), 〈냉천정에 관한 짧은 글(冷泉亭小記)〉  

5. 영은사(靈隱寺)

[부록작품 1] 장대(張岱), 〈구덕 스님의 장수를 기원하고 대전의 완공을 축하하다(壽具和尚並賀大殿落成)〉

[부록작품 2] 장호(張祜), 〈영은사(靈隱寺)〉  

[부록작품 3] 가도(賈島), 〈영은사(靈隱寺)〉  

[부록작품 4] 주시(周詩), 〈영은사(靈隱寺)〉  

6. 북고봉(北高峰)

[부록작품 1] 소식(蘇軾), 〈영은고봉탑을 여행하다(遊靈隱高峰塔)〉  

7. 도광암(韜光庵)

[부록작품 1] 원굉도(袁宏道), 〈도광암에 관한 짧은 글(韜光庵小記)〉  

[부록작품 2] 장경원(張京元), 〈도광암에 관한 짧은 글(韜光庵小記)〉  

[부록작품 3] 소사위(蕭士瑋), 〈도광암에 관한 짧은 글(韜光庵小記)〉  

[부록작품 4] 수조화(受肇和), 〈도광암에서 북고봉에 오르다(自韜光登北高峰)〉

[부록작품 5] 백거이(白居易), 〈도광선사를 초대하다(招韜光禪師)〉  

[부록작품 6] 도광선사(韜光禪師), 〈백태수에게 답하다(答白太守)〉  

[부록작품 7] 양반(楊蟠), 〈도광암(韜光庵)〉  

[부록작품 8] 왕사임(王思任), 〈도광암(韜光庵)〉  

[부록작품 9] 왕사임(王思任), 〈도광계곡길(韜光澗道)〉  

8. 구루산방(岣嶁山房)

[부록작품 1] 장대(張岱), 〈구루산방에 관한 짧은 글(岣嶁山房小記)〉  

[부록작품 2] 서위(徐渭), 〈이구루산인을 방문하다(訪李岣嶁山人)〉  

[부록작품 3] 왕사임(王思任), 〈구루승려의 방(岣嶁僧舍)〉  

9. 청련산방(青蓮山房)

[부록작품 1] 진계유(陳繼儒), 〈청련산방(青蓮山房)〉  

10. 호원동(呼猿洞)

[부록작품 1] 진홍수(陳洪綬), 〈호원동(呼猿洞)〉  

[부록작품 2] 장대(張岱), 〈호원동(呼猿洞)〉  

11. 삼생석(三生石)

[부록작품 1] 왕원장(王元章), 〈중축으로 돌아가는 스님을 전송하다(送僧歸中竺)〉

[부록작품 2] 소식(蘇軾), 〈하천축 혜정 스님에게 보내다(贈下天竺惠淨師)〉  

12. 상천축(上天竺)

[부록작품 1] 장경원(張京元), 〈상천축에 관한 짧은 글(上天竺小記)〉  

[부록작품 2] 소사위(蕭士瑋), 〈상천축에 관한 짧은 글(上天竺小記)〉  

[부록작품 3] 소식(蘇軾), 〈천축시 서문에 대한 글(記天竺詩引)〉  

[부록작품 4] 소식(蘇軾), 〈상천축 변재선사에게 보내다(贈上天竺辨才禪師)〉  

[부록작품 5] 장대(張岱), 〈천축사 기둥의 대련(天竺柱對)〉  

 

 

권(卷)3 서호 중로(西湖中路)

1. 진루(秦樓)

[부록작품 1] 소식(蘇軾), 〈수명루(水明樓)〉  

2. 편석거(片石居)

[부록작품 1] 서위(徐渭), 〈8월 16일 편석거에서 밤에 배를 타다(八月十六片石居夜泛)〉

3. 십금당(十錦塘)

[부록작품 1] 원굉도(袁宏道), 〈단교 망호정에 관한 짧은 글(斷橋望湖亭小記)〉

[부록작품 2] 장경원(張京元), 〈단교에 관한 짧은 글(斷橋小記)〉  

[부록작품 3] 이유방(李流芳), 〈단교춘망도에 쓴 사(詞)(斷橋春望圖題詞)〉  

[부록작품 4] 담원춘(譚元春), 〈호상초서(湖霜草序)〉  

[부록작품 5] 왕숙고(王叔杲), 〈십금당(十錦塘)〉  

[부록작품 6] 백거이(白居易), 〈망호루(望湖樓)〉  

[부록작품 7] 서위(徐渭), 〈망호정(望湖亭)〉  

[부록작품 8] 장대(張岱), 〈서호칠월반(西湖七月半記)〉  

4. 고산(孤山)

[부록작품 1] 원굉도(袁宏道), 〈고산소기(孤山小記)〉

[부록작품 2] 장경원(張京元), 〈고산소기(孤山小記)〉  

[부록작품 3] 장경원(張京元), 〈소조화벽(蕭照畫壁)〉  

[부록작품 4] 심수정(沈守正), 〈고산종매소(孤山種梅疏)〉  

[부록작품 5] 이유방(李流芳), 〈고산야월도에 쓰다(題孤山夜月圖)〉  

[부록작품 6] 소식(蘇軾), 〈임포 시 뒤에 쓰다(書林逋詩後)〉  

[부록작품 7] 장호(張祜), 〈고산(孤山)〉  

[부록작품 8] 서위(徐渭), 〈고산에서 달을 감상하다(孤山玩月)〉  

[부록작품 9] 탁경(卓敬), 〈고산에 매화를 심다(孤山種梅)〉  

[부록작품 10] 왕치등(王稚登), 〈임순경에게 고산에서 살 곳을 점쳐서 주다(贈林純卿蔔居孤山)〉

[부록작품 11] 진학(陳鶴), 〈고산 임은군 사당에 쓰다(題孤山林隱君祠)〉  

[부록작품 12] 왕사임(王思任), 〈고산(孤山)〉  

[부록작품 13] 장대(張岱), 〈고산종매서에 덧붙이다(補孤山種梅敘)〉  

[부록작품 14] 장대(張岱), 〈임화정묘비에 새기다(林和靖墓柱銘)〉  

5. 관왕묘(關王廟)

[부록작품 1] 동기창(董其昌), 〈고산관왕묘 기둥에 새기다(孤山關王廟柱銘)〉  

[부록작품 2] 송조약(宋兆禴), 〈관제묘주련(關帝廟柱聯)〉  

[부록작품 3] 장대(張岱), 〈관제묘주대(關帝廟柱對)〉  

6. 소소소묘(蘇小小墓)

[부록작품 1] 서릉 소소소의 시(西陵蘇小小詩)

[부록작품 2] 서릉 소소소의 사(又詞)

[부록작품 3] 이하(李賀), 〈소소소(蘇小小)〉  

[부록작품 4] 심원리(沈原理), 〈소소소의 노래(蘇小小歌)〉  

[부록작품 5] 원유산(元遺山), 〈소소 초상에 쓰다(題蘇小像)〉  

[부록작품 6] 서위(徐渭), 〈소소소묘(蘇小小墓)〉  

7. 육선공사(陸宣公祠)

[부록작품 1] 기표가(祁彪佳), 〈육선공사(陸宣公祠)〉  

8. 육일천(六一泉)

[부록작품 1] 소식(蘇軾), 〈육일천 명문(銘文)(六一泉銘)〉  

[부록작품 2] 백거이(白居易), 〈죽각(竹閣)〉  

9. 갈령(葛嶺)

[부록작품 1] 기치가(祁豸佳), 〈갈령(葛嶺)〉  

10. 소공제(蘇公堤)

[부록작품 1] 장경원(張京元), 〈소제에 관한 짧은 글(蘇堤小記)〉  

[부록작품 2] 이유방(李流芳), 〈양봉파무도에 쓰다(題兩峰罷霧圖)〉  

[부록작품 3] 소식(蘇軾), 〈축제(築堤)〉  

[부록작품 4] 소식(蘇軾), 〈또 다른 시(詩)(又詩)〉  

[부록작품 5] 왕세정(王世貞), 〈호수를 떠다니며 육교(六橋)를 건너다(泛湖度六橋堤)〉

[부록작품 6] 이감룡(李鑒龍), 〈서호(西湖)〉  

11. 호심정(湖心亭)

[부록작품 1] 장경원(張京元), 〈호심정에 관한 짧은 글(湖心亭小記)〉  

[부록작품 2] 장대(張岱), 〈호심정에 관한 짧은 글(湖心亭小記)〉  

[부록작품 3] 호래조(胡來朝), 〈호심정 기둥에 새기다(湖心亭柱銘)〉  

[부록작품 4] 정엽(鄭燁), 〈호심정 기둥에 새기다(湖心亭柱銘)〉  

[부록작품 5] 장대(張岱), 〈청희각 대련(清喜閣柱對)〉  

12. 방생지(放生池)

[부록작품 1] 도망령(陶望齡), 〈방생지(放生池)〉  

13. 취백루(醉白樓)

[부록작품 1] 예원로(倪元璐), 〈취백루(醉白樓)〉  

14. 소청불사(小青佛舍)

[부록작품 1] 소청(小青), 〈자운각을 참배하다(拜慈雲閣)〉  

[부록작품 2] 소청(小青), 〈소소소묘를 참배하다(拜蘇小小墓)〉  

 

 

권(卷)4 서호 남로(西湖南路)

1. 유주정(柳洲亭)

[부록작품 1] 장걸(張傑), 〈유주정(柳洲亭)〉  

[부록작품 2] 왕사임(王思任), 〈문수정(問水亭)〉  

[부록작품 3] 조여우(趙汝愚), 〈풍악루의 푸른 버드나무 가지(豐樂樓柳梢青)〉

2. 영지사(靈芝寺)

[부록작품 1] 장대(張岱), 〈영지사(靈芝寺)〉  

3. 전왕사(錢王祠)

[부록작품 1] 소식(蘇軾), 〈표충관 비에 관한 글(表忠觀碑記)〉  

[부록작품 2] 장대(張岱), 〈전왕사(錢王祠)〉  

[부록작품 3] 장대(張岱), 〈전왕 사당 기둥에 새기다(錢王祠柱銘)〉  

4. 정자사(淨慈寺)

[부록작품 1] 원굉도(袁宏道), 〈연화동에 관한 짧은 글(蓮花洞小記)〉  

[부록작품 2] 왕사임(王思任), 〈정자사(淨慈寺)〉 

5. 소봉래(小蓬萊)

[부록작품 1] 장대(張岱), 〈소봉래분운석(小蓬萊奔雲石)〉  

6. 뇌봉탑(雷峰塔)

[부록작품 1] 임포(林逋), 〈뇌봉(雷峰)〉  

[부록작품 2] 장대(張岱), 〈뇌봉탑(雷峰塔)〉  

7. 포아장(包衙莊)

[부록작품 1] 진함휘(陳函輝), 〈남병포장(南屏包莊)〉  

8. 남고봉(南高峰)

[부록작품 1] 김보(金堡), 〈남고봉(南高峰)〉  

9. 연하석옥(煙霞石屋)

[부록작품 1] 소식(蘇軾), 〈수락동에 관한 짧은 글(水樂洞小記)〉  

[부록작품 2] 원굉도(袁宏道), 〈연하동에 관한 짧은 글(煙霞洞小記)〉  

[부록작품 3] 장경원(張京元), 〈석옥에 관한 짧은 글(石屋小記)〉  

[부록작품 4] 장경원(張京元), 〈연하사에 관한 짧은 글(煙霞寺小記)〉  

[부록작품 5] 이유방(李流芳), 〈연하춘동화에 쓰다(題煙霞春洞畫)〉  

10. 고려사(高麗寺)

11. 법상사(法相寺)

[부록작품 1] 원굉도(袁宏道), 〈법상사에서 장이화상의 육신을 참배하고 장난삼아 쓰다(法相寺拜長耳和尚肉身戲題)〉

[부록작품 2] 서위(徐渭), 〈법상사에서 활석을 보다(法相寺看活石)〉  

[부록작품 3] 장경원(張京元), 〈법상사에 관한 짧은 글(法相寺小記)〉  

[부록작품 4] 이유방(李流芳), 〈법상산정화에 쓰다(題法相山亭畫)〉  

12. 우분(於墳)

[부록작품 1] 왕사임(王思任), 〈충숙사에서 조문하다(弔於忠肅祠)〉  

[부록작품 2] 장부(張溥), 〈우충숙을 조문하다(弔於忠肅)〉  

[부록작품 3] 장대(張岱), 〈우소보 사당(於少保祠)〉  

[부록작품 4] 양학(楊鶴), 〈우분화표 기둥에 새기다(於墳華表柱銘)〉  

[부록작품 5] 양학(楊鶴), 〈정사 기둥에 새기다(正祠柱銘)〉  

[부록작품 6] 동기창(董其昌), 〈우소보사 기둥에 새기다(於少保祠柱銘)〉  

[부록작품 7] 장대(張岱), 〈우소보 기둥에 새기다(於少保柱銘)〉  

[부록작품 8] 장대(張岱), 〈정향교에 관한 짧은 글(定香橋小記)〉  

13. 풍황령(風篁嶺)

[부록작품 1] 이유방(李流芳), 〈풍황령(風篁嶺)〉  

14. 용정(龍井)

15. 일편운(一片雲)

[부록작품 1] 진관(秦觀), 〈용정제명에 관한 글(龍井題名記)〉  

[부록작품 2] 장경원(張京元), 〈용정에 관한 짧은 글(龍井小記)〉  

[부록작품 3] 왕치등(王稚登), 〈용정시(龍井詩)〉  

[부록작품 4] 원굉도(袁宏道), 〈용정(龍井)〉  

[부록작품 5] 장대(張岱), 〈용정 기둥에 새기다(龍井柱銘)〉  

16. 구계십팔간(九溪十八澗)

[부록작품 1] 이유방(李流芳), 〈십팔간(十八澗)〉  

 

 

권(卷)5 서호 외경(西湖外景)

1. 서계(西溪)

[부록작품 1] 왕치등(王稚登), 〈서계에서 팽흠지에게 보내는 글(西溪寄彭欽之書)〉 

[부록작품 2] 이유방(李流芳), 〈서계화에 쓰다(題西溪畫)〉  

[부록작품 3] 양반(楊蟠), 〈서계(西溪)〉  

[부록작품 4] 왕사임(王思任), 〈서계(西溪)〉  

[부록작품 5] 장대(張岱), 〈추설암시(秋雪庵詩)〉  

2. 호포천(虎跑泉)

[부록작품 1] 소식(蘇軾), 〈호포천(虎跑泉)〉  

[부록작품 2] 원굉도(袁宏道), 〈호포천(虎跑泉)〉  

3. 봉황산(鳳凰山)

[부록작품 1] 소식(蘇軾), 〈만송령 혜명원 벽에 쓰다(題萬松嶺惠明院壁)〉  

[부록작품 2] 서위(徐渭), 〈팔선대(八仙臺)〉  

[부록작품 3] 원굉도(袁宏道), 〈천진서원(天真書院)〉  

4. 송대내(宋大內)

[부록작품 1] 사고우(謝皋羽), 〈송내를 애도하다(弔宋內)〉  

[부록작품 2] 황진경(黃晉卿), 〈송내를 애도하다(弔宋內)〉  

[부록작품 3] 조맹부(趙孟頫), 〈송내(宋內)〉  

[부록작품 4] 유기(劉基), 〈송대내(宋大內)〉  

5. 범천사(梵天寺)

[부록작품 1] 소식(蘇軾), 〈범천사제명(梵天寺題名)〉  

6. 승과사(勝果寺)

[부록작품 1] 원정(圓淨), 〈승과사(勝果寺)〉  

[부록작품 2] 처묵(處默), 〈승과사(勝果寺)〉  

7. 오운산(五雲山)

[부록작품 1] 원굉도(袁宏道), 〈어교장에 관한 짧은 글(御教場小記)〉  

8. 운서(雲棲)

[부록작품 1] 원굉도(袁宏道), 〈운서에 관한 짧은 글(雲棲小記)〉  

[부록작품 2] 이유방(李流芳), 〈운서춘설도에 쓴 글(雲棲春雪圖跋)〉  

[부록작품 3] 이유방(李流芳), 〈설산도에 쓰다(題雪山圖)〉  

[부록작품 4] 장대(張岱), 〈연지대사에게 보낸 대련(贈蓮池大師柱對)〉  

 9. 육화탑(六和塔)

[부록작품 1] 이유방(李流芳), 〈육화탑효기도에 쓰다(題六和塔曉騎圖)〉  

[부록작품 2] 오거(吳琚), 〈육화탑 응제(六和塔應制)〉  

[부록작품 3] 양유정(楊維楨), 〈조수 관람(觀潮)〉  

[부록작품 4] 서위(徐渭), 〈영강루에서 조수를 감상하다(映江樓看潮)〉  

10. 진해루(鎮海樓)

[부록작품 1] 서위(徐渭), 〈진해루에 관한 글(鎮海樓記)〉  

[부록작품 2] 장대(張岱), 〈진해루(鎮海樓)〉  

11. 오공사(伍公祠)

[부록작품 1] 고계(高啟), 〈오공사(伍公祠)〉  

[부록작품 2] 서위(徐渭), 〈오공묘(伍公廟)〉  

[부록작품 3] 장대(張岱), 〈오상국사(伍相國祠)〉  

12. 성황묘(城隍廟)

[부록작품 1] 장대(張岱), 〈오산의 성황묘(吳山城隍廟)〉  

[부록작품 2] 장대(張岱), 〈성황묘 기둥에 새기다(城隍廟柱銘)〉  

13. 화덕묘(火德廟)

[부록작품 1] 장대(張岱), 〈화덕사(火德祠)〉  

14. 부용석(芙蓉石)

[부록작품 1] 장대(張岱), 〈부용석(芙蓉石)〉  

15. 운거암(雲居庵)

[부록작품 1] 이유방(李流芳), 〈운거산 붉은 낙엽에 관한 글(雲居山紅葉記)〉  

[부록작품 2] 고계(高啟), 〈환주 서하대에서 하룻밤 묵다(宿幻住棲霞臺)〉  

[부록작품 3] 하원길(夏原吉), 〈운거암(雲居庵)〉  

[부록작품 4] 서위(徐渭), 〈운거암 소나무 아래에서 성의 남쪽을 바라보며(雲居庵松下眺城南)〉  

16. 시공묘(施公廟)

[부록작품 1] 장대(張岱), 〈시공묘(施公廟)〉  

17. 삼모관(三茅觀)

[부록작품 1] 서위(徐渭), 〈삼모관에서 조수를 감상하다(三茅觀觀潮)〉 

[부록작품 2] 서위(徐渭), 〈삼모관에서 눈을 감상하다(三茅觀眺雪)〉  

18. 자양암(紫陽庵)

[부록작품 1] 이유방(李流芳), 〈자양암화에 쓰다(題紫陽庵畫)〉  

[부록작품 2] 원굉도(袁宏道), 〈자양궁에 관한 짧은 글(紫陽宮小記)〉  

[부록작품 3] 왕치등(王稚登), 〈자양암 정진인 사당(紫陽庵丁真人祠)〉  

[부록작품 4] 동기창(董其昌), 〈자양암에 쓰다(題紫陽庵)〉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장대(張岱, 1597-1689?)
명말 청초 시기의 문학가. 자는 종자(宗子) 또는 석공(石公)이며, 호는 도암(陶庵), 접암(蝶庵), 고검노인(古劍老人)으로, 만년에는 육휴거사(六休居士)로 불렸다. 절강(浙江) 산음(山陰, 현재의 浙江省 紹興) 출신이다. 사대부 가문에서 태어나 명나라가 망하기 전까지 부유한 생활을 하였다. 관직에는 큰 뜻을 두지 않았으나, 희곡, 차, 그림, 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두고 즐겼다. 명나라가 망한 후 산에 은거하며 과거의 화려했던 시절을 회상하는 글을 쓰며 생을 마감하였다. 대표작으로 ≪도암몽억(陶庵夢憶)≫, ≪서호몽심(西湖夢尋)≫, ≪석궤서(石匱書)≫ 등이 있으며, 서호 주변의 경물을 담은 ≪서호몽심≫은 장대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번역 : 김숙향(金淑香)
고려대학교 중문과 석사를 졸업하고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상하이 푸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석사학위 논문으로 ≪장대(張岱) <도암몽억(陶庵夢憶)> 연구(硏究)≫를 썼고, ≪서호몽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으며, 장대의 대표 저작인 ≪도암몽억≫을 번역하였다. 명청 시기 문학과 문화에 관심을 두고 연구와 번역을 하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