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청소년이라는 우주

찬란하고 아름다운 날들의 기록


  • ISBN-13
    979-11-94144-04-5 (0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이상북스 / 이상북스
  • 정가
    18,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11-21
  • 출간상태
    출간 예정
  • 저자
    오선화
  • 번역
    -
  • 메인주제어
    에세이, 문학에세이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에세이, 문학에세이 #청소년 #치유 #청소년활동가 #청소년자살방지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36 * 207 mm, 320 Page

책소개

“아이들을 만날 때마다 놀라는 건, 막다른 길에서도 상대방을 생각한다는 것이다.… 

아이들은 막다른 길에서도 곁에 있는 사람을 보며 애써 웃는다. 

그것이 ‘청소년이란 우주’에서 내가 느낀 찬란함이다.”

 

문제가 아닌, 하나의 우주로 청소년을 바라보다!

 

 

이 책은 15년 동안 ‘청소년과 밥 먹는 사람’으로 살아온 저자가 청소년과 함께한 희로애락의 기록이다. 무엇보다 죽고 싶어서, 죽으려고 했던 아이들을 살리려고 고군분투한 이야기다. 저자는 청소년들이 겪는 정서적 갈등과, 어른들로부터 비롯된 그들의 억울함과 상처를 바라보며 어른으로서 그들의 든든한 ‘편’이 되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그들의 어려움과 고민, 성장 과정을 지켜본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어린 시절의 순수함과 어른의 책임 사이에서 갈등하는 청소년에게 필요한 것은 이해와 공감임을 강조한다. 

이 책은 청소년과의 일상적 대화와 함께 어른으로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자문하는 작가의 진솔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작가는 청소년을 단순히 어른으로 가는 ‘미완성의 존재’가 아니라 그 자체로 빛나는 존재로 존중한다. 그들이 겪는 상처와 아픔을 깊이 이해하려는 마음으로, 다소 미숙하게 보이는 순간조차 소중히 다루며, 청소년과의 관계를 통해 어른들 역시 성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여러 에피소드 속에서 청소년들이 자신을 오해하고 판단하는 세상의 편견에서 벗어나 진정으로 자신을 사랑하게 되는 과정이 섬세하게 그려진다. 청소년의 고통을 덜어주려는 어른의 마음과 청소년의 순수한 감정이 어우러져, 이 책은 서로에게 상처와 치유가 동시에 되는 관계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청소년을 바라보는 고정된 시선을 지우고 그들만의 독립적인 감정과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드러낸 이 책은, 그들이 문제아가 아니라 하나의 독립된 우주임을 일깨우며, 우리 사회가 청소년을 다시 바라보게 하는 힘을 가졌다.

 

목차

작가의 말

 

1장 우리가 처음 함께 웃던 날

“얼마나 친해?”  

사랑은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다

내가 알지만 모르는 여름이 이야기

내 어리석음과 아이들의 지혜로움 사이에서

평범해지고 싶은 아이

우리가 처음 함께 웃던 날

이름을 불러주세요

 

2장 잘못하지 않은 아이들이 잘못했다고 사과한다 

꽃이 피어도 비가 오는 게 아니라, 비가 와도 꽃이 피는 것이다

“진짜 엄마도 아니잖아요!”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마지막 인사였다는 걸 알아채지 못해서 미안해” 

잘못하지 않은 아이들이 잘못했다고 사과를 한다 

내 손은 두 개뿐이라고 변명한다

 

3장 문득 무너질 땐 마라탕

한 사람에게는 꼭 한 사람이 있다

문득 무너질 땐 마라탕

이제 그만하고 싶어, 숨바꼭질

거짓말하는 아이

“그러니까 죽지 마!”

같이 밥을 먹고 음료를 마시고 슬픔을 듣는다

거품이 조금 넘쳐도 괜찮잖아요

 

4장 괜찮아요, 수정이들

어느새 또 사랑하게 된다

멋진 것은 삶으로 들어가기 힘들다 

오늘도 나는 그 우주를 향해 걸어간다

아픔도 지나가고 나면 꿈처럼 아득하다

괜찮아요, 수정이들

네가 웃었으면 좋겠어! 

내 마음에 생긴 스위치 

‘더 그리움’이 이기는 날들

 

5장 내일은 모르겠고, 그냥 오늘을 살자

저요? 저는 그냥 쌤입니다

내일은 모르겠고, 그냥 오늘을 살자

나는 오늘도 죽고 싶은 아이를 만나러 간다 

내 마음에 사랑의 부메랑이 차곡차곡

시작을 확인하는 것의 의미

나는 안다, 나는 그만두지 않을 것이다

청소년은 예쁘다!

본문인용

우리는 이런 만남을 백 번도 넘게 반복했다. 우리는 둘 다 대단했다. 나는 왜 이렇게 짧게 만나고 가냐고 묻지 않았다. 현오는 왜 게임 그만하라고 말하지 않냐고 묻지 않았다. 나는 그저 현오가 밥 먹고 게임 하기를 원했고, 현오도 게임 하다 밥 먹기를 원했을 뿐이다. 

그런데 어느 날 현오가 그 사랑 같지도 않은 사랑을 내게 돌려주었다. 나는 국밥을 먹고 현오는 돈가스를 먹던 날, 현오가 돈가스 한 조각을 내 공깃밥 위에 얹어주었다. -23쪽

 

사실 아이들을 만날 때는 내가 어른인 걸 자주 잊는다. 심각한 문제를 앞에 두고 같이 울다가도 웃고 먹고 떠든다. 그러다 보면 문제가 희미해지기도 하고 멀어지기도 한다. 그 시간에 어른이 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그저 ‘우리’가 되면 된다. 물론 그런다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사실 해결될 문제란 건 별로 없다. 결국 문제와 함께 살아가야 하는 것이 인간의 삶이니까. 계속 ‘문제와 함께’ 살아낼 힘을 주는 ‘우리’면 충분하다. -43쪽

 

수많은 청소년을 만나며 겪었던 일을 또 다시 겪는 경우가 생긴다. 하지만 겪었다고 적응이 되는 건 아니다. 매번 처음 겪는 일처럼 당황하고 놀라고 분주해진다. 사람에게 일어나는 일은 아무리 겪어도 적응이 안 되는 것일까? 그리고 그런 일 중 최고를 꼽으라면 ‘죽음’이 아닐까. -71쪽 

 

매일 한 명씩 죽는다. 우리의 시선 바깥까지 포함하면 두 명일지 세 명일지 열 명일지도 모를 죽음이 매일 전해져온다. 붙잡아주지 못했다는 자책보다 내가 아는 녀석이 아니라는 위안을 붙잡아야 또 하루가 가능하다. 

손잡아주라고 강의하면서, 남의 일은 없다고 말하면서, 나는 끊임없이 남의 일이고 싶어서 돌아서며 내 손은 두 개뿐이라고 변명한다. 살아낸다는 건 매일 이렇게 내 위선과 싸우는 일이다. 나는 이 싸움에서 이긴 적이 없다. 내일은 어떨까? 지지 않을 수 있을까? -120쪽

 

지금 생각해보면 제이는 내 관심이 적어질 때마다 문제를 하나씩 꺼냈다. 처음엔 제이를 도우려고 거의 매일 만날 수밖에 없었다. 신고하고 거처를 구하고 치료받게 하는 일은 하루도 미룰 수 없는 일이고, 내야 할 서류도 준비해야 할 일도 많았다. 그런데 상황이 조금 안정되고 나니 제이에게만 집중할 수 없었다. 어쩔 수 없이 만나는 시간은 짧아지고, 간격은 넓어졌다. 하지만 제이는 자신에게만 관심을 가져주기를 원했다. -156쪽

 

사랑은 참 어렵다. 힘들고 괴롭다. 연대는 더 어렵다. 타인의 고통이 건너와 내 마음을 사정없이 비트는 일이라 때론 살이 찢기는 것처럼 아프고, 때론 불이 떨어진 것처럼 뜨겁다. 하루에도 열두 번씩 그만두고 싶을 때도 있고, 진짜 ‘내가 미쳤지, 왜 이렇게 사나’ 싶어 주저앉을 때도 많다. 그야말로 속이 썩는다. 

그런데도 아직 이렇게 살고 있는 건 아이들이 주기별로 주는 이런 ‘마약’ 때문이다. -189쪽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오선화
청소년 활동가이자 작가.
‘청소년과 밥 먹는 사람’이라는 활동명이 말해주듯 청소년을 만나 같이 밥을 먹고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리고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기관과 연결해주기도 하고 치료를 받도록 도와주기도 해요. 어떤 센터나 기관에 속하지 않고 개인 활동가의 삶을 이어가는 건 아이들의 부탁 때문입니다. 직접 만날 수 있는 사람으로 남아달라고 하더라고요. “쌤! 밥 먹어요!” 하고 바로 만날 수 있는 사람. 그렇게 ‘청소년과 밥 먹는 사람’으로 산 지 15년이 되었습니다.

제게 청소년은 줄곧 우주였습니다. 물론 지금도 그렇습니다. 언젠가 방처럼 작아질 수도 있겠지요. 그 전에 이 우주를 알려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모든 사랑의 기록이 그렇듯 미화될 수 있겠지만 가능한 한 있는 모습 그대로 담으려고 했습니다. 신비하고 빛나는, ‘청소년이라는 우주’에 관한 아주 솔직한 이야기.
이야기를 듣다보면 자연스럽게 알게 될 거예요. 사회와 구조와 환경의 문제가 이 아이들을 짓누르지 않았다면, 청소년은 그저 빛나는 우주라는 걸.

소설을 쓸 때는 ‘오하루’라는 필명을 사용하고, 지은 책으로는 《ㅈㅅㅋㄹ》, 《살자클럽》, 《그저 과정일 뿐이에요》, 《너는 문제없어》, 《아이가 방문을 닫기 시작했습니다》 등이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