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지적제도는 1895년 내부 판적국에 호적과와 지적과를 설치한 시점부터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한국의 지적제도는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매우 복잡하고 전문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을 바탕으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접목시켜 각종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지적의 근간을 이루는 지적행정은 물론 지적측량, 지적교육, 지적연구 등은 국가에서 지적기술자격제도를 도입하여 배출된 지적기술자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기술사 자격제도는 1963년에 기술사법을 제정함으로써 신설되었으며, 지적기술사 자격은 1973년에 국가기술자격법을 제정하여 탄생되었습니다. 지적기술사는 지적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지적기술자격 중에서 최상위 자격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지적기술사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은 많지만 이들의 가장 큰 어려움은 충분한 자료를 확보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관련 서적들의 양도 매우 적을 뿐만 아니라 기본서는 물론 적절한 수험서를 구하기 어려운 현실입니다. 따라서 저자들은 20년 이상의 현장실무 경험과 10년 이상의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각종 자료의 내용을 담아 수험생들의 입장에서 본 수험서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본서는 수험생들이 분야별로 구분 정리할 수 있도록 제1편 측지학, 제2편 관측값 해석, 제3편 지적사, 제4편 지적제도, 제5편 지적측량, 제6편 지적학, 제7편 토지정보체계, 제8편 GNSS, 제9편 사진측량, 제10편 지적재조사로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출제경향에 적합한 학술정보, 연구보고서 및 논문 등을 요약·정리하여 답안작성요령에 따라 전문용어 해설, 단답형 및 논술형으로 구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