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계의 모든 말은 사투리다
어느 한 지역에서만 쓰는, 표준어가 아닌 말을 사투리라고 합니다. 수도를 중앙으로, 지역을 지방으로 구분해 온 경향 탓에 사투리는 오랫동안 애꿎은 이미지 속에 갇혀 있었지요. 사투리는 촌스러워, 사투리 쓰는 사람은 교양이 좀 없어, 사투리는 공식적인 언어가 아니야, 공공연한 자리에서는 표준어를 써야 해.
하지만 서울을 포함한 모든 지역에는 토박이말이 있습니다. 토박이말은 지역 정서를 고스란히 담고 있고, 지역과 지역민 정체성의 기반을 형성합니다.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스며든 말이며, 제각각 다른 팔도 사투리는 우리 언어의 다양성을 보여 주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오랫동안 글말이 아닌 입말로만 전해진 탓에 시간이 지나며 일부는 소멸되었고, 지역 경계를 쉽게 넘나들지 못해 지역 밖에서는 움츠러드는 말이 되었습니다. 글말이 되기는 점점 더 어려워졌고,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을 기회 역시 없었지요. 아무리 가치 있는 입말이라도 글말로 남기지 않으면 사라져 버리고 보존되지 못합니다. 이에 책과 영화·드라마·신문 등에서 각 지역별 사투리 문장 100개를 그러모으고, 각 지역에 연고 있는 작가들이 지역과 사투리에 관한 이야기를 붙였습니다. 유유는 다양한 정서를 품은 유서 깊은 말, 오래 기억하고 함께 쓰고 싶은 사투리 표현을 모아 우리 언어문화의 다양성을 살피는 기획으로 '사투리의 말들'을 선보입니다.
서울말이라구 다 표준어 아니구여, 서울에두 사투리 있그든여
입말을 크게 표준어와 사투리로 구분하고, 표준어는 곧 서울말이니까 서울 사투리는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요. 사투리는 시골말, 지방 사람들만 쓰는 말이라고요. 하지만 서울도 토박이가 있는 '지역'이고 그들의 말이 표준어로 지정되었을 뿐, 토박이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쓰인 지역 정서와 색깔이 담긴 말이 있습니다. 표준어이면서 동시에 서울 사투리이기도 한 말, 표준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서울 사람들 사이에서 유독 자주 쓰이는 표현이 있는 것이지요.
그럼에도 일상에서 표준어와 서울말, 서울 사투리를 명확히 가르고 구별해서 쓸 일은 잘 없기에 서울 사투리는 그간 제대로 주목받거나 다뤄질 일이 없었습니다. 다른 지역 방언이 입말로만 전해지며, 기록되지 않아 보존되지 않고 사라지는 것처럼 서울 사투리 역시 그 과정을 거치고 있는 중이지요.
『서울의 말들』은 방언 연구자로 오랫동안 서울·인천·경기 지역 사투리를 수집·연구한 언어학자의 책입니다. 저자는 25년 넘게 서울 골목골목을 누비며 다양한 서울의 말들을 찾아 다녔습니다. 서울 토박이가 쓰는 말, 서울에서 오래 산 사람의 말, 스스로가 서울 사람이라고 믿고 쓰는 말 모두가 서울말이며, 그것이 표준어와 같고 다르고는 중요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그럼에도 그 가운데는 특별히 뜻이 좋은 말, 서울이 향기가 나는 말, 서울의 역사가 담긴 말이 있습니다. 색다른 재미, 유용한 정보, 감동이 있는 말도 있지요. 이런 말들을 추리고 단상을 붙여 『서울의 말들』로 엮었습니다.
토박이 작가들의 작품에서 발굴한 오랜 서울말의 재미
경상도 출신 작가, 전라도 출신 작가의 작품 속에서 경상 지역 방언과 전라 지역 방언을 발견할 수 있듯이, 서울 출신 작가들의 작품에서는 서울 지역 방언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주로 염상섭·박태원·이태준·한무숙·박완서 등이 서울에서 나고 자라거나 서울에서 활동하며 작품 속에 서울말의 흔적을 남겨 두었지요. 작가뿐 아니라 기자들도 대부분 서울에 적을 두고 서울 이곳저곳을 취재했기에 오래된 신문 기사 속에서도 다양한 서울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런 말 가운데 지금도 서울에서만 주로 쓰이는 표현, 표준어로 등재되어 전국으로 뻗어 나갔지만 서울 내 특정 집단 혹은 장소에서 비롯된 말, 지금은 잘 쓰이지 않지만 되살려 쓸 가치가 있을 만큼 아름답고 정겨운 말을 당시의 맥락을 살려 수록했습니다. 이 책을 언어문화 기록물로도 볼 수 있는 이유이지요. 지금 서울의 모습을 떠올리며 옛 서울 방언의 배경인 종로 거리, 달동네, 청계천 주변을 상상해 보면 어떨까요? 시간이 흐르며 변한 말, 세월의 흐름에도 변하지 않은 말들이 교차되며 서울을 보는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