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헤이안 시대의 문인 기노 쓰라유키의 산문인 ≪고금와카집 가나 서문≫과 ≪도사 일기≫를 엮은 것이다. 전자는 쓰라유키의 시론이며 후자는 여행 중의 일을 기록한 기행문이다. 역자인 강미나는 일본의 고대문학을 전공한 학자로, 쓰라유키의 산문문학을 살펴보기 위해서 두 작품을 한 데 엮었다. 특히 옛 일본어를 오늘날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게끔 옮기는 데 힘을 쏟았다.
기노 쓰라유키는 일본 헤이안 시대의 고쿠후(國風) 문화를 대표하는 문인이다. 고쿠후 문화는 고대국가의 성립 단계에서 중국의 문물을 일방적으로 수용하던 일본이 자신들 나름의 문화를 자각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나타난 문화를 말한다. 헤이안 시대에 이르러 와카는 한시와 대등한 위치를 차지했고, 가나가 한자와 더불어 문학작품을 표현하는 언어가 되었다.
쓰라유키의 작품들은 앞서 언급한 두 가지에 모두 해당하는 인물이다.
우선, ≪고금와카집≫은 천황이 당대에 전해지던 와카를 모아 편찬할 것으로 명하여 만들어진 노래책인데, 쓰라유키는 편찬자로서 책을 만드는 데 참여해 가나 서문을 썼다. 가나 서문은 일종의 평론으로, 와카에 대한 최초의 시론으로 알려진 것이다. 중국의 시론에서 영향을 받았으나, 그의 견해를 덧붙여 일본 와카의 기원과 역사, 유명했던 시인들의 작품을 평하고 있다. 한자로 쓰인, 또 다른 서문인 마나 서문과 내용은 비슷하나 보다 심오한 이해를 보여 준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한자로 쓰인 작품보다 가나로 쓰인 작품이 더 훌륭하니, 문학 언어로서 가나의 위상을 한층 높였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사 일기≫는 쓰라유키가 도사 지방관 임무를 마치고 귀경하는 길에 쓴 기행문으로, 허구적인 장치를 사용해서 높은 문학성으로 보여 준다. 작자의 경험과 느낌을 사실적으로 기술하는 보통의 기행문과는 달리 가공의 여성 화자를 내세워 뱃길의 여정과 배 안에서의 풍경으로 전하고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 쓰라유키 자신을 제삼자의 시선으로 관찰해서 묘사하는 등, 다양한 문학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
쓰라유키의 훌륭한 작품들 덕에 여성들의 언어였던 가나는 문학 언어의 지위를 얻게 되었고, 일본의 독자적인 문학이 발전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이 책은 쓰라유키의 산문 세계에 대한 좋은 안내자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