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에 담은 자연에 대한 철학적 사유
독일 초기 낭만주의의 대표 작가 노발리스. 이 책에서 그는 자연에 대한 철학적 인식을 소설이라는 미학적 형식을 통해 드러낸다. 1부 제자와 2부 자연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소설은 비인칭 화법, 독백, 대화, 동화 등 다양한 서술 방식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텍스트의 구성 방식은 내용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특히 2부에 삽입된 '히아신스와 장미꽃 아가씨'의 동화를 기점으로 서술 방식이 분명하게 변화한다.
동화 이전까지 보이는 서술자의 태도는 과학적 접근 방식의 한계를 보여 준다. 자연 연구가적인 매우 세밀하고 다양한 접근을 통해서도 결국 자연 이해에 도달하지 못하는 상황을 그려 냄으로써 자연 이해를 위한 또 다른 대안을 요청하는 것이다. 동화 이후, 자연은 성찰의 대상이 아닌 인간과 동등한 주체로서 등장하여 자신들을 소외시키고 이해하지 못하는 인간들을 비난하고 인간에게 느낌이 결핍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서술자는 이제 더 이상 자연이 관찰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며, 자연을 정신을 가진 것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느껴야 함을 깨닫는다.
히아신스와 장미꽃 아가씨
히아신스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아이와 같은 마음으로 장미꽃 아가씨를 사랑한다. 그러다 낯선 곳에서 한 남자가 오고 밤이 깊을 때까지 히아신스는 그와 이야기를 나눈다. 남자와의 대화를 통해 사유의 깊이를 갖게 된 히아신스. 그는 이제 베일에 가려진 여신을 찾기 위해 집과 장미꽃 아가씨를 떠나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여정 끝에 마침내 그가 자이스의 사원에서 찾아낸 여신은 자신이 떠나온, 사랑하는 장미꽃 아가씨다.
이 동화에서 장미꽃 아가씨는 제자와 독자가 발견하고자 하는 자연 또는 자기 자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자기 자신은 계몽주의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개인의 무제한의 자유를 실행하는 자아 즉, 이성적이고 과학적인 사유를 발판으로 자연을 지배할 수 있는 자아라기보다는 자연의 일부로서의 자아를 뜻하는 것으로서 잃어버렸던 자기 자신을 의미한다. 히아신스는 길을 떠나기 위해서 자신의 의식을 일깨웠던 낯선 남자의 책, 즉 계몽적 의식을 필요로 했지만 히아신스가 진정으로 찾아야 했던 것은 전체로서의 자기 자신이었다. 또한 히아신스가 꿈속에서 장미꽃 아가씨를 만나 잃어버린 자기 자신, 즉 자연과 결합한 것은 시인의 정서와 언어로 이루어진 문학 안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의 예감에 대한 문학적 은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