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자책
평면표지(2D 앞표지)
2D 뒤표지

벽소시고


  • ISBN-13
    979-11-288-9503-6 (05810)
  • 출판사 / 임프린트
    커뮤니케이션북스㈜ / 지만지한국문학
  • 정가
    26,24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7-12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영민(李榮珉)
  • 번역
    김용찬
  • 메인주제어
    시: 시인별
  • 추가주제어
    동아시아, 극동 , 한국어 , 20세기, 1900-1999년 , 시형식
  • 키워드
    #벽소 #순천 #순천가 #옥중화가 #오세창 #옥류정 #금고시총 #취산 #한시 #청구악부 #국악 #송만갑 #이화중선 #임방울 #함동정월 #벽소시집 #시: 시인별 #동아시아, 극동 #한국어 #20세기, 1900-1999년 #시형식
  • 도서유형
    전자책, EPUB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책소개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던 전라남도 순천 출신의 문인 벽소(碧笑) 이영민(李榮珉)의 한시를 엮은 문집이다. 송명회가 쓴 서문과 문집 발간을 축하하는 지인들의 한시로 구성된 권두부, 이영민과 지인들의 한시로 구성된 본문, ‘청구악부초(靑邱樂府抄)’, ‘근대국악계인물(近代國樂界人物)’이라는 제목 아래 전통 음악에 대한 이영민의 관심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으로 구성된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집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벽소시고》와 이영민 문학 세계를 살필 수 있는 〈순천가〉를 참고자료로 수록했다.

목차

벽소시고서(송명회)

제목에 부치는 시(박승림)

제목에 부치는 시(이종두)

제목에 부치는 시(송명회)

제목에 부치는 시(최석주)

제목에 부치는 시(정우흥)

제목에 부치는 시(박한영)

제목에 부치는 시(이종선)

 

벽소시집

강촌에서 즉흥으로 짓다

남파 김효찬 선생에게 화답하다

우재 손면일에게 주다

연자루

환선정

옥천 노재승의 시를 덧붙이다(노재승)

난국음사

하벽도에게 주다

성의 저잣거리

김원택의 의남정에 부치다

태평한 고장

운양 김윤식 선생을 조문하다

탁사정에서 반아 석진형을 만나다

이충무공의 역사를 읽고

한산사

침계루

새로 날아온 제비

학루 최석주에게 주다

윤현진을 조문하다

추수 김중우에게 주다

눌민 김정현 선생의 다감정에 부치다

아름다운 영자를 추억하며

일운 최정익이 미국에서 귀국하다

일운과 용강에서 배를 띄우고 읊다

꾀꼬리 소리를 듣다

용호정

다시 짓다−용호정

뱃사공의 눈물

박봉의 가정

섣달그믐날 밤

소작인의 눈물

절기 성춘향

스스로 술회하다

스스로 술회하다(송명회)

초봄의 밤에 여철현을 만나 서로 이야기하다

감옥에서 봄의 감회

감옥에서 여름의 감회

감옥에서 가을의 감회

감옥에서 겨울의 감회

농가

연초정에서 읊다

계은과 함께 석계정에서 읊다

김염운에게 화답하다

김염운의 작품을 덧붙임(김염운)

동교에서 봄을 전송하다

소파 송명회, 우재 손면일 등 여러 벗과 죽도봉에 올라

동래의 금강원에서 매촌 권원일과 더불어 읊다

매촌 권원일의 시를 덧붙임(권원일)

여수 노인당에서 추수 김중우를 만나다

추수 김중우의 시를 덧붙임(김중우)

한강을 지나며

백촌 이병호와 후반석에 오르다

석계정사

청추당의 여관에서 중관 서병두를 만나다

향림사

김염운에게 주다

강가의 성에서 저물녘 다듬이 소리

김경운 선사를 조문하다

동천의 수중암(김정후)

권투 선수 서정권에게 주다

학루 최석주가 여수의 시 짓는 벗을 데리고 와서 연초산의 정자에 올랐다

최승희에게 주다

소파 송명회에게 화답하다

백화당 주인 희정 정우흥에게 부치다

의재 허백련에게 주다

재관 이연승과 주고받다

연하 이응우를 방문하다

이당 김은호에게 주다

성북정사

손기정에게 주다

남승룡에게 부치다

두견새

조택원에게 주다

신전에서 밤에 앉아

그리움

설주 송운회와 헤어지며

해운정

연진회에서 우아하게 읊다

정재 오일영의 시를 덧붙임(오일영)

의재 허백련의 시를 덧붙임(허백련)

긍호 박준규의 시를 덧붙임(박준규)

허림을 조문하다

우경 김영건의 여관에서 읊다

원재 정해준의 시를 덧붙임(정해준)

지산재에 부치다

당동재

시의 초고를 이재원에게 보여 주다

유정 이상혁이 시를 지어 나에게 맡기며 평을 요청하다

소전 손재형에게 주다

광천을 지나며

반야사에 부쳐

신전의 시회 소식을 듣고 유정 이상혁에게 보내다

영산정

송은재

정락와에 부치다

둔암 이재원과 함께 대화하며

달을 읊다

촉석루

쌓여 있는 눈

춘포별장에서 읊다

청암야장

청암 이태현의 시를 덧붙임(이태현)

죽도봉에서 만송 장지형, 아산 김대현 등 여러 벗과 함께 석양을 바라보며

호석 임석윤에게 보내다

영산강의 가을 달

달성사의 저녁 종소리

고하도의 푸른 안개

광주 석하정 시회

우전 김선홍의 회갑 잔치

국화

목포 유산시사의 중양절 모임에 부치다

느낌이 있어 운담과 운정 두 사람의 시 벗에게 부치며 짓다

석하정 시회에서 주고받다

육언

오언절구

교외로 가다

또 짓다−교외로 가다

바둑 두는 것을 보다

학생혁명

이 박사 하와이로 망명하다

 

부록 청구악부초

하늘에 호소하는 노래

만수대수가

옥중화가

 

근대 국악계 인물

송만갑

이동백

김창룡

정정렬

이선유

한성준

정응민

배설향

이화중선

박녹주

김초향

김여란

김연수

임방울

정원섭

백낙준

이소향

조몽실

김준섭

박초월(노재승)

오태석

김종기

김소희

박귀희

전명옥

정광수

오비취

신숙

신쾌동

함동정월

송영석

조소석(이응우)

조금옥

이중선

박채련

조농옥(오죽천)

강산홍(노재승)

한갑득(이응우)

김녹주

한애순

안채봉

 

신시(新詩)

 

참고자료

순천가

순천가 후기(이정규)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본문인용

아침엔 한강의 바람을 읊고

저녁엔 낙산의 눈을 노래했다네

인간 세상에 기이한 인연 많으니

오늘의 이별을 근심하지 말게나.

朝吟漢江風 暮唱駱山雪

人世多奇緣 莫愁今日別.

- 〈우경 김영건의 여관에서 읊다, 인사동〉 전문

 

 

나라 사랑한다더니 어찌 망명객이 되었나

아내 데리고 짐 싸서 새벽길을 나섰다네

독재의 큰 자취는 민생의 고통이었으니

떠난 후 온 나라에서 눈물 흘린 사람 하나도 없었네.

愛國胡爲亡命夫 帶妻包貨出晨途

獨裁洪蹟民生苦 去後全邦一淚無.

- 〈이박사 하와이로 망명하다〉 전문

 

 

밝은 달이 갈대꽃 비추니 양 언덕은 가을이고

만경창파에 금빛 물결 반짝이네

외로운 기러기와 피리 소리에 근심은 천 리에 닿아

변방에 어떤 사람이 홀로 누각에 기대어 있는가.

明月蘆花兩岸秋 滄波萬頃躍金流

孤鴻長笛愁千里 塞上何人獨倚樓.

- 〈영산강의 가을 달〉 전문

서평

한국의 근대문학이 20세기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됐지만 일제 강점기에도 고전문학의 주요 갈래가 활발하게 창작, 향유되고 있었다. 서구에서 발원한 문예 이론과 그것에 기반한 작품들이 점차 문단의 중심을 형성하고 있을 때, 전통적인 한시문(漢詩文)을 창작하며 교류했던 지식인들도 적지 않게 존재했던 것이다. 이들은 신문을 비롯한 다양한 지면에서 왕성하게 활동했다.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던 벽소(碧笑) 이영민(李榮珉)이 그중 한 명이다. 문인이자 서예가로 활동했던 그는 일제 강점기 순천에서 사회, 문화 활동을 펼쳤다. 순천과 인근 지역에서 소작 쟁의를 주도해 일제에 의해 문제 인물로 주목되어 가택 수색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일제의 대표적인 악법인 ‘치안유지법’으로 1년 6개월 형을 받고 투옥되기도 했다. 일제의 요시찰 대상이 된 이영민은 이후 사회적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자 문화, 예술 활동에 전념했다. 지역 유지들과 함께 판소리 창자를 비롯한 예술인을 후원하는 등 순천과 인근 지역의 문인 및 예술가들과 활발한 교류 활동을 펼친 것이다. 이때 문인으로서는 한시 창작에 매진해 바로 이 책 《벽소시고》를 엮어 냈다.

《벽소시고》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송명회가 쓴 서문인 〈벽소시고서(碧笑詩稿序)〉와 문집 발간을 축하하는 지인들의 한시가 권두부다. 이어지는 이영민의 125수와 지인들의 11수를 덧붙인 총 136수의 한시가 문집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뒷부분에는 부록으로서 〈청구악부초(靑邱樂府抄)〉와 〈근대국악계인물(近代國樂界人物)〉이라는 제목 아래 전통 음악에 대한 이영민의 관심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영민의 작품 세계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유 관계다. 동시대에 활동했던 이들과의 교유 양상은 물론, 과거에 인연을 맺었던 이들을 회고하는 내용의 작품들도 적잖이 포함되어 있다. 이영민 스스로가 서예가로 활동했기에 동시대에 활동했던 미술인들을 형상화한 작품들이 있으며, 무용가인 최승희, 여성 시인 김염운, 육상선수 손기정과 남승룡, 순천 출신의 권투선수 서정권 등 다채로운 인물을 대상으로 한시를 창작했다. 특히 부록 〈근대국악계인물〉의 작품들은 일제 강점기에 판소리 후원자로 활동했던 이영민이 창작한, 판소리 창자 등 음악인들과 그들의 예술 세계에 대해 평한 한시들로 구성되어 있다. 소리꾼, 이름난 고수(鼓手), 거문고와 가야금 연주자 등 41명을 대상으로 해 지은 이 작품들에는 이영민의 ‘우리 문화’에 대한 깊은 관심과 애정이 깃들어 있다. 《벽소시고》를 전통 예술인들과 그들의 예술 세계를 살필 수 있는 예술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책으로 꼽는 까닭이다.

이외에도 순천을 비롯한 여러 도시의 유적지와 이영민이 방문했던 특정 장소를 형상화한 작품들이 두드러진다. 특히 연자루(燕子樓)나 환선정(喚仙亭) 등의 순천의 유적지는 “과연 순천은 동방 일대 명승지 됨을 알겠더라”라고 끝맺는 그의 가사 〈순천가〉의 배경으로도 등장하기에, 작품에 형상화된 면모를 따져 그의 고향 순천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살펴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개인적 일상과 감회를 형상화한 작품들이 있으며, 사회의식을 드러낸 적지 않은 작품을 통해 당대 현실에 대한 이영민의 비판적 인식을 엿볼 수도 있다. 암울한 식민지 상황 속에서 주변 사람들에게 전통 문화와 고향 순천에 대한 애정을 환기할 수 있도록 노력했던 이영민. 이 책을 통해 그동안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던 그의 생애와 행적이 정당한 평가를 받기를 기대한다.

저자소개

저자 : 이영민(李榮珉)
벽소(碧笑) 이영민(李榮珉, 1882∼1964)은 전라남도 순천시 상사면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꾸준하게 한시를 창작했던 문인이자 농민 운동에 투신해 소작 쟁의를 주도하는 등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던 인물이다. 그는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릴 때의 이름은 희수(熙守)다. 일찍이 한학(漢學)과 서예를 익혔으며, 취산(醉山)과 벽소(碧笑) 그리고 ‘옥류정 주인(玉流亭主人)’이라는 호를 사용했다. 한성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고향인 순천으로 돌아와, 야학을 개설해(1902) 후학들을 위한 교육 운동을 벌였다. 이후 황전면 출신의 지주인 박승휘(朴勝徽)와 함께 순천남학당(현 순천남초등학교)을 공립으로 인가받아, 1912년부터 1916년까지 교원으로 재직했다. 일제의 탄압 정책이 거세지자 이에 항의하는 뜻으로 교원을 사직했으며, 이듬해인 1917년부터 약 3년간 중국으로 가서 망명 생활을 하며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중국을 떠나 1919년에 귀국한 이영민은 이듬해인 1920년부터 순천에서 본격적인 사회 활동을 시작했다. 1922년부터 《동아일보》 순천 분국의 기자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소작 총회에 참석하는 등 순천농민연합회 등에도 소속되어 본격적인 농민 운동에 뛰어들었다. 순천농민연합회가 창립된 직후부터 순천의 각 면은 물론이고 광양과 구례 등 인근 지역에도 농민회가 속속 창립되는데, 이영민은 농민회가 창립되는 현장에 참석해 소작농의 현실을 알리고 농민의 각성을 촉구하는 연설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당시 거세게 전개되었던 소작 쟁의의 현장에 소작농을 대표해 교섭위원으로 참여해, 지주들로부터 소작료의 감세를 이끌어 내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일제의 정책에 야합해 소작료를 올리거나 소작권을 빼앗는 등 지주들의 부당한 횡포로 생존의 위험에 노출되었던 소작농들의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이들을 위해 이영민은 적극적으로 소작 투쟁에 동참했다.
이와 함께 지역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순천 연학회(硏學會)’를 창립해 임원으로 활동했으며, 노동 운동에도 뛰어들어 ‘순천노동대회’를 창립하고 노동자의 교육을 위해 노동 야학을 설립해 강사로 나서기도 했다. 또한 기자로서 인근 지역 기자들과의 연대 활동도 펼치며 농민과 노동자들에 대한 부당한 처사를 기사로 작성하고, 일제의 부당한 대우에 대해 경찰이나 단체장에게 항의하기도 했다. 흥미로운 것은 이처럼 활발한 사회 활동을 하는 와중에도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등에 자신이 창작한 한시를 투고하는 등 문인으로서의 활동도 꾸준히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신문과 잡지에는 한시를 수록하는 고정란을 두기도 했는데, 《조선일보》의 〈사조(詞藻)〉와 《동아일보》의 〈금고시총(今古詩叢)〉 등이 확인되고 있다. 1922년 12월부터 1923년 12월까지 약 1년 동안 《조선일보》의 〈사조〉란에 ‘취산(醉山) 이영민’이란 작자명으로 26수(24제)의 한시가 게재되었으며, 《동아일보》의 〈금고시총〉에는 1924년 9월과 10월에 ‘벽소(碧笑)’란 호로 이영민의 한시 4수가 수록되었음이 확인된다.
당시 순천과 인근 지역에서 소작 쟁의를 주도했던 이영민은 일찍부터 일제에 의해 문제 인물로 주목되어, 가택 수색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이처럼 농민 운동에 적극적으로 투신하면서 그는 일찍부터 사회주의 사상을 받아들였는데, 사회주의 잡지를 발행하려고 설립한 ‘화화사(火花社)’에 발기인으로 참여한 것도 그 일환이라고 파악된다. 아울러 전국적으로 관련 인사를 체포하면서 전개되었던 조선공산당 사건에 연루되어, 일제의 대표적인 악법인 ‘치안유지법’으로 1년 6개월 형을 받고 투옥되었다. 이영민은 1928년 12월에 만기 출소 후 인터뷰를 통해, 감옥에서 ‘시작(詩作)으로 세월을 보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출소 이후에도 이영민은 한동안 순천농민 조합의 위원으로 농민 운동에 투신했으며, 집이 없는 세입자들을 위해 ‘차가인(借家人) 동맹’을 결성해 임대료를 낮추는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1932년 모종의 비밀결사 혐의로 체포되면서, 이영민의 대외적인 사회 활동은 신문 기사에서 한동안 발견되지 않는다.
이후 신문 기사에서 보이지 않던 이영민의 행적은 1940년 무렵 서예가로서 서도전(書道展)에 입선했다는 내용으로 다시 등장하는데, 아마도 이 기간에는 일제의 요시찰 대상이 되어 지역에서의 사회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자 문화 예술 활동에 종사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 시기에 이영민은 김종익(金鍾翊, 1886∼1937) 등 지역의 유지들과 함께 판소리 창자를 비롯한 예술인을 후원하는 등 문화 활동에 뛰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당시 순천을 방문했던 예술인들에게 한시를 지어 주고 사진을 찍어 남겼으며, 이렇게 남겨진 자료들은 일제 강점기에 활동했던 전통 예술인들의 예술 세계와 활동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이렇듯 자신의 한시를 전통 예술인에게 지어 주는 등 이영민은 서예가이자 문인으로 순천과 인근 지역의 문인 및 예술가들과 활발한 교류 활동을 펼쳤다. 그는 당시 ‘추사체(秋史體)계의 거두’로 평가되었으며, 이영민의 서체는 호를 따서 ‘벽소서체’라고 불리고 있다. 아울러 문인으로서 한시 창작에 매진하고 그 결과물로 《벽소시고》라는 시집을 엮어 낼 수 있었으며, 해방 이후에는 서예 학원 등을 운영하다가 1964년 광주에서 생을 마쳤다.
이영민의 생애와 활동 양상에 대해서는, 그의 유족들이 국가보훈처에 항일독립운동가로 지정받기 위해 작성한 ‘독립운동가 포상 신청서’(2007년 8월)와 그의 행적을 확인할 수 있는 당시의 신문 기사를 활용해 재구했다. 이영민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포상은 2008년 2월에 한 차례 반려되었다가, ‘보완신청서’(2008년 12월)를 다시 제출했으나 결국 지정을 받지 못했다.
번역 : 김용찬
김용찬(金墉鑽)은 전라북도 군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박사 학위 논문의 제목은 〈18세기 가집 편찬과 시조 문학의 전개 양상〉이다. 한중대학교 국문과 교수를 거쳐, 2008년부터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11년 여름부터 1년간 캐나다의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UBC) 아시아학과의 방문학자로 활동했으며, 한국시가문화학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주로 고전 시가에 관한 논문과 저서들을 쓰고 있지만, 고전 문학과 현대 문학을 포함한 한국 문학 전반에 걸쳐 관심을 가지고 연구와 교육에 종사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공 분야의 연구 논문을 쓰는 것과 함께, 고전 문학 작품을 일반 독자들에게 쉽게 풀어서 전달할 수 있는 내용의 책을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밖에도 영화와 책에 관한 리뷰(review)들을 다양한 지면에 소개하고 있다.
그동안 출간했던 저서로는 《18세기의 시조 문학과 예술사적 위상》(월인, 1999), 《교주 병와가곡집》(월인, 2001), 《조선 후기 시가 문학의 지형도》(보고사, 2002), 《시로 읽는 세상》(이슈투데이, 2002; 개정판, 휴머니스트, 2021), 《교주 고장시조 선주》(보고사, 2005), 《조선 후기 시조 문학의 지평》(월인, 2007), 《조선의 영혼을 훔친 노래들》(인물과사상, 2008; 개정판, 한티재, 2019), 《옛 노래의 숲을 거닐다》(리더스가이드, 2013), 《조선 후기 시조사의 지형과 탐색》(태학사, 2016), 《윤선도 시조집》(지식을만드는지식, 2016), 《가사, 조선의 마음을 담은 노래》(휴머니스트, 2020), 《고정옥과 우리어문학회》(보고사, 2022), 《금옥총부》(지만지한국문학, 2023), 《100인의 책마을》(공저, 리더스가이드, 2010), 《고시조 대전》(공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고시조 문헌 해제》(공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등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