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송·명 신유학약론


  • ISBN-13
    979-11-6742-673-4 (9315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역락 / 도서출판 역락
  • 정가
    38,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6-12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펑다원(馮達文)
  • 번역
    지성녀(池聖女) , 김홍매(金紅梅) , 이은주(李恩珠)
  • 메인주제어
    철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철학 #신유학
  • 도서유형
    종이책, 양장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5 mm, 444 Page

책소개

필자는 역사학적 방법 또는 역사적으로 공자와 맹자에 주목했다. 이것은 공자와 맹자 또 이들의 유학을 부정하려는 것이 결코 아니다. 필자의 의도는 어떤 사조든 역사 속에서 형성되고 발전했다는 점을 설명하려는 것이다. 어떤 개인이 절대적으로 완전하다고도, 또 어떤 사조가 단번에 완성되었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 책에서 역사학적인 관점을 채택하게 된 것은 역사 발전 과정에서 각각의 인물과 사조가 가지는 장점과 한계, 둘 사이의 관련과 차이를 살펴보는 데 유용한 방법이기 때문이었다. 또 필자는 역사학적 관점에서 역사 발전 과정에서 등장한 각 인물과 사조를 살펴보려고 했다. 이것은 신앙을 부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필자는 신앙을 중요하게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신앙이 사라져서 사회가 쇠퇴하기 때문만이 아니다. 역사적으로 봤을 때 인류의 정신문화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재적 세계의 객관 지식이 아니라 그 안에 있는 사상과 신앙이다. 이 책에서 필자는 역사학적 관점에서 각 인물과 사조를 살펴보았다. 지금 시대의 지평에서 새롭게 신앙을 고찰하고 선택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역사학적 방법이 철학적 방법에 비해 더 좋다거나 언제나 더 많은 객관 지식을 제공해서가 아니다. 어떤 사회든 신앙을 새롭게 선택할 때 사람들은 역사학적 방법과 지식론의 사유방식을 더 강조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서만 신앙이라는 측면에서 현대 사회를 운영하고 개인의 마음을 구성할 때 더 나은 것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전통 유학, 특히 신유학을 중점적으로 논의한 이유는 유학에 대한 기존 관념을 극복하고 더 많은 선택지가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싶어서였다.

 

이 책을 다 읽은 독자들은 의아할 수도 있다. 책 전체에서는 유가를 논했지만, 마지막 부분에서는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면서 도가를 지향한다고 했다. 이 문제는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유가는 세상에 들어가 구원하고 도가는 세상을 벗어나 소요하는데, 그렇다면 어느 쪽이 더 납득할 만한 가치가 있을까. 이 문제에 모두가 동의할 만한 답안은 없을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 인문학이라는 것은 어떤 사람이나 집단에게 어떤 삶의 방식을 받아들일 ‘이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사람 또는 집단이 이런 삶의 방식을 거부할 때 여러 측면에서 이 이유의 결함을 지적할 텐데, 이것은 지적으로 시비를 따질 문제가 아니다. 가치 판단이라는 측면에서 유가는 세상에 들어가 구원하는 것을 중시하지만 여기에는 엄청나게 헌신적인 측면이 있다. 그런데 도가의 입장에서 보면 세상에 들어간다는 것은 자신을 바꾸는 것이고 역할극을 하며 자신을 도구화하는 것이라 자아도, 참모습도 잃어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세상과 거리를 둔 채 비루하고 혼란한 세간을 비판하고 반성하는 정신을 가진다. 이것도 숭고한 것이 아닐까.

목차

서론: 방법론 문제

 

1장 선진(先秦) 시대 원시유학

‘정(情)’에 기반한 ‘인학(仁學)’

‘명(命)’을 배제함으로써 올라간 인간의 가치

천도(天道)와 인덕(人德)을 연결한 최초의 탐구

 

2장 본원론(本源論)에서 파생한 성덕론(成德論)

주돈이(周敦頤): ‘무극(無極)’과 ‘성체(誠體)’

장재(張載): ‘태허즉기(太虛卽氣)’와 ‘민포물여(民胞物與)’

신앙적 도덕의 타당성과 결함

 

3장 주지론(主知論)으로 구축한 성덕론(成德論)

정호(程顥): ‘필연’으로 논의한 ‘리’와 ‘리’ 본체론

정이(程頤): 주(主)·객(客) 구분과 ‘치지재격물(致知在格物)’설

주희(朱熹): 지식론으로 전개한 공부론

규범적 도덕의 장점과 약점

 

4장 주지론(主志論)으로 확립한 성덕론(成德論)

육구연(陸九淵): ‘당위’를 기준으로 ‘리’ 본체론과 ‘심(心, 志)’ 본체론을 말함

왕수인(王守仁): ‘치양지(致良知)’ 설에 드러난 자유 의지

주체성의 부각과 곤혹

 

5장 주정론(主情論)으로 나타낸 경지론(境界論)

진헌장(陳獻章): ‘리(理)’의 규범성 제거와 주정론(主情論)

왕간(王艮): ‘있는 그대로’에서 ‘도’를 논함 및 감성의 긍정

태주(泰州)의 후학(後學): ‘욕망’의 승화와 인성(人性)의 재해석

만명(晩明) 사풍(士風): 현세와 현재의 격조 추구

개체성 추구와 근대 정신

 

6장 치용학(致用學)으로 구현한 경험지식론

사공학파(事功學派)에 대한 역사적 회고

왕부지(王夫之): 현실의 관계로 말한 ‘리’, 지성적 마음의 재인정

황종희(黃宗羲): 권력 구조로 논한 ‘정치(政)’와 공공 예법의 신고찰

도구적 이성의 공헌과 한계

 

결론: 신유학과의 결별−유자의 ‘내성외왕론(內聖外王論)’에 대한 재평가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펑다원(馮達文)
中山대학교 철학과 교수, 박사 지도교수이다. 중산대학교 학술위원회 위원, 중산대학교 중국철학연구소와 비교종교연구소 두 곳의 초대 소장을 역임하였고, 중산대학교 선종(禪宗)중국문화연구원 원장, 중국철학사학회 부회장, “마르크스주의 이론연구 및 건설 프로젝트 중점교재·중국철학사(馬克思主義理論研究和建設工 程重點教材·中國哲學史)” 집필팀의 수석전문가로 2015년 “광둥성 우수 사회과학자(廣東省優秀社會科學家)” 칭호를 받았다.
번역 : 지성녀(池聖女)
廣東外語外貿大學南國商學院 한국어학과 교수. 저서로 『초간본 분류두공부시언해 한자어 의미 연구』, 역서로 『이것이 바로 중국이다. 중국의 일상문화』, 『매력적인 粤港澳大灣區 여행』 등이 있다.
번역 : 김홍매(金紅梅)
廣東外語外貿大學南國商學院 한국어학과 부교수. 저서로 『소재 변종운 문학 연구』, 공역서로 『명청 산문 강의』, 『중국 사회의 이해』, 『중국산문사』, 『고증학의 시대』 등이 있다.
번역 : 이은주(李恩珠)
한국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저서로 『행복한 상상, 신광수의 <관서악부>』, 역서로 『평양을 담다』, 『관서악부』, 공역서로 『명청 산문 강의』, 『중국산문사』, 『고증학의 시대』 등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