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수호신


  • ISBN-13
    979-11-5740-407-0 (0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네오북스 / 네오픽션
  • 정가
    15,8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4-0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청예
  • 번역
    -
  • 메인주제어
    근현대소설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오컬트소설 #근현대소설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16 * 183 mm, 224 Page

책소개

천만 영화 〈파묘〉 장재현 감독 추천!

장르문학계 라이징 스타 ‘청예’표 오컬트 스릴러

 

2024년 2월, 대한민국 극장가에 전례 없는 ‘오컬트’ 붐이 일었다. 전작 〈검은 사제들〉 〈사바하〉로 이미 수많은 오컬트 팬을 매료시킨 장재현 감독의 신작 〈파묘〉가 무려 천만 관객을 동원했기 때문이다. 오컬트 영화로서는 최초의 기록을 만들어내며 오컬트 흥행에 신호탄을 쏘아 올린 장재현 감독이, 또 다른 ‘험한’ 이야기를 기다릴 독자들에게 추천할 작품으로 이 책 『수호신』을 골랐다.

 

“종교, 샤머니즘, 복수 애니미즘 등 소재만으로 매력적인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오컬트 마니아로서 반가운 마음을 감출 수 없다.” (장재현 영화감독)

 

『수호신』은 제1회 K-스토리 공모전 최우수상, 제6회 한국과학문학상 대상에 빛나는 청예 작가의 오컬트 스릴러 소설로, 치밀하게 깔린 복선과 현실적인 묘사가 여느 오컬트 영화 못지않은 훌륭한 몰입감을 선사한다. 또한 기존의 오컬트 장르에서 잘 다루지 않던 십이지신(十二支神)을 소재로 종교관을 창조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누구에게나 익숙한 소재에 덧붙여진 섬뜩한 상상력은 마니아부터 대중에 이르기까지 넓은 독자층의 취향을 정조준한다. 이렇게 보장된 재미 요소들 덕분에, 반복되는 악몽 속에서 신의 존재를 끝없이 의심해야 하는 인물의 고뇌가 더욱 빛을 발한다.

목차

차례

설과 이원

우바리와 제구관

오빠와 엄마

희영과 석구

여자아이

 

작가의 말

본문인용

책 속으로

 

눈치 없는 후배와 그 후배의 입단속을 담당하는 선배. 둘은 이미 동아리 내에서 굳어진 만담 듀오 같은 관계였다. 편히 웃는 우리를 따라 두 신입도 눈치껏 경직된 몸을 풀었다. 전반적인 흐름은 나쁘지 않았다.

윤주가 이 질문을 하기 전까진.

“근데 한경우가 누구예요?” (17쪽)

 

“엄마, 우리가 소고기 못 먹는 이유가 뭐야?”

“몸에 안 좋으니까. 참, 너 주말에 엄마랑 마트나 같이 가자. 보여줄 사람이 있어.”

“그게 다야?”

“그래, 삼촌 재혼 준비하는 건 알지?”

“내 질문에 제대로 답부터 해줘. 자꾸 꿈에 소가 나온단 말이야.” (38쪽)

 

나는 엄마에게 방금 아빠가 한 이야기가 무엇이냐 물었다. 엄마가 답이 없자 얼마 전 점집에서 이상한 이야기를 들었으며 꿈에 자꾸만 소가 나온다는 말을 다시 한번 전했다. 악신과 저주. 믿고 싶지 않으나 나를 둘러싼 거대한 흐름이 존재하는 걸지도 모른다는 의미심장한 말을 덧붙이자 엄마의 호흡이 불규칙해졌다. (66쪽)

 

그러던 중에 멀리서 어떤 노인의 시선이 느껴졌다. 처음에는 우연히 눈이 마주치는 건가 싶었는데 반복적으로 힐끔거리며 나와 오빠를 살폈다. 둔한 오빠까지 시선을 느낄 정도가 되자 우리 또한 티가 날 정도로 노인을 응시했다. 그러자 노인은 기어코 구부정한 허리를 일으켜 우리 쪽으로 오고야 말았다. (99쪽)

 

열어둔 문 너머로 찬 바람이 불어닥쳤다. 바람결에 숨어 있던 먼지가 눈에 들어가 나는 무의식적으로 눈을 비벼댔다. 눈을 다시 떴을 때 태석은 완전히 등을 돌리고 앉아 있었다. (129쪽)

 

석구는 희영과 사는 한 평생 도를 닦아도 마음의 불안을 떨치지 못할 운명이었다. 그가 사랑의 감투를 쓴 고집을 선택한 이상 감내해야 하는 천수의 불행이었다. (151~152쪽)

 

결국 모든 건 처신을 잘못한 탓이었다. 까다롭지 못한 천성은 죄악이 됐다. 온몸을 짓누르는 고통을 심장에 각인하며 희영은 자발적으로 속박을 만들었다.

‘처신을 잘해야 해, 처신을…….’ (171쪽)

 

정말 나의 잘못인가? 무당의 말처럼 진정한 속죄가 눈에 보이는 죄마저 초월하려는 마음이라면 간단한 확신 정도는 줘야 했다. 내가 정말로 뭔가를 사죄한다면 이 상황이 좋게 바뀔 거라는 확신 말이다. 나아지리라는 보장 없이 고개를 숙이라 윽박만 지르니 필적하지 못할 상대를 향한 미지의 공포와 불안 그리고 그만큼의 반감이 부풀었다. (194쪽)

서평

신의 저주인가 가호인가

연이은 불행 속에 피어나는 의심

며칠 동안 똑같은 꿈을 꿔본 경험이 누구나 한 번쯤 있을 것이다. 꿈에서 깨고 나면 기억도 흐릿해지지만 여러 번 반복되는 꿈은 때로 호기심을 넘어 두려움을 불러일으킨다. 여기, 좋아하던 남자가 죽은 후부터 ‘흰 소’가 나오는 악몽을 반복해서 꾸게 된 인물이 있다.

‘이원’은 같은 철학 동아리원 ‘경우’가 죽고 난 뒤부터 매일 밤 꿈에서 흰 소를 마주한다. 그러던 어느 날, 새 동아리원으로 종교사학과 신입생 ‘설’이 들어온다. 소고기를 먹지 않는다는 점을 비롯해 닮은 점이 많은 두 사람은 급속도로 가까워지기 시작하고, 악몽 이야기를 들은 설은 급기야 이원을 돕겠다고 나선다. 뜬금없는 호의에 당황스러우면서도 이원은 설에게 의지한다. 불행 속에 나타난 구원의 손길에는 거부할 수 없는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원이 너, 설이랑은 친해?”

“나름요.”

(……)

“같이 일하는 근로장학생이 종교사학과 1학년이라 내가 물어봤거든? 근데 좀 이상해.” (61~62쪽)

『수호신』은 “인간은 날 때부터 수호신과 악신 모두와 함께한다”는 설(說)을 시작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는 설의 손에 이끌려 찾아간 점집에서 이원이 들은 점사의 일부기도 하다. 이원의 악몽과 불행은 끊이지 않는다. 게다가 가까워질수록 속마음을 드러내지 않는 설의 태도에 이원은 혼란스럽기만 하다. 꿈에 나오는 소의 정체, 알 수 없는 설의 마음, 뭔가 아는 듯하지만 말해주지 않는 엄마까지.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게 불분명한 그때, 의심의 불길은 가장 강력해진다. 설은 과연 이원을 구원할 수호신일까, 그녀에게 내린 악신의 저주일까. 신과 인간은 매듭지어져 있다는 태초의 가정이 한 인물의 모든 판단과 믿음을 쥐고 흔들 거대한 혼돈의 씨앗이 된다. 

 

‘믿음’에 대한 질문

오컬트 장르만의 매력

『수호신』 속에는 신을 대하는 여러 관점이 흥미롭게 등장한다. 어떤 이는 신의 숭고함을 우러러보고, 어떤 이는 신의 존재를 거부하며, 또 어떤 이는 신을 향한 믿음에 혼란을 느낀다. 이것은 현실의 우리가 종교를 대하는 견해들과 흡사하다. ‘신이 존재하는가’에서 시작해 ‘과연 어떤 신을 믿어야 할 것인가’ 하는 질문에 이르기까지, 작품 속 인물에게 던져진 질문이 독자에게 그대로 넘어오는 경험이야말로 오컬트를 읽는 이유이지 않을까.

“난 안 믿어. 눈에 보이지도 않는 그런 것들.”

믿지 않는다고 육성으로 말하는 순간 어렴풋이 깨달았다. 나는 알게 모르게 꿈과 악신, 그 모든 것을 다 믿고 있었다. 믿지 않겠다는 선언 자체가 사실은 악신을 믿고 두려워한다는 반증이었다. (58쪽)

이원은 자신의 가장 깊은 곳에 피어나는 의심과 두려움을 마주하고 깨닫는다. 믿지 않겠다고 다짐했지만 결국 신의 존재에 누구보다 깊게 몰입하고 있음을 말이다. 이 같은 순간을 통해 우리는 한 번쯤 ‘믿음’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점집의 무당도, 심지어 설조차도 이원에게 신을 믿으라고 종용하지 않는다. 결국 대상을 향한 믿음은 완벽한 자의로 만들어진다. 자신도 모르는 새에 조용히, 그것이 옳고 그른지도 분간할 수 없는 채로. 그러니 다른 누군가의 탓으로도 돌릴 수 없다.

결국 이원은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제 발로 어두운 미궁 속에 걸어 들어간다. “매듭도 보여야 풀 수 있”다는 설의 말처럼 자신을 옭아맨 지독한 고리의 시작을 향해 천천히 전진한다. 그러나 그건 어디까지나 이원이 풀어야 할 실타래다. 여전히 답변해야 할 질문이 그대로 남아 있다. 무엇을 믿을 것인가? 지금 당신의 곁에 신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수호신인가, 악신인가? 질문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아 이 책의 결말을 확인하기를 바란다.

 

저자소개

저자 : 청예
점을 보러 가면 겉보다 안이 강하다는 소리를 종종 듣는 사람. 눈이 말똥말똥하여 귀신이 들어올 자리가 없다고 한다. 늘 작가의 말로 변명할 때가 가장 곤욕스럽다.
2023년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북트레일러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