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2D 뒤표지

마르쿠스 가브리엘 큰글자책


  • ISBN-13
    979-11-288-2822-5 (04160)
  • 출판사 / 임프린트
    커뮤니케이션북스㈜ / 커뮤니케이션북스
  • 정가
    2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4-0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김남시
  • 번역
    -
  • 메인주제어
    철학: 형이상학, 존재론
  • 추가주제어
    서양철학: 1800년부터
  • 키워드
    #신실재론 #존재론 #의미장 #다원주의 #실존주의 #도덕적실재론 #객체지향존재론 #예술 #철학: 형이상학, 존재론 #서양철학: 1800년부터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210 * 290 mm, 109 Page

책소개

마르쿠스 가브리엘의 신실재론은 모든 존재를 포괄하는 ‘세계’ 개념을 과감히 폐기해 존재론적 다원주의의 장을 연다. 인간의 마음, 도덕적 가치, 픽션 속 등장인물 모두 물질적으로 환원할 수 없는 실재다. 이 책은 상식과 익숙한 철학적 관점을 뒤흔드는 가브리엘의 사유를 열 가지 키워드로 정리했다. 탈진실의 시대, 다시 존재를 이야기하는 철학으로 세계 속 우리의 위치를 가늠해 보자.

목차

마르쿠스 가브리엘은 누구인가
 

01 중립적 실재론

02 존재론적 다원주의

03 정신-세계 이원론

04 의미장 존재론

05 존재론적 기술주의

06 생각과 생각함

07 신실존주의

08 도덕적 실재론

09 예술의 힘

10 의미장 존재론과 객체지향 존재론

본문인용

사실상 가브리엘의 신실재론은 우리의 상식적 관점(“내가 보는 사물이 내가 보는 대로 실재한다”)을 대변하지만, 이런 상식적 관점을 철학적으로 논증하려면 비상식적으로 여겨지는 테제(“세계는 존재하지 않는다”)가 제기되어야 한다. 거꾸로 보자면 이는 신실재론이 극복하려는 기존 철학이 상식화된 믿음(“존재하는 모든 것이 속하는 하나의 세계”)에 기초해 비상식적 논제(“사물은 우리가 지각하는 대로 존재하지 않고 우리는 사물에 대해 알 수 없다”)를 옹호해 왔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가브리엘을 읽는 일은 우리의 건전한 상식과 우리에게 익숙한 철학적 관점을 재전도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_“마르쿠스 가브리엘은 누구인가” 중에서

 

신실재론은 정신-세계 이원론의 근본적 전환을 촉구한다. 실재의 참된 인식을 위해 “그 어디도 아닌 곳에서 바라보는 시점”을 요구하는 정신-세계 이원론은, 우리는 우리가 경험하는 사물들과 함께 이미 “세계의 한복판에 있다”는 사실을 간과한다. 우리는 외부세계로부터 고립되어 “일종의 영화관에 앉아 현실이라는 제목의 영화를 관람”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언제나 현실을 어떤 구체적 지점에서 바라볼 뿐이다. 우리는 매번 그 어딘가에서 바라볼 뿐, 절대로 ‘그 어디도 아닌 곳’에서 관찰할 수 없다”.

_“03 정신-세계 이원론” 중에서 

 

무엇인가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특정 의미장에 대한 주장이다. “일각수는 존재하지 않아”라는 주장이 “일각수는 물리 실험실의 의미장에 나타나지 않는다”라는 뜻이라면 타당하다. 하지만 “일각수 같은 건 어디에도 없어”라는 주장은 틀렸다. 독일 영화 <마지막 일각수>에는 일각수가 등장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그 의미장에 나타나는 일각수를 묘사할 수 있고 그 묘사의 참과 거짓을 구별할 수도 있다. “마녀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주장은 “지금 내가 타고 가는 지하철 칸에는 마녀가 없다”라는 뜻이라면 참일 수 있지만 “마녀 따위는 없어”라고 주장하면 거짓이 된다. 영화 <위치크래프트>에는 마녀가 등장하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 집 냉장고에 맥주가 없다’는 사실에 근거해 “맥주는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주장하는 것과 같다.

_“05 존재론적 기술주의” 중에서

 

작가는 사실적 상황의 토대 위에서 의미장을 수립하고 거기 등장하는 대상들의 객관적인 나타남의 구조를 고려해 플롯을 구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작가는 자신이 구성해 낸 의미장과 그 안에 등장하는 대상들이 그의 정신적 ‘무대’ 위에서 벌이는 수행을 관찰한다. 이 수행은 때로 작가 자신의 애초 의도와 맞서기도 한다. 예술 작품이 스스로 수행하는 것이다.

_“09 예술의 힘” 중에서

서평

영화 속 외계 생명체는 “존재”할까?

마음, 생각과 픽션 속 존재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실재론

 

포스트모더니즘은 ‘사실은 없고 오직 해석만 있을 뿐’이라는 태도로 여러 정치적·사회적 위기를 초래했다. 이른바 ‘탈진실’의 시대, 우리는 포퓰리즘의 선동과 온갖 음모론에 둘러싸여 있다. 1980년생 젊은 철학자 마르쿠스 가브리엘은 이 위기 상황을 극복할 돌파구를 새로운 실재론에서 찾는다. “새로운 계몽”을 수행할 실천적 사유, 인식에 밀려 철학에서 배제되었던 존재를 다시 이야기하는 철학, 바로 ‘신실재론’이다.

가브리엘은 모든 것을 포괄하는 형이상학적 ‘세계’ 개념을 과감히 폐기해 구실재론의 한계를 넘어선다. 존재한다는 것은 곧 각기 다른 맥락과 배경, 즉 ‘의미장’에 나타나는 것이다. 직접 보고 만질 수 있는 사물들뿐 아니라 상상이나 픽션의 의미장에 나타나는 외계 생명체, 일각수, 마녀도 엄연히 실재한다. 신실재론은 물질적인 것과 비물질적인 것 사이 매겨진 위계를 무너뜨리고 존재론적 다원주의의 장을 연다. 이로써 우리는 두뇌의 물리ᐨ화학적 작용으로 환원할 수 없는 인간의 마음, 자연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도덕적 가치, 실재로서 예술의 창작과 해석 과정을 적극 논할 수 있게 된다. 

이 책은 상식과 익숙한 철학적 관점을 뒤흔드는 가브리엘의 사유를 열 가지 키워드로 정리했다. “의미장 존재론”, “존재론적 기술주의” 등 가브리엘 신실재론의 핵심 테제를 살피며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도발적 주장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의미장 존재론이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 존재론”과 어떤 면에서 같고 다른지 비교 고찰하기도 한다. 이 시대 중요한 철학적 논제를 새로운 눈으로 바라볼 수 있다.

 

마르쿠스 가브리엘(Markus Gabriel, 1980∼ )

동시대를 지배하는 회의주의와 구성주의에 맞서 새로운 철학적 기반을 갖춘 실재론을 제안한 독일 철학자다. 독일 본대학교 인식론·근현대철학 담당 교수로, 2009년 28세에 독일 역사상 최연소 교수가 된 것으로 유명하다. 도덕적 상대주의와 포퓰리즘, 탈진실 등 우리 시대가 직면한 사회적·정치적 문제들과 대결하는 철학적 실천이 오늘날 철학의 주요한 임무라고 여긴다. 신실재론의 기본 프로그램을 제시한 ≪왜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가≫, 인간의 마음을 뇌의 전기·화학적 작동으로 설명하려는 신경중심주의를 비판한 ≪나는 뇌가 아니다≫ 등 철학적 논의를 대중적으로 소개하는 저서들이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했다.

저자소개

저자 : 김남시
2013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에서 문화이론 및 미학 담당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미학을 전공한 후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문화학과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마르쿠스 가브리엘의 ≪예술의 힘≫을 우리말로 옮겼다. 그 외에 발터 베냐민의 ≪모스크바 일기≫, 프리드리히 키틀러의 ≪축음기, 영화, 타자기≫(공역), 아비 바르부르크의 ≪뱀 의식≫,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의 ≪과거의 문턱≫ 등을 번역했다. 동시대 철학, 미학적 논의와 예술적 실천에 관심을 두고 비평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