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2D 뒤표지

천 년을 노래한 12줄의 가얏고 [기초편]


  • ISBN-13
    979-11-6003-700-5 (13670)
  • 출판사 / 임프린트
    창조와 지식 / 창조와 지식
  • 정가
    16,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2-28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주영희 , 김도훈
  • 번역
    -
  • 메인주제어
    현악기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국악 #가야금 #가야금병창 #음악 #현악기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210 * 297 mm, 105 Page

책소개

"세상에 아름답지 않은 ‘음악’은 없습니다. 세상에 훌륭하지 않은 ‘악기’는 없습니다." 
이 땅에서 처음 생겨난 악기이고, 우주의 이치, 자연과 시간의 흐름, 음양의 조화, 삼라만상을 한 몸에 담고 있는 악기이며 악기의 이름 앞에 ‘가야’라는, 한 나라의 국호(國號)가 붙은 악기는 가야금이 유일할 것입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악기인 가야금이야말로, ‘국민악기’ 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야금으로 노래 한두 곡 정도는 연주할 수 있는 세상이 왔으면...’ 
그 꿈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첫걸음으로, 이 책을 집필합니다. 
하나의 예술적 취미를 향유함으로써, 현대인들에게는 더욱 수준 높은 생활이 영위됨은 물론 정서적으로도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목차

저자의 말[승암 주영희] 
저자의 말[김도훈] 
제1부 ‘가야금’을 알아볼까? 
1. ‘가야금’의 역사와 유래 
2. ‘가야금’의 종류 
3. ‘산조가야금’의 구조와 명칭 
4. 바른 연주 자세 
5. 가야금 줄 조율하기 
6. 줄과 돌괘, 학슬 연결하기 
7. 부들 매기 
8. ‘가야금병창’이란? 
9. 쉬어가기 

제2부 ‘가야금’을 배워 보자 
1. 오선지 악보의 음표와 박자 
2. ‘가야금’에 쓰이는 기호와 연주법 
3. ‘가야금’의 12음 
4. 오른손 주법 1단계 
[식지 뜯기] -비행기 -봄 나들이 
[튕기기] -학교종 -잘잘잘
[뒤집기] -꼬마 눈사람 -태극기 -도깨비나라 -맴맴 -오빠 생각 
5. 왼손 주법 1단계 
[눌러서 음 만들기] -앞니 빠진 중강새 -고요한 밤 거룩한 밤[1] -고요한 밤 거룩한 밤[2] 
[눌러서 음 만들기] 연습하기 -산토끼 -나비야 
6. 오른손 주법 2단계 
[집기] 쌤과 함께 -내 친구 소고도령 
[집기] 연습하기 -참새 노래 -두꺼비집이 여물까 
[장지로 연주] -아리랑(쉽게) 
[겹집기] -꼭꼭 숨어라 -퐁당퐁당 
[당겨뜯기] -잠자리 꽁꽁 제3부 가야금병창, 연주곡 
[곰 세 마리] [꼬마야 꼬마야] [모두 다 꽃이야] [반달] [생일 축하 노래] [섬집 아기] [어린이날 노래] 

제4부 에필로그 
1. 저자 약력 [승암 주영희] [김도훈] 
2. 참고 문헌

본문인용

가야금은 우리나라의 전통 현악기 가운데, 가장 널리, 가장 많이 알려진 악기이며 이 책의 제목에 쓰인 ‘가얏고’라는 이름으로도 불렀습니다. 
신라시대 3현(가야금, 거문고, 향비파) 3죽(대금, 중금, 소금)의 하나로서, 『삼국사기』의「악지」 에 의하면, 6세기(501~600년)경 대가야국의 가실왕(伽實王)이 중국의 ‘쟁’을 보고서, 가야의 실정에 맞는 현악기인 가야금을 만들었고, 당시 왕실의 악사였던 우륵(于勒)에게 곡을 만들어 연주하게 했다고 합니다. 
(중략) 가야금은 오동나무로 만든 울림통 위에 명주실로 만든 12개의 줄을 걸어 연주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악기입니다. 
줄은 12개의 안족(雁足)으로 받쳐져 있으며 돌괘와 부들에 의해 고정되어 있습니다. 
오른손으로 줄을 뜯거나 튕기고 왼손으로 줄을 눌러 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약 1400여 년 전에 만들어진 고대 가야금의 모습을 가장 비슷하게 담고 있는 풍류가야금(법금, 정악가야금이라고도 부름)과, 19세기 말엽에 민속악, 산조 등을 연주할 수 있도록 크기를 축소한 산조가야금, 그리고 줄의 수를 15, 18, 25현 등으로 늘려서 만든 개량가야금 등이 있습니다.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주영희
승암 주영희 
-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9호 가야금병창 전승교육사 및 보존회장
- 국가무형문화재 승무 이수자 
- 신라 선 예술단장 
- (사)한국국악협회 이사 
- 경주대학교 문화유산학부 특임교수 
- 부산 민속 전국 전통예술경연대회 대통령상 
- 제19회 무안 전국 승달국악대제전 국무총리상 
- 시사투데이 2023 대한민국 사회공헌대상(문화인 대상)
저자 : 김도훈
김도훈 
-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가야금병창 이수자 
- 국가무형문화재 가야금산조및병창 이수자 
- (사)신라전통예술연구회 대표이사 
- (사)한국국악협회 경상북도지회 이사 
- (사)우리춤협회 대구 ․ 경북지회 부지회장 
- (사)보훈무용예술협회 경주지부 이사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국악분야 예술강사(경상북도) 
- 제15회 무안 전국 승달국악대제전 대통령상 
- 제7회 칠곡 향사 가야금병창 전국대회 향사대상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