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변혁적 시민교육 교수법


  • ISBN-13
    979-11-6919-175-3 (93370)
  • 출판사 / 임프린트
    한국문화사 / 한국문화사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1-1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추병완 , 한은영 , 김진하 , 김하민 , 이동현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수기법
  • 추가주제어
    사회학 및 인류학 , 사회학 , 교육 , 교육과정 계획 및 개발
  • 키워드
    #교수기법 #사회학 및 인류학 #사회학 #교육 #교육과정 계획 및 개발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74 * 245 mm, 308 Page

책소개

변혁적 교수법(transformative pedagogy)은 지식과 기술의 전달을 넘어 학습자가 자신의 신념, 가정, 사회규범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자신의 삶과 공동체의 변화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권면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시민교육에서 변혁적 교수법은 학생들에게 자신의 지역사회와 사회 전체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참여적인 시민이 되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그것은 사실과 법칙에 대한 암기를 넘어 의미 있고 지속적인 학습 경험을 창출하고자 한다. 또한, 그것은 비판적 사고, 사회적 의식, 사회 정의에 대한 헌신을 함양함으로써 기존의 권력, 특권, 불평등 시스템에 도전과 재구성을 추구한다. 
― 머리말 중에서

목차

머리말

 

 

1장 변혁적 교수법

 

1 시민교육의 토대로서 민주주의

 

2 증거 기반 시민교육

 

3 변혁적 교수법의 필요성

1) PEACE 교수법
2)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3) 이벤트 기반 학습(Event-based learning) 
4) 스토리텔링(storytelling)
5)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6) 프로젝트 기반 학습
7) 문턱 개념 활용
8) 브리콜라주(Bricolage)

 


2장 시민성 함양을 위한 변혁적 교수법

 

1 건설적 논쟁 수업

1) 건설적 논쟁 수업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2) 건설적 논쟁 수업의 절차 
3) 운영상 유의 사항 및 교사의 역할

 

2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1) 플립드 러닝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2) 플립드 러닝의 절차
3) 운영상의 유의점 및 교사의 역할

 

3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1) 문제중심학습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2) 문제중심학습의 절차
3) 운영상의 유의점 및 교사의 역할

 

4 시뮬레이션 학습(Simulation Learning)

1) 시뮬레이션 학습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2) 시뮬레이션 학습의 절차
3) 운영상의 유의점 및 교사의 역할

 

5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 Based Learning)

1)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2)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절차
3) 운영상의 유의점 및 교사의 역할

 

6 봉사 학습(Service Learning)

1) 봉사 학습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2) 봉사 학습의 절차
3) 운영상의 유의점 및 교사의 역할

 


3장 변혁적 교수법을 활용한 시민교육의 실제

 

1 건설적 논쟁 수업을 활용한 시민교육의 실제

1)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건설적 논쟁 수업
2) 디지털시민성 함양을 위한 건설적 논쟁 수업
3) 다문화시민성 함양을 위한 건설적 논쟁 수업
4) 글로벌시민성 함양을 위한 건설적 논쟁 수업
5)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건설적 논쟁 수업

 

2 플립드 러닝을 활용한 시민교육의 실제

1)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플립드 러닝
2) 디지털시민성 함양을 위한 플립드 러닝
3) 다문화시민성 함양을 위한 플립드 러닝
4) 글로벌시민성 함양을 위한 플립드 러닝
5) 생태 시민성 함양을 위한 플립드 러닝

 

3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시민교육의 실제

1)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2) 디지털시민성 함양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3) 다문화시민성 함양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4) 글로벌시민성 함양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5)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4 시뮬레이션 학습을 활용한 시민교육의 실제

1)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시뮬레이션 학습
2) 디지털시민성 함양을 위한 시뮬레이션 학습
3) 다문화시민성 함양을 위한 시뮬레이션 학습
4) 글로벌시민성 함양을 위한 시뮬레이션 학습
5)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시뮬레이션 학습

 

5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한 시민교육의 실제

1)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2) 디지털시민성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3) 다문화시민성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4) 글로벌시민성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5)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6 봉사 학습을 활용한 시민교육의 실제

1)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봉사 학습
2) 디지털시민성 함양을 위한 봉사 학습
3) 다문화시민성 함양을 위한 봉사 학습
4) 글로벌시민성 함양을 위한 봉사 학습
5)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봉사 학습


저자 소개

본문인용

1장

변혁적 교수법
 

 

“과두 정치에서 군주의 횡포는 민주주의에서 시민의 무관심만큼 공공복지에 위험하지 않다.” - Charles de Secondat Montesquieu (1748/1990) -

“정치는 자유민의 권리와 특권을 보호하는 모든 시민의 비상근 직업이 되어야만 한다.” - Dwight D. Eisenhower (1954) -


위의 인용문은 오늘날 시민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몇 가지 영속적인 도전을 잘 포착한다. 우리는 학생들이 정치 공동체의 사회적·정치적 삶에 기여하는 적극적이고 책임 있는 민주 시민이 지녀야 할 지식, 기술, 태도를 함양하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 자신의 권리뿐만 아니라 동료 시민의 권리를 수호하고 보호하려는 의지가 강한 시민을 우리는 어떻게 육성할 수 있는가?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학교의 이상적인 역할은 무엇일까?
시민교육은 일반적으로 한 국가 내의 시민들이 민주 사회의 능동적이고 정보에 입각한 구성원으로서 그들의 권리, 책임과 역할에 대해 교육을 받는 과정이다. 시민교육의 주요 목표는 개인들이 지역사회와 공동체에 효과적으로 참여하고, 시민 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며, 국가의 기능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갖추게 하는 것이다. 이렇듯 시민교육은 개인이 자신의 권리와 책임을 이해하고, 정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지식과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함으로써 민주 사회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민교육은 “시민들이 민주주의 정치에 내재하는 가치와 규범을 지지할 때 민주주의가 효과적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라는 믿음에서 작동한다(Finkel & Ernst, 2005: 334). 이 전제는 대부분의 학교에 기반을 둔 시민교육 프로그램에 논란의 여지가 없는 자명한 것이다. 하지만 시민교육은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이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적절한 고려로 시행되지 않는다면 심각한 모순과 그 효과를 훼손하는 문제로 가득 찰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민주적 정치 체제와 시민성의 기초가 되는 중심 가치와 관념을 먼저 개괄하고자 한다.

 


1. 시민교육의 토대로서 민주주의

 

오늘날 우리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시민교육이라는 용어는 민주주의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민주주의 자체는 지난 2,500년의 역사를 통해 매우 다른 형태를 취했기 때문에 사실상 정의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개념이다. 그렇지만, 모든 민주 체제의 중심 특성은 직접 민주주의나 간접 민주주의와 같은 여러 절차적인 기제를 통해 구현되는 국민에 의한 통치 개념이다. 현대 민주주의는 평등의 원칙을 통합했고, 국가의 모든 성인을 포함하도록 정치적 권리를 확대했다. 이러한 민주적 정부의 구조적 또는 절차적 측면은 선거권, 출마권,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정치적 정책 형성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등 시민들이 가지고 있는 일련의 실질적인 권리와 책임을 수반한다. 
민주주의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국가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롭게 개인의 자율성과 개인의 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적인 영역의 획정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적 영역은 사람들이 자유롭고 자율적인 개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민주적 참여와 관여를 지속하는데 필요한 행위 주체성 의식에 기여한다. 현대 자유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표현의 자유, 양심의 자유, 결사의 자유처럼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특정 권리가 보장된다. 이러한 권리들은 개인의 자율성을 보호하고, 정보의 공유와 마음이 맞는 다른 시민들과 교제함으로써 현대 민주주의의 시민들이 공적 영역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행동의 자유를 보장하는 정치적 목적을 수행한다. 이러한 권리의 법적 보장은 다수결 원칙이나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에 의한 소수자 착취에 대한 견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시민교육을 통해 우리가 길러내고자 하는 이상적인 민주 시민의 핵심 특징은 무엇인가? 이상적인 민주 시민의 개념은 문화적·역사적·철학적 맥락에 따라 어느 정도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시민들이 민주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데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핵심적인 특징들이 분명히 존재한다.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추병완
강원 원주고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과 대학원에서 윤리교육을 전공하였다. 1996년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도덕교육을 전공하여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8년부터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2023년부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2019년부터 춘천교대 시민교육역량강화사업단장으로 활동하면서 최근에는 시민교육 관련 교육과 연구에 전념하는 중이다. 주요 저서로 『도덕심리학 핸드북』, 『다문화 시대의 반편견교육론』, 『통일교육과 시민교육』, 『신경윤리학과 신경도덕교육』, 『도덕교육 탐구』, 『긍정 도덕교육론』, 『회복탄력성』, 『도덕교육의 이해』, 『도덕교육의 새 지평』, 『문화 감응 교육학』, 『다문화 사회에서 반편견 교수 전략』, 『다문화 도덕교육의 이론과 실제』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 『문화 지능』, 『도덕·시민교육의 철학적 이해』, 『행동윤리학』, 『시민공화주의와 시민교육』,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 교수법: 건설적 논쟁의 이론과 실제』, 『긍정심리학의 강점과 약점』, 『신경과학과 교육』, 『평화교육』, 『미래사회를 위한 준비: 도덕적 생명 향상』, 『도덕 발달 이론』 등이 있으며, ‘행동 윤리학 렌즈로 본 시민교육’을 비롯하여 110편 이상의 논문을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저자 : 한은영
호주 킹스턴 칼리지를 졸업하고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다문화교육을 전공하여 교육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서호주 주요기관에서 6년동안 통역 담당 매니저로 재직하였다. 2018년 귀국 후에는 고성 도서관에서 지역주민을 위한 영어강사로 활동하였다. 현재 춘천교욱대학교 시민교육 역량강화 사업단의 전임연구원과 다문화사회전문가로 활동하면서 호주의 시민교육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호주 다문화교육 전문강사로도 활동중이다. 주요관심 분야에는 시민교육, 다문화교욱, 평화교육이다. 대표 저서로 민주 시민을 위한 평화교육 입문, 세계의 시민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핸드북, 세계시민교육 핸드북이 있고, 대표논문으로 호주의 초등학교 세계시민교육, 호주의 세계시민교육, 인도네시아 외국인 노동자의 회복탄력성 요인 분석, 외국인근로자 회복탄력성이 있다.
저자 : 김진하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학사 및 석사를 취득하고, 박사를 수료하였다. 현재 개봉중학교에 근무하고 있다. “서사적 정체성 발달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방안 연구”로 석사 학위 논문을 작성하였으며, 도덕적 정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중이다.
저자 : 김하민
서울교육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박사를 졸업하였다. 현재 서울월정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다. “도덕과 실천윤리 교육 체계화를 위한 상황인지 학습이론 활용 방안 연구”로 박사논문을 작성하였으며, 현재 인공지능 윤리를 비롯한 초등 실천윤리 교육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저자 : 이동현
인천대학교에서 윤리학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석사를 취득 후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현재 시흥능곡중학교에 근무하고 있다.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의 도덕과 형성평가 적용방안 연구”로 석사 학위 논문을 작성하였으며, 현재 도덕과 평가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안녕하세요. 한국문화사입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