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 업계의 거인들은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친근한 너드 신인척하는 걸 멈추고 아이들에게 중독성 있는 제품을 판매하는 티셔츠 차림의 담배 재배 농부일 뿐이라는 걸 인정해야 한다. 소셜 미디어에서 ‘좋아요’를 확인하는 행위는 새로운 흡연이기 때문이다. _칼 뉴포트(Cal Newport)
___016p
소셜 미디어의 알고리즘은 여러분이 플랫폼에서 최대한 오래 머물기를 원하고, 소셜 미디어의 의도대로 만들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콘텐츠가 여러분을 행복하게 해주는 콘텐츠일 필요는 없다. 여러분을 계속 머무르게 할 콘텐츠라면 이게 여러분을 슬프거나 화나게 만들더라도 상관없다.
하기 쉬운 활동은 잠재의식에서 내적 저항을 일으키지 않는다. 게다가 이 활동을 뇌에서 보상으로 인식한다면 이 활동에 매우 강력한 매력을 느낀다. 이로 인해 소셜 미디어 뒤에 있는 중독 메커니즘이 더 강력해진다.
그런데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 여러분은 이 모든 조작적 메커니즘에 특히 취약하다.
___039p
일, 뉴스, 소셜 미디어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주의를 전환하는 것을 작업 전환이나 멀티태스킹이라고 한다. 컴퓨터 중앙 처리 장치의 작동 방식을 아는 사람이라면 작업 전환이 무엇인지 알 것이다. 간단히 말해 여러 스레드를 실행하면서 각 스레드가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스레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을 가리키는데, 이는 컴퓨터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피하는 게 좋다.
모든 작업 전환이 많은 멘탈 에너지를 쓰는 건 아니지만 종일 작업 전환을 반복하면 낭비되는 에너지가 누적된다. 하루가 끝날 무렵에는 지쳤다고 느낄 게 분명하다.
___063p
주위 사람들이 무심결에 당신에게 얼마나 많은 한계를 주입할 수 있는지 절대 과소평가하지 마라. 심리학에는 ‘크랩 멘탈리티(crab mentality)’라는 이론이 있다. 게 여러 마리를 양동이에 넣었을 때 일어나는 일을 묘사하는 비유에서 유래한 말이다.
양동이에 게 한 마리를 넣어 두면 기어 나와서 사라진다. 하지만 여러 마리를 넣어 두면 한 마리도 탈출하지 못한다. 모든 게가 동시에 탈출하려 시도하다가 결국 서로를 끌어내린다.
___142p
나는 상대적으로 더 빈곤한 동유럽 국가에서 영국으로 이민 왔을 무렵 크랩 멘탈리티를 본 적이 있다. 처음에는 그다지 훌륭하지 않은 도시의 노동자 계층 지역에 거주했다. 하지만 그 도시조차도 내가 떠나온 고국의 도시보다 훨씬 더 부유했다.
내가 보기엔 사방에 기회가 널려 있었다. 진짜 부자가 되는 방법이 아주 명확하게 보였던 건 아니지만, 안락한 중산층 생활로 진입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은 매우 명확해 보였다.
___143p
그중 일부는 질투심을 느끼고 당신의 경력 발전을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방해하려 할 수 있다. 부자는 나쁘다고 끊임없이 얘기하거나 당신의 근면한 직업의식을 비웃을지 모른다.
그러므로 ‘크랩 멘탈리티’가 발현되지 않도록 주의하라. 그리고 그런 상황에 처한 것을 깨닫게 된다면 가능한 빨리 거기서 벗어나라.
물론 당신을 끌어내리는 사람이 가족이나 어릴 적 친구여서 완전히 끊어낼 수 없을 때도 있다. 그들이 항상 질투나 악의에 사로잡혀 그렇게 행동하는 건 아니다. 진심으로 좋은 조언을 한다는 생각에 그렇게 말할 수도 있다.
그럴 때는 그들과의 연락을 최소로 유지하라. 연락을 끊지 말고 가끔 만나라. 하지만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라. 가장 깊은 사적 영역까지는 들어오지 못하게 하라.
___157-158pp
수도자처럼 생각한다는 건 일상적인 사건이 무작위로 발생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고 생활양식을 의도적으로 설계하는 것을 가리킨다. 생활양식도 무작위로 설계하는 게 아니라 자신이 선택한 영역에서 가능한 한 최고가 될 수 있도록 한다.
___243p
한 직군의 엘리트에게 통하는 방법은 다른 직군의 엘리트에게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트 프로그래머가 되기를 열망하는 사람이 수도자처럼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고 가끔이라도 ‘수도자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면 얻는 게 많을 것이다.
___247p
여가 활동은 시간 낭비가 아니다. 당신이 더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다. 운동과 관련된 비유를 들자면 근육은 체육관에서 훈련할 때가 아니라 휴식할 때 성장한다. 똑같은 원칙이 업무의 모든 분야에 적용된다. 신체적 활동이든 지적 활동이든 마찬가지다.
___26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