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_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1부 귀한 딸을 위한 노래
귀하디귀한 우리 여아
글 배우는 귀녀
죽고 없는 아내를 대신하여, 아버지가 딸에게
그리운 아내, 남겨진 딸자식
딸에게 주는 경계의 말
아버지가 널 키울 적에
시집간 딸을 그리워하며
귀녀에서 부녀로의 꿈과 욕망
파혼을 권하는 오빠, 파혼을 거부하는 부녀
부녀, 부자가 되기로 결심하다
2부 세상 밖으로
변화를 마주한 여성들
가사, 구여성의 목소리를 세상으로
시골 여자는 무엇이 그리 서러웠을까
남편의 사랑을 갈구하는 여성 주체의 등장
시골 여성의 억울함은 여성 모두의 문제
신문물에 대한 구여성의 냉소
신여성, 가사로 근대 서울을 묘사하다
근대의 낯선 풍경, 그저 바라보고 기록할 뿐
3부 독립을 위한 열망은 남자와 다르지 않다
독립을 위해 이주하는 여성들
만주로 가는 길, 고생길의 시작
가족의 정으로 고단한 삶을 견디며
독립에 대한 여성들의 열망
4부 우리들의 연대, 여성으로 산다는 것은
인생의 전환점, 여성들의 시집가기
시댁을 바라보는 여성들의 시선
여성을 위로하는 여성들
시집살이에 대한 여성들끼리의 공감
여성의 존재감, 시댁의 일원 되기
눈 오는 날 봄바람 같은 친정 나들이
노래 지어 위로받고
노래로 대신한 바깥나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