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이 사랑하고 전 세계가 열광한 제인 오스틴의 대표작이다. 제인 오스틴의 소설은 그러나, 당대 문호들로부터 적잖은 비난을 받기도 했다. D. H. 로렌스는 오스틴을 “형편없고 비열하고 속물스러운 의미에서 영국인답다”라고 혹평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비열하고 속물스러운” 것은 오스틴이 아니라, 오스틴이 그리고 있는 세계, 즉 재산을 노리는 사람들이 횡행하고 계층, 돈, 인맥이 지배하는 중상류층 사회다.
오스틴은 전통적인 계층 구조가 존재하고 신흥 중산층의 계층 상승 욕구가 팽배한 영국 사회를 누구보다도 솔직한 시선으로 그려 냈다. 이 책이 200년을 넘는 긴 세월 동안 무수한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던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엘리자베스와 다시의 로맨스가 계층과 돈으로 옥조이는 현실을 벗어나게 하는 해방감을 느끼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 누구보다도 감정의 이입 없이 공정하고 예리한 시선으로 금권 지향적인 사회를 직시하고, 개인의 내밀한 욕망을 폭로하며 풍자한 오스틴의 소설에는 ‘재산을 노리는 구혼자(fortune hunter)’들이 난무한다. “재산이 별로 없는 아가씨들이 명예롭게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생계 대책이 결혼”이었던 것이 당시의 엄연한 현실이었다. 엘리자베스는 이러한 현실의 압박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분별력이나 감성을 희생하지 않고도 결국 사랑과 행복, 재산과 사회적 지위까지 얻어 낸다. 엘리자베스의 친구 샬럿이 미래 생활을 보장받기 위해 조금도 사랑하지 않는 남자와 결혼하는 것과는 크게 상반되는 모습이다.
이 책에 담긴 고전적인 로맨스의 패턴 또한 이 소설에 불변의 매력을 더해 주고 있다. 오만함이 당연할 정도로 모든 것을 갖추고 있는 남자가 외적 조건이 빈약한 여자를 사랑하고 그 여자에게 거절당하면서 굴욕적인 과정을 겪고 반성하며 더 나은 인간으로 변모하는 과정은 아직까지도 수많은 여성 독자들의 가슴을 설레게 한다. 한편 여주인공도 사랑을 깨달으며 자기 성찰의 과정을 겪는다. 이처럼, 사랑을 시작할 때는 오만과 편견을 버려야 함을 제인 오스틴은 가장 우아한 방식으로 그려 내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