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젠더퀴어(Gender Queer: A Memoir)


  • ISBN-13
    979-11-288-9218-9 (07840)
  • 출판사 / 임프린트
    커뮤니케이션북스㈜ / 학이시습
  • 정가
    13,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05-17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마이아 코베이브
  • 번역
    이현
  • 메인주제어
    그래픽노블, 만화: 회고록, 실화, 비소설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그래픽노블, 만화: 회고록, 실화, 비소설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4 mm, 276 Page

책소개

논바이너리이자 에이섹슈얼로 정체화한 저자가 가족과 사회에 커밍아웃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그래픽 자서전, 회고록이다. 『펀홈』의 번역자 이현이 옮기고,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 루인이 해설했다. 정체성에 질문을 던지고 있는 사람들, 퀴어로 정체화한 사람들뿐 아니라 그들을 더 잘 이해하고자 하는 모두를 위한 이야기다.

목차

한국어판 저자 서문

본문

해설

본문인용

서평

늘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입고 있는 것 같았다. 10대와 20대 초반 내 가장 큰 관심사는 이것이었다. 나는 ‘무엇’인가? 나는 도대체 어디에 속하는 사람인가?

- 저자 인터뷰,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National Public Radio)

 

결국 나는 작가이며 예술가다. 세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내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은 이야기를 활용하는 것이다. … 단 한 명의 논바이너리나 퀴어, 트랜스젠더 독자라도 이 책에 자신의 경험을 투영할 수 있기를 소망하며 『젠더퀴어』를 만들었다.

- 한국어판 저자 서문 중

 

『젠더퀴어』는 논바이너리이자 에이섹슈얼로 정체화한 저자가 가족과 사회에 커밍아웃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자서전이다. 성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다루는 이 이야기는 오늘 우리에게 매우 유용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 책은 미국도서관협회에서 12~18세 청소년에게 특별한 영향을 미친 책에 수여하는 알렉스상, 퀴어의 경험을 다루는 데 탁월한 공로를 세운 책에 수여하는 스톤월상을 받았다. 그러나 동시에 “외설적이고, 노골적이고, 포르노적인 책”이라는 이유로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주에서 금서가 되었고, 보수 학부모 단체에 의해 학교 도서관에서 퇴출되었다. 이에 반발한 학생·학부모·교사 독자들이 반대 서명 운동과 도서 배포 운동을 벌여 지금은 10만 부 이상 팔린 책이 됐다. 저자는 “한 번도 보지 못했다면 상상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젠더퀴어의 삶을 보여 주는 이 책을 통해 지금까지 언어가 없어 이야기되지 않았던, 한 번도 드러나 보이지 않아 상상할 수 없었던 삶에 조금 더 가까이 갈 수 있다.

우리말로 옮긴 『젠더퀴어』는 『펀홈』의 번역자 이현,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 루인이 함께 만든 책이다. 원서에는 없고 한국어판에만 있는 것이 세 가지다. 첫째, 저자 서문이다. 책을 쓰는 동안 생각한 것, 책이 출간된 이후 일어난 일, 독자를 향한 바람 등이 담겼다. 책 바깥 저자의 삶 이야기는 한국 독자들만을 위한 특별한 선물이다. 둘째, 퀴어·젠더 감수성을 가지고 이 책을 옮긴 역자의 상세한 주석이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주요 용어나 미국 문화의 특성을 담은 표현 등에 설명을 덧붙였다. 특별히 저자가 읽은 퀴어 서적 목록에 원어 제목, 저자명, 번역서 제목 등을 더해 독자들에게 새로운 세상을 안내하고자 했다. 셋째,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와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에서 일하는 루인의 해설이다. 한국 맥락에서 ‘젠더퀴어’라는 용어의 역사와 계보를 살피고, 저자의 삶과 이야기의 사회적 의미를 짚고, 이 책과 이 책을 둘러싼 ‘논쟁’의 의의를 밝혀 독서의 외연을 확장한다. 또한 이 책을 읽기 전, 후 탐색에 도움을 주는 질문을 더해 독자들에게 구체적인 도움을 주고자 했다(하단 참조). 

『젠더퀴어』는 정체성에 질문을 던지고 있는 사람들, 퀴어로 정체화한 사람들만을 위한 책이 아니다. 그들을 알고 있거나 더 잘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 한 걸음 더 나아가 자신의 젠더와 성별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본 적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새로운 길을 열어 준다.

 

탐색을 위한 질문

▶ 성적 끌림을 탐색하기에 적절한 나이는 몇 살일까요? 그 나이에도 성적, 낭만적 끌림이 없는 사람은 어떤 반응을 하게 될까요?

▶ 『젠더퀴어』의 저자가 사는 캘리포니아는 퀴어에게 무척 우호적이고 다양성이 큰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신이 살고 있는 지역은 어떤가요? 그 지역에는 어떤 사람들이 살고 있나요? 지역에서 다양한 성적 지향과 젠더 정체성에 대한 정보, 지식, 네트워크를 찾을 수 있나요? 수어나 점자, 한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모두 그에 접근 가능한가요?

▶ 겉으로 보기에 성별이 모호한 사람을 만난 적이 있나요? 그때 당신은 어떻게 반응했나요?

▶ 잘 알지 못하는 정체성 범주를 마주했을 때, 처음 들어 보는 이름으로 자신을 불러 달라는 사람을 만났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정중한 반응은 무엇일까요?

▶ 가장 최근에 ‘처음 해 본 일’은 무엇인가요? 새로운 지식, 기술, 태도를 접하거나 배우기 위해 노력한 경험을 떠올려 봅시다.

▶ 방송을 비롯한 각종 미디어 콘텐츠에서 사람을 당연스레 ‘남성 아니면 여성’으로 나누거나 ‘이성을 사랑하는 존재’로 전제하는 것을 듣고 불편했던 적이 있나요? 그때 어떻게 대처했나요?

▶ 『젠더퀴어』는 청소년에게 부적절하고 선정적이라는 이유로 미국 학교 도서관에서 퇴출되었습니다. 청소년에게 적절한 것,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을 기준으로 나눌 수 있을까요? 청소년이 섹슈얼리티를 다루는 것이 금기시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청소년에게 적절한 성교육은 어떤 모습일까요?

저자소개

저자 : 마이아 코베이브
마이아 코베이브(Maia Kobabe)
성별 중립적인 대명사(e·em·eir)를 사용하는 논바이너리 퀴어 작가·일러스트레이터. 미국 캘리포니아주 베이에어리어(bay area) 출신이다. 프리랜서 전업 작가가 되기 전에는 십여 년 간 도서관에서 일했으며, 온라인 만화 일간지인 《닙(The Nib)》을 비롯하여 《뉴요커(The New Yoker)》, 《워싱턴 포스트》 등의 간행물과 다수의 앤솔러지에 단편 만화를 수록했다. 2019년 5월에 출간한 첫 장편 도서 『젠더퀴어』는 2020년 미국도서관협회(ALA)에서 알렉스상과 스톤월상을 수상했으나 2021년에는 선정성을 이유로 금서로 지정되는 등 정치적인 구설수에 올라 그해의 문제작으로 꼽혔다. 개인 홈페이지에서 그가 참여한 다양한 작품을 볼 수 있다(https://redgoldsparkspress.com/).
번역 : 이현
이현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전문 번역가로 일하고 있다. 퀴어·젠더 감수성을 살린 번역으로 『펀 홈: 가족 희비극』(2018)을 옮기고 『에이스가 되는 법: 어느 무성애자의 성장기』(2022)를 감수했다. 팬로맨틱 데미섹슈얼 젠더퀴어로 정체화했다.
해설 : 루인
루인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와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에서 일하고 있다. 트랜스젠더퀴어 인식론을 모색하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트랜스젠더의 역사: 현대 미국 트랜스젠더 운동의 이론, 역사, 정치』(2016)를 함께 번역했고, 『퀴어돌로지: 전복과 교란, 욕망의 놀이』(2021) 등의 책을 함께 썼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