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문명론 개략


  • ISBN-13
    979-11-5905-546-1 (03910)
  • 출판사 / 임프린트
    소명출판 / 소명출판
  • 정가
    34,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0-09-1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후쿠자와 유키치
  • 번역
    성희엽
  • 메인주제어
    인물, 문학, 문학연구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후쿠자와 유키치 #문명개화정책 #메이지유신
  • 도서유형
    종이책, 양장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3 mm, 618 Page

책소개

이 책은 근대 일본의 사상을 형성한 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론 개략』 원본을 저본으로 하여, 현대일본어 번역본으로는 알 수 없는 메이지 초기 서양개념어의 한자번역어(신한어)를 정확하게 살리고 후쿠자와 유키치만의 독특한 문체와 문장 스타일도 생생하게 번역한 것이 특징이다. 후쿠자와 유키치에 관한 일본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를 반영한 것은 물론 후쿠자와가 인용한 동서양의 고전, 행간의 의미나 역사적 비화에 관한 주해도 풍부하게 수록하였다.
1800년대 동아시아에서 가장 깊게 서양의 역사와 문화, 사상을 성찰한 책은 『문명론 개략』이 유일하다고 해도 좋다. 장기간 동안 지속적인 국가 발전을 이루기 위해, 다시 말해 개인의 자유와 창의를 보장하기 위해 자유, 공화, 독립자존이라는 서구의 근대적 가치를 동양에 가장 먼저, 가장 체계적으로 제시한 책이다. 이 책은 후쿠자와 유키치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일본 근대사, 일본 근대사상사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책으로 국내에서 메이지 이후 일본근대사와 근대사상사, 동아시아 근대개념사 등에 관심 있는 독자는 물론이고 후쿠자와 유키치를 연구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일러두기 3
역자 서문_ 1875, 혁명과 문명의 갈림길에서 6
역자 해제 15
머리말(緖言) 71
제1권
제1장 논의의 본위(本位)를 정하는 일 87
제2장 서양의 문명을 목적으로 하는 일 108
제3장 문명의 본지(本旨)를 논함 163
제2권
제4장 한 나라 인민의 지덕(智德)을 논함 193
제5장 앞 논의의 계속 233
제3권
제6장 지(智)와 덕(德)의 변별 267
제4권
제7장 지(智)와 덕(德)이 행해질 만한 시대와 장소를 논함 337
제8장 서양문명의 유래 373
제5권
제9장 일본문명의 유래 401
제6권
제10장 자국(自國)의 독립을 논함 485
참고문헌 541
부록 1_후쿠자와 유키치 연보 553
부록 2_역대 천황 계보도 556
부록 3_일본근대사 주요 연표(1853∼1911) 569
부록 4-1_<난학계제>(1783)에 언급된 네덜란드 도서 현황 573
부록 4-2_<난학사시>(1815)에 언급된 서양번역서 현황 576
부록 5_<역서독법(譯書讀法)>(1883)의 도서분류체계 및 서양번역서 목록 580
부록 6_양현당 목록 도서(1868) 현황 586
찾아보기 589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후쿠자와 유키치
1834년 12월 12일(음력) 일본 오사카 출생. 1836년 6월 나카쓰로 이주. 1854년 나가사키에서 유학 후 오사카로 가 오가타 고안의 데키주쿠(適塾)에서 난학을 배웠다. 1858년 에도 쓰키지 뎃포즈(鐵砲州)에서 자신의 난학숙(게이오대학의 전신)을 개설했다. 그 뒤 막부 사절단을 따라 세 차례 미국과 유럽을 다녀왔고, 이때의 경험을 토대로 서양사정 등을 저술하며 계몽활동에 전념했다. 메이지유신 뒤에는 메이로쿠샤(明六社)를 설립하여 학술활동을 하였고, 1879년 도쿄학사회(현재의 일본학사원) 초대 회장에 취임했다. 1882년에는 지지신보(時事新報)를 창간해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1901년 1월 25일(양력) 뇌출혈로 세상을 떠났다.
번역 : 성희엽
소명출판은 동아시아 인문학의 구축과 연대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바탕으로 1998년부터 현재까지 약 1700여 종의 책을 출간하고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