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매듭


  • ISBN-13
    979-11-89052-10-2 (0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나무향 / 나무향
  • 정가
    1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10-3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강연희
  • 번역
    -
  • 메인주제어
    에세이, 문학에세이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에세이, 문학에세이 #제주수필 #바람의섬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5 * 210 mm, 236 Page

책소개

제주 수필가, 강연희의 첫 번째 수필집이다. 강연희 수필가는 제주어문학상, 선수필동인문학상, 아르코 문학창작발표지원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을 통해 이미 문학적 역량을 인정받았지만, 『매듭』은 그 모든 경력보다 더 깊은 진심을 담고 있다. 삶의 고단함과 아름다움, 관계의 복잡함과 따뜻함, 그리고 글쓰기를 통해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이 책으로 엮여졌다. 총 5부로 돼 있다.

목차

제 1 부 바람의 섬

바람의 섬
이층(離層)
햇귀
배롱나무를 품다
소금단지
백모님과의 이별
가시
여름 밤바다에서


제 2 부 매듭

매듭
산방굴사를 오르며
새벽 불공
다른 이별
봄꿈
공짜 선물
동창들과의 만남
방패



제 3 부 갓을 품다

반닫이와의 인연
갓을 품다
내 인생의 내비게이션
천사 인형
엄마의 무릎
잊히지 않는 얼굴들
손난로
행복의 저울



제 4 부 촛 농 꽃

촛농꽃
궤를 열며
마음의 시계
소주 석 잔
아버지 별
행복 공작소
작은 기도
떡집 할머니의 실수



제 5 부 꿈꾸는 톨레도

모네의 정원
꿈꾸는 톨레도
동자석(童子石)
나목(裸木)
바람의 시간
섬이 보이는 풍경
음악으로 봄을 안으며
킨린코 호수에 남겨둔 소망

본문인용

세상살이는 만물과 사람들과의 관계 맺음이다. 인간과 인간, 인간과 일과의 관계 맺음으로 세상과 우주가 만들어진다. 관계 맺음이란 연결 고리로 이어지는 또 다른 매듭이다. 살아가면서 사람과 일에 매듭을 풀고 묶는 것은 수없이 겪게 되는 일이다. 매듭은 자신이 낀 안경 너머로 본 세상의 이치를 판단하는 기준일지도 모른다. 부질없는 가치로 매듭을 잘못 묶거나 풀 때는 인생이 송두리째 흔들릴 경우도 있다. 특히 사람과의 관계에서 잘못된 매듭은 가슴에 응어리가 되어 다시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만들기도 한다.
-「매듭」에서


바람은 머무르지 않고 끝없이 이동하며 변화를 이끌어낸다. 변화는 사람들의 생각의 방향을 바꾸고 사유의 깊이를 만드는 힘이 된다. 오늘보다는 나은 내일을 꿈꾸게 한다. 인생은 제주의 거친 맞바람을 마주하고 걸어가는 일이다. 예측할 수 없는 시련과 고통은 혹독한 바람으로 다가온다. 삶은 끊임없이 휘몰아치는 바람 앞에서 고난을 딛고 일어설 수 있는 지혜를 찾아가는 일인지도 모른다. 살아가면서 감내하기 힘든 바람을 이겨낼 때마다 조금씩 너른 품을 지니게 된다.
-「바람의 섬」에서

반닫이는 속정을 내색하지 않는 제주 여인의 은근한 마음이 배어 있는 듯하다. 험난한 세상사로 표출되는 형형색색의 감정을 마음속 깊이 삭이는 여인네의 모습이 보인다. 반닫이에는 외할머니와 친정어머니와 나의 한숨과 눈물과 기쁨이 둔중하게 스며있다. 반닫이의 무게보다 무거운 침묵이 내려앉는다. 침묵은 남은 생을 잘 살아내기 위한 결연한 의지이다.
-「반닫이와의 인연」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옛 물건들도 우리 곁에서 사라지고 있다. 현재는 과거의 영속된 시간에서 영글어 간다. 미래는 현재의 시간이 축적된 산물이다. 지켜야 하는 것들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도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본연의 아름다운 가치를 지니고 있다. 잊히고 사라져 가는 소중한 것들을 찾아내고 지켜야 하는 이유이다. 귀한 것일수록 쉬이 보이지 않는다. 물건마다 지닌 고유한 천성과 품은 향기가 다르다. 옛것을 바로 알고 그 숨겨진 숨결에 스미고 싶다.
-「갓을 품다」

낙엽에서 인생을 배운다. 낙엽은 나무가 혹독한 겨울을 이겨내기 위해 잎자루나 잎몸의 기부에 이층離層이라는 특수한 세포층이 형성되면서 떨어지는 잎이다. 저 스스로는 나무에서 떨어지지만 새순을 움트기 위해 묵직한 침묵의 시간을 갖는 것이다. 낙엽을 보면 자신을 희생하여 나무를 이롭게 하는 모습을 느끼게 된다. 낙엽은 나무 몸통의 중심부인 심재心材를 튼튼하고 강하게 만들기 위해 단풍의 절정을 온몸으로 내뿜다 떨어지는 잎이다. 나무의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반복되는 순환 작용이다. 낙엽을 보며 생명의 탄생과 소멸의 순환을 느낀다.
-「이층離層」에서


사람은 감성이 있어서 꽃보다 아름다울 수 있다. 감성은 선한 마음을 키울 수 있는 마력이 있다. 자연 안에 있을 때 감성은 한껏 부풀어 오른다. 사람이 자연을 찾는 이유가 아닐까. 아무리 진한 꽃향기도 천 리까지 퍼지지만 사람의 향기는 만 리까지 퍼진다. 인품의 향기는 오래 가슴 속에 남아 선한 영향력을 베푼다.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와 관용의 자세로 노력하면 서로에게 그 향기는 오랫동안 스며있게 될 터이다.
사람과 자연은 더불어 살아가고 있다. 살아가는 것은 관계를 맺는 일이다. 관계는 상대적이다. 자연은 사람에게, 사람은 자연에게 소중한 존재이다. 서로에게 스스럼없이 내어줄 수 있는 마음을 지니면 좋겠다. 어느 한쪽에서만 베푸는 것이 아니고 서로 도움이 되는 선물이면 좋을 듯싶다. 오래도록 서로 어깨를 내밀며 함께할 수 있는 날들을 그려 본다. 내일도 태양이 떠오르면 자연의 소리와 내 안의 소리를 들으러 소나무숲을 찾으리라.
-「공짜 선물」에서


고목은 생명의 순환 작용을 알고 있다. 해마다 반복되는 계절의 변화를, 겨울은 봄을 잉태하기 위한 숭고한 침묵의 시간임을 말해준다. 무엇이든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목을 응시하며 마주하니 나무가 말을 걸어온다. 어둠이 지나면 밝은 날이 오듯이 모두가 바라는 세상이 열리고 행복한 날들을 맞이할 수 있다고 말해 준다.
-「나목裸木」에서

서평

강연희는 우리 시대의 어두운 삶의 현실을 응시하면서 수많은 삶의 풍경들을 독자적인 심상을 통하여 내적으로 승화시켜 가고 있다. 그렇다는 것은 작가와 마주 선 인생과 세상과의 풍경을 주체와 새로운 관계 맺음을 하는 가운데 인간 존재의 의미를 새로운 차원으로 열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세계와 주체, 대상과 주체 간의 의미를 새롭게 열어나가고자 한다.
작가의 말대로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얽히고 맺힌 매듭에 의해 타자에 대한 미움, 분노, 악연으로 묶어져 있는지 모른다. 이제 이런 매듭을 하나씩 풀어야 할 때이다. 주관적인 가치 판단과 이기심이 마음의 문을 닫아 매듭으로 묶였고, 머리로는 이해되나 가슴으로는 받아들이지 못하는 매듭이 수없이 많다. 사람과의 매듭이 잘못 묶어져 마음이 편하지 못하고 오해로 빚어진 실타래가 우리를 옥죄고 있다. 이런 세상에서 ”나를 내리고 타자를 받아들이는 관용의 마음은 곧 자신을 사랑하는 또 다른 방법이 될 것이다“(「매듭」). 이렇게 얽히고 맺힌 매듭을 풀고 누군가를 사랑하고 용서하고자 하는 윤리가 강연희 수필의 핵심이다.
강연희의 수필은 새로운 존재론적 방식으로 일상적이고 관습화된 글쓰기의 의미를 위반한다. 수필이 주체의 존재 방식을 통해 세상을 번역해 내는 통로라고 한다면, 강연희의 수필은 남루한 일상에 대한 거부, 주체에 맞선 타자에 대한 사랑과 자비를 통해서 인간의 존재론으로부터 삶과 세상에 대한 의미론으로 확장된다.
-허상문〈서평〉 중에서

저자소개

저자 : 강연희
제주 출생.
前) 고등학교 교사.
2016년 《선수필》 등단.
제주문인협회, 선수필문학회,
제주수필문학회, 동백문학회 회원.
제4회 제주어문학상 가작(2022년),
선수필동인문학상(2023년) 수상.
아르코문학창작기금 발표지원 공모선정(2024년),
제8회 서귀포문학작품 전국공모 당선(2024년).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