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작문 교육의 이론적 근거
제1장 작문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1. 작문 교육이 필요한 이유
2. 글을 잘 쓰기 위한 원리
3. 작문의 기능 및 특성
제2장 작문 이론의 전개
1. 형식주의 작문 이론의 전개 과정
2. 인지주의 작문 이론의 전개 과정
3. 사회구성주의 작문 이론의 전개 과정
4. 표현주의 작문 이론의 전개 과정
5. 대화주의 작문 이론의 전개 과정
제3장 작문 능력의 인지적 요인
1. 작문 지식
2. 작문 기능 및 전략
3. 상위인지 전략
제4장 작문의 정의적 요인
1. 정의적 요인이 중요한 이유
2. 정의적 요인에 관심이 적었던 이유
3. 쓰기 동기
4. 쓰기 효능감
5. 쓰기 불안
6. 쓰기 윤리
제5장 작문 능력의 발달
1. 기초 문해력으로서의 작문 발달
2. 고등 사고력으로서의 작문 발달
제2부 작문 교육의 실천적 방법
제6장 작문 과정과 전략
1. 작문의 과정과 특성
2. 작문의 인지 과정 모형
3. 작문 과정에 따른 전략
제7장 작문 교육과정
1. 교수요목기
2. 제1차~제3차 국어과 교육과정
3. 제4차 국어과 교육과정
4. 제5차~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5. 2007~2015 국어과 교육과정
6. 2022 국어과 교육과정
제8장 작문 교과서
1. 단원 조직 방식
2. 대단원 구성 방식
3. 소단원 구성 방식
4. 쓰기 이론・전략의 교과서 적용 실제
5. 작문 교과서 재구성 방안
제9장 작문 교수・학습
1. 작문 교수・학습의 개념
2. 다양한 작문 교수・학습 방법
제10장 작문 평가의 이해와 실제
1. 작문 평가의 이론
2. 작문 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
3. 작문 평가의 방법
4. 작문 과제의 개발
5. 작문 평가의 채점과 피드백
제3부 작문 교육의 실제와 전망
제11장 정보를 전달하는 글 쓰기
1. 정보를 전달하는 글 쓰기의 본질
2. 정보를 전달하는 글 쓰기의 방법
3. 정보를 전달하는 글 쓰기의 실제
제12장 설득하는 글 쓰기
1. 설득하는 글 쓰기의 본질
2. 설득하는 글 쓰기와 논증 구성
3. 설득하는 글 쓰기의 실제
제13장 정서 표현 및 자기 성찰 글 쓰기
1. 정서 표현 및 자기 성찰 글 쓰기의 본질
2. 정서 표현 및 자기 성찰 글 쓰기의 방법
3. 정서 표현 및 자기 성찰 글 쓰기의 실제
제14장 작문 교육의 확장: 디지털 글쓰기
1. 작문 환경의 변화와 디지털 글쓰기
2. 디지털 글쓰기의 과정과 지도 방안
3. 생성형 인공지능과 글쓰기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