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례│
책머리에 5
제1부 구황식물의 수요와 확보
제1장 조선전기 흉황 시 농민의 동향
1. 서언 19
2. 농사 흉년과 그 특징 20
3. 기근의 고통 28
4. 유리(流離)와 도적(盜賊) 30
5. 기아(棄兒)와 아표(餓莩) · 전우구학(塡于溝壑) 37
6. 구황식물 확보 노력 42
7. 결어 46
제2장 조선전기 구황식물의 중요성과 확보책
1. 서언 51
2. 구황 대책의 내용 53
3. 구황 대책 속의 구황식물 관련 내용 64
4. 구황식물의 확보책 71
5. 결어 83
제2부 산과 들과 바다의 구황식물
제1장 조선전기 구황식물 도토리의 수습과 활용
1. 서언 93
2. 도토리의 생태 특징과 수습(收拾) 94
3. 빈민(貧民) · 기민(飢民)과 도토리 수요 102
4. 도토리의 가공과 섭취 113
5. 도토리의 확보와 진휼 정책 117
6. 결어 127
제2장 조선전기 산에서 확보하는 구황식물
1. 서언 133
2. 밤[栗] 134
3. 소나무 껍질[松皮]과 잎[松葉] 143
4. 도라지[桔梗]와 더덕[山蔘] 150
5. 칡[葛]과 고사리[蕨] 155
6. 나물[蔬菜] 및 기타 164
7. 결어 169
제3장 조선전기 들에서 얻는 구황식물
1. 서언 175
2. 들나물의 종류와 생태 특징 176
3. 들나물의 구황 기능 189
4. 들나물의 가공과 섭취 200
5. 결어 211
제4장 조선전기 바다에서 채취하는 구황식물
1. 서언 217
2. 해조류의 구황 기능 218
3. 구황 해조류의 생산처와 채취 229
4. 구황 해조류의 가공 · 섭취 및 가치 243
5. 결어 250
제3부 구황식물의 가공과 섭취
제1장 조선전기 염장(鹽醬)의 중요성과 구황식물
1. 서언 259
2. 소금의 중요성과 생산 260
3. 소금과 콩으로 장 담그기 270
4. 진제 곡식의 제공과 염장 276
5. 구황식물의 섭취와 염장 291
6. 결어 296
제2장 조선전기 죽(粥)의 효용성과 구황식물
1. 서언 303
2. 죽(粥)의 특징과 종류 305
3. 효자의 식생활과 죽 310
4. 진휼 먹거리의 제공과 죽 316
5. 구황식물로 죽 만들기 326
6. 구황식물의 섭취 시점 334
7. 결어 343
참고문헌 351
색인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