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군주론[전면개정판]


  • ISBN-13
    979-11-92575-36-0 (0316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대가 / 도서출판 린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9-1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니콜로 마키아벨리
  • 번역
    -
  • 메인주제어
    철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철학 #서양철학 #정치외교학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5 mm, 420 Page

책소개

 

교황청 금서에서 세계의 필독서가 된 《군주론》

 

리더의 능력과 결단력을 위한 위험한 고전! 

 

 

‘그림과 사진 70여 장 수록’ 

 

 

초판에서 잘못 표현한 구절을 바로잡고, 군더더기를 덜어내고, 그림을 교체하고, 사건명·인명·지명을 비롯한 고유명사를 역사적인 사실에 맞게 고쳤다.

 

“화가가 산이나 고지대의 특징을 살피려면 골짜기처럼 낮은 곳에 있어야 하고, 평원을 살펴보려면 산꼭대기에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이 같은 이치로 백성의 본성을 속속들이 파악하려면 군주가 되어야 하고, 군주의 본성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백성이 되어야 합니다.”

 

《군주론》은 이탈리아 르네상스가 배경이다. 풍부하고 정교하고 문화가 풍부한 이탈리아는 서구의 지적 성취의 중심지였고 유럽의 학자와 예술가가 격렬한 분위기를 흡수하기 위해 몰려들었다. 마키아벨리는 미켈란젤로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동시대인이었고, 피렌체는 르네상스 예술 도시였다. 

 

교황 알렉산데르 6세에서 비롯된 가톨릭교회의 쇠퇴와 부패는 가톨릭 권위에 대한 반발을 불렀다.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마틴 루터가 종교개혁의 힘을 모으고 있었고 정치에서도 변화가 잉태되었다. 중세의 흩어진 봉건 영토는 중앙집중식 지도력 아래로 옮겨가 근대 유럽 국가의 틀이 잡혀갔다. 

 

근대적 개념의 국가가 탄생하고 있었다. 전쟁은 통일국가를 만드는 투쟁에서 통치자의 가장 귀중한 수단이었다. 반복되는 침략과 내부의 이중성에 직면한 이탈리아의 굴욕감 팽배는 이탈리아 사상가들이 격렬히 분노한 원인이었다. 마키아벨리가 이탈리아를 야만적 지배로부터 해방시킬 강력한 지도자를 간청하도록 이끈 것은 바로 이 같은 상황이다.

 

마키아벨리는 고초를 겪던 이탈리아 백성을 대리하여 위정자들에게 일침을 가한다. 마키아벨리는 자신의 모든 주제, 심지어 가장 충격적인 것조차 과학적 표본 분석처럼 시원하고 사실적인 어조로 토로한다.《군주론》은 위정자가 바른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제시하는 철학적 고뇌가 담긴 마키아벨리의 필생 역작이지만, 우리 인생에 등불처럼 방향성을 제시하는 나침반처럼 본질을 꿰뚫는 안목과 식견이 담겼다. 

 

목차

《군주론》 요약

 헌정사

《군주론》 읽기에 앞서

 

제1장_ 군주국의 종류는 얼마나 많으며 어떤 식으로 획득하는가

제2장_ 세습 군주국에 관하여

제3장_ 혼합 군주국에 관하여

제4장_ 알렉산드로스가 정복한 다리우스의 왕국은 왜 그가 죽은 뒤 후계자들에게 맞서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제5장_ 점령되기 전 자신의 법률에 따라 살았던 도시나 군주국은 어떻게 통치해야 하는가

제6장_ 자신의 무력과 역량으로 획득하는 새 군주국에 대하여

제7장_ 다른 사람의 무력과 행운으로 획득하는 새 군주국에 대하여

제8장_ 사악함으로 군주가 되는 사람들에 대하여

제9장_ 시민 군주국에 대하여

제10장_ 모든 군주국의 힘은 어떻게 측정해야 하는가

제11장_ 교회 군주국에 대하여

제12장_ 군대의 종류는 얼마나 많은지 그리고 용병에 대하여 

제13장_ 지원 군대, 혼합 군대, 자국 군대에 대하여

제14장_ 군대와 관련하여 군주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제15장_ 사람들, 특히 군주가 칭찬받거나 비난받게 만드는 것들에 대하여

제16장_ 관대함과 인색함에 대하여

제17장_ 잔인함과 인자함에 대하여: 군주는 공포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가, 사랑받는 존재가 되어야 하는가 

제18장_ 군주가 약속을 지킨다는 것의 의미에 대하여

제19장_ 경멸과 미움을 받지 않는 방법에 대하여

제20장_ 성채를 건축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일을 하는 것은 군주에게 유용한가, 아니면 해로운가 

제21장_ 군주는 존경받기 위해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제22장_ 군주의 신하에 대하여

제23장_ 아첨꾼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제24장_ 왜 이탈리아 군주들은 자신의 왕국을 잃게 되었나 

제25장_ 인간사에 행사하는 운명의 힘과운명에 대처하는 방법

제26장_ 이탈리아에서 야만인들을 몰아내고 자유를 회복해 달라는 권고의 말씀

 

《군주론》 캐릭터 분석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

지롤나모 사보나롤라

보르자 가문

스포르차 가문

율리오 2세

마키아벨리의 전기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니콜로 마키아벨리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 공화국의 외교관, 정치학자, 저술가. 근대 정치철학의 기틀을 만든 사상가.
1492년 피렌체는 ‘위대한 사망으로 통치력 부재 상황을 맞았다. 2년 후 프랑스 샤를 왕에게 굴욕적으로 항복한 메디치 가문을 쫓아내고 ‘피렌체 공화국’이 되었다. 하지만 사보나롤라가 집권하며 강대국 사이에서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마키아벨리는 외교관으로서 피렌체를 살려내려고 강대국 사이를 필사적으로 오갔고, 국제 정치의 민낯을 낱낱이 목격하며 ‘강한 군대, 강한 군주’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시민군 양성을 추진하는 등 노력했지만 감옥에 갇혔다. 특별사면을 받고 새 군주 로렌초 데 메디치에게 ‘필요한 경우에는 비도덕적인 수단도 행사해서 평화를 지키는 강력한 지도자가 되라’는 《군주론》을 썼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