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내가 없던 어느 밤에


  • ISBN-13
    979-11-6755-330-0 (4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우리학교 / 우리학교
  • 정가
    14,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8-2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꽃님
  • 번역
    -
  • 메인주제어
    어린이, 청소년 소설: 일반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어린이, 청소년 소설: 일반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청소년
  • 도서상세정보
    140 * 205 mm, 228 Page

책소개

밀리언셀러 작가 이꽃님 장편 신작

“10년 동안 마음에 품고만 있던 이야기를 

마침내 세상 밖에 내놓는다.”

 

더는 돌아가지 않는 관람차, 조명도 음악도 없이 멈춰 버린 회전목마, 바람에 삐거덕대는 녹슨 놀이 기구들. 문 닫은 놀이공원을 품은 작은 소도시에서 하나둘 미심쩍은 일들이 일어나고, 만 열일곱 소녀의 실종 사건을 계기로 묻어 두었던 10년 전 사건의 비밀이 밝혀지기 시작하는데…. 우리 청소년 문학의 결정적 이름이 된 밀리언셀러 이꽃님 작가가 10년 동안 가슴속에 품어 온 이야기를 장편소설  『내가 없던 어느 밤에』로 풀어놓았다.

이꽃님 작가는 한번 펼치면 눈을 뗄 수 없는 전개로 셀 수 없는 독자에게 사랑받는 이야기꾼인 동시에, 우리 세계의 문제들을 정면으로 응시하는 작가다. 발표하는 작품마다 공전의 베스트셀러가 된 것은 재미 너머에 시대정신을 비껴가지 않는 메시지가 늘 존재했기 때문일 것이다. 『내가 없던 어느 밤에』는 그런 작가적 역량이 특히 빛을 발하는 작품이다. 

슬픔을 공유한 사람들만이 나눌 수 있는 이야기가 있다. 상실을 겪은 이들만이 가지는 아픔과 후회가 있다. 문 닫은 한겨울의 놀이공원에서 일어난 기묘하고 아스라한 사건은, 주인공인 세 아이들이 각자 감춰 온 슬픔과 죄책감을 나누는 밤으로 이어진다. ‘내가 없던 어느 밤에’ 일어난 일을 비로소 마주한 이들은, 마침내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며 새로운 삶의 출발선 앞에 선다. 

어떤 이야기는 잊지 않는 것만으로도 모두의 삶을 나아가게 만든다. 그래서 이꽃님의 이야기는 내일을 위한 문학이다. 책을 들추기 싫어하는 청소년들을 문학의 세계로 이끌기에, 그렇게 펼친 책에서 자신과 세계를 새롭게 만나도록 하기에.

목차

1~24

본문인용

쉬이이―

이제 다 괜찮아졌어. 나쁜 사람은 잡혀갔으니까 아무 일도 없을 거야. 걱정 안 해도 돼. 다 잊어버리자. 아무 일도 없었던 거야, 알겠지? 울지 말고.

다 잊는 거야. 할 수 있지? _7쪽

 

태어나 한 번도 들어 본 적 없는 굉음이 가을의 귓가를 스쳤을 때, 이윽고 뿌연 먼지가 사방을 뒤덮고 충격에 튀어나온 파편들이 가을의 몸을 날카롭게 스쳐 갔을 때, 가을의 세상은 아주 잠시 동안 멈추었다. 짙은 회색 연기와 뒤엉켜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자동차, 매캐한 냄새와 알 수 없는 허무로 가득 차 있던 그 순간 그대로. _30쪽

 

서평

이꽃님 작가가 10년 동안 가슴속에 품어 온 이야기

“부디 이 이야기의 끝에 평안이 있기를”

 

더 이상 돌아가지 않는 불 꺼진 관람차, 바람이 불면 삐거덕대는 녹슨 철문과 놀이 기구들. 더는 어떤 즐거운 비명도 들리지 않는 폐쇄된 놀이공원 판타지아. 3년 전 문을 닫은 놀이공원은 그곳에 기대 살아가던 지방 소도시의 작은 동네를 서서히 불안과 무기력의 늪으로 끌고 들어간다. 새해가 시작되었지만 썰렁하기만 한 거리에서 미심쩍은 일들이 하나둘씩 일어나고, 만 열일곱 소녀의 실종 사건을 계기로 묻어 두었던 10년 전 사건의 비밀이 밝혀지기 시작하는데…….

우리 청소년 문학의 결정적 이름이 된, 밀리언셀러 이꽃님 작가가 10년 동안 가슴속에 품어 온 이야기를 풀어놓은 장편소설  『내가 없던 어느 밤에』가 출간되었다.

 

문 닫은 놀이공원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기묘하고 아스라한 이야기

버려진 캄캄한 거리에 환하게 불이 켜지며

멈추었던 시간이 다시 흐르기 시작하는데…

 

새 작품을 집필하고 있다는 작가의 연락만큼 편집자의 심장을 뛰게 만드는 일이 또 있을까? 그러나 작품을 집필하는 동안 작가는 줄곧 낮은 목소리로 소식을 전해 왔다. 초고를 받아 작품의 마지막 문장을 읽었을 때에야, 작가의 마음을 조금은 짐작할 수 있었다. 아파하지 않고서는 쓸 수 없는 이야기였다. 이꽃님 작가는 이 이야기를 무려 10년 동안이나 가슴속에 품어 왔다고 했다. “저는 지금도…… 하나도 괜찮지 않아요.” 작품을 위한 취재 과정에서 인터뷰했던 학생의 덤덤한 말은, 작가의 마음에 무거운 돌을 하나 얹어 두었다. 

 

“차마 자라지 못한 아이들이 끝내 자라길 바라는 마음으로 글을 썼다. 

한때는 어렸던 이들과, 가슴에 품은 상처로 어른이 되지 못하는 이들이 

더는 아프지 않기를, 부디 힘차게 나아가기를. 

온 마음을 다해 응원한다.” _ 작가의 말 중에서

 

그러니 누구라도 이 작품을 읽어 나가기 시작하면 간절히 바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부디 이 이야기의 끝에 평안과 희망이 있기를.

 

“너였구나. 내 이름을 불렀던 목소리가. 전부 다… 너였구나.

혼자 두고 가지 않을게. 여기 있을게, 네 옆에.”

상실을 딛고 치유와 희망으로 나아가는 비밀스럽고 가슴 뭉클한 성장담

 

슬픔을 공유한 사람들만이 나눌 수 있는 이야기가 있다. 상실을 겪은 이들만이 가지는 아픔과 후회가 있다. 문 닫은 한겨울의 놀이공원에서 일어난 기묘하고 아스라한 사건은, 주인공들이 각자 감춰 온 슬픔과 죄책감을 한자리에서 나누는 시간을 만들어 준다. 서로의 진심을 솔직하게 마주한 주인공들은, 마침내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며 새로운 삶의 출발선에 선다. 그러면서 아직 어른이 되지 않은 십 대들의 목소리로 작가는 묻는다. 

 

“다들 그냥 이렇게 어른이 된 걸까. 그렇게 어른이 되어도 되는 건가? 그래서 세상이 엉망진창인 건가. 진짜 어른도 아닌 사람들이 어른인 척 살고 있어서.”

 

차가운 세계를 정면으로 응시하며

삶의 중요한 문제들을 놓치지 않는 서사

 

이꽃님 작가는 한번 펼치면 눈을 뗄 수 없는 전개로 셀 수 없는 독자에게 사랑받는 이야기꾼인 동시에, 우리 세계의 문제들을 정면으로 응시하는 작가다. 발표하는 작품마다 공전의 베스트셀러가 된 것은 재미 너머에 시대정신을 비껴가지 않는 메시지가 늘 존재했기 때문일 것이다. 『내가 없던 어느 밤에』는 그런 작가적 역량이 특히 빛을 발하는 작품이다. 기억과 책임, 치유와 성장의 의미를 묻는 이 책은 이꽃님의 문학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읽어야 하는 작품이다.

어떤 이야기는 잊지 않는 것만으로도 모두의 삶을 나아가게 만든다. 그래서 이꽃님의 이야기는 내일을 위한 문학이다. 책을 들추기 싫어하는 청소년들을 문학의 세계로 이끌기에, 그렇게 펼친 책에서 자신과 세계를 새롭게 만나도록 하기에.

저자소개

저자 : 이꽃님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로 문학동네청소년문학상 대상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 청소년 소설 『죽이고 싶은 아이』 『죽이고 싶은 아이 2』 『여름을 한 입 베어 물었더니』 『당연하게도 나는 너를』 『행운이 너에게 다가오는 중』 『B612의 샘』(공저) 『소녀를 위한 페미니즘』(공저)이 있다.
우리학교는 어린이·청소년 전문 출판사입니다. 교육적 가치를 담은 '세상 진지'한 책에서부터 아이들과 소통하기 위한 '유쾌 발랄'한 책까지 두루 펴내고 있습니다. 새로운 세상을 만나고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이 세상 모든 곳이 다 학교이듯 우리학교의 책들이 밤하늘의 별자리처럼 아이들의 호기심을 밝혀 주는 지도가 되기를 소망하며 오늘도 한 권의 책을 만들고 있습니다. 2009년에 문을 연 이후 독자들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콘셉트를 고민하며 기획력이 돋보이는 국내서 출판에 힘써 왔습니다. <청소년을 위한 토론학교> 시리즈로 제52회 한국출판문화상 어린이청소년 부문을 수상하였고 대다수의 책이 문화체육관광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책따세, 어린이도서연구회 등의 기관에서 추천 도서로 선정되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