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의 글
제1부 의료문학 연구의 가능성과 미래
제1장 의료문학의 관점에서 본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제2장 포스트휴먼시대와 의료문학 연구의 가능성
-불가코프의 「개의 심장」에 대한 실험적 연구
제3장 새로운 가족의 탄생
-의료문학 비평의 다른 차원
제2부 문학사와 의학적 전통
제1장 러시아문학의 의학적 전통과 계승자들
제3부 문학과 광기의 역사
제1장 광기의 언어-가르쉰의 「붉은 꽃」을 중심으로
제2장 광기, 전복된 영혼의 세계-러시아 광기의 역사
제3장 감금과 통제-19세기 러시아 정신병원의 실체
제4부 멜랑콜리와 우울증
제1장 멜랑콜리와 토스카-러시아적 우울의 특수성에 대한 연구
제2장 러시아 멜랑콜리의 탄생-푸슈킨의 저작을 중심으로
제5부 질병과 죽음
제1장 삶과 죽음의 세 가지 유형-톨스토이의 「세 죽음」을 중심으로
제2장 결핵과 러시아문학-톨스토이 작품을 중심으로
제6부 병원과 약
제1장 ‘약’의 향연-채만식의 『탁류(濁流)』에 대한 의료문학적 연구
제2장 이광수의 『사랑』과 일제강점기 근대 병원의 역사적 기록
제3장 신경림 시에 나타난 술의 의미-술과 음주에 대한 의료문학적 연구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